1) 확산방안
  • 농림축산식품부는 2017년 11월 스마트팜 확산을 혁신성장 핵심 선도사업의 하나로 선정
  • 2018년 4월에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스마트팜 확산방안을 마련
  • 2022년까지 스마트팜 7,000ha, 축사 5,750호의 농가 보급과 「스마트팜 혁신밸리」4개소 구축을 목표
  • 기존 농가 단위의 스마트 팜 보급 전략을 보완하고, 정책대상을 청년 농업인, 전후방 산업으로 확대하고, 집적화 된 확산거점을 조성

(스마트팜(시설원예·축산) 보급 확대)(스마트팜(시설원예·축산) 보급 확대)

2) 정책현황
  1. ① 청년 스마트팜 창업 생태계 구축
    • 2019년부터 스마트팜 ‘청년창업 보육센터’(이하 ‘보육센터’) 4개소 지정, 전문교육과정을 통해 2022년까지 500명 전문 인력 양성
    • 보육센터 수료 청년 농업인이 초기 시설투자 없이 적정 임대료만 내고도 스마트팜 창업이 가능하도록 ‘청년 임대형 스마트팜’ 조성
    • 스마트팜 창업 또는 승계받거나 규모 확대를 원하는 청년에게도 정책자금, 농지임대, 투자유치 관련 프로그램 지원
  2. ② 스마트팜 산업인프라 구축
    • 전후방 기업의 실증연구, 제품테스트, 창업·전시·체험 기능 갖춘 ‘실증단지’ 조성
    • 연구개발(R&D)이 현장에서 조기에 성과 창출되도록 부처 간 연계와 협업(과기부, 산업부, 농진청 등) 강화하고 민관 공동연구 추진
    • 스마트팜 빅데이터(온·습도 등 환경정보, 생육정보) 수집·분석 체계 개선, 기자재 표준화 가속화
    • 스마트팜 기자재 기업의 해외시장 개척 적극 지원
  3. ③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
    • 생산·교육·연구 기능이 집약된 첨단 융복합 클러스터로, 2022년까지 전국에 4개소를 조성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감도(예시) - 임대업 스마트팜, 실증단지, 보육센터, 배후마을, 스마트팜 단지, 스마트 APC, 에너지 시설, 배후 농공단지스마트팜 혁신밸리 조감도(예시)

3) 연구현황

농촌진흥청에서는 기술의 고도화에 따라 스마트팜을 1~3세대로 정의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한국형 스마트팜 모델 개발과 현장보급을 추진하고 있음

  • 정의

    자동 측정 데이터 분석, 생육·환경 진단, 최적 제어, 전 과정 시스템화
  • 효과

    농업기술 계량화·객관화·지능화·자동화, 고효율화 및 지속농업
  • 방향

    첨단기술 융합, 한국형 스마트 팜 완성도 높여, 혁신동력 제공
    * 4차 산업혁명 신속한 적용 능력이 국가와 산업의 흥망을 좌우하는 시대에 진입
  • 핵심기술

    스마트 센싱, 지능형 생육관리모델, 스마트 농작업, 국가 국제표준, 개방형 통합제어·서비스 플랫폼 개발
  • 표준모델

    생산성 향상, 경영비 절감형 정밀농업 구현 2세대 모델 개발
  • 적용확대

    분야별 한국형 스마트 팜 모델 구현, 플랜트 수출기반 구축
4) 개발방향

농촌진흥청에서는 기술의 고도화에 따라 스마트팜을 1~3세대로 정의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한국형 스마트팜 모델 개발과 현장보급을 추진하고 있음

1세대 : 원격제어 중심 편의성 향상

1세대 모델('16) 원격 감시 + 원격 제어, 센서와 영상으로 농장감시, 온시랑치를 스마트기기로 제어

농민이 영상으로 통해 직접 '원격 수동제어'

  • 센서정보
    • 기상정보:온도, 습도, 풍향, 풍속
    • 온실환경:온도, 습도, CO2
  • 장치제어
    • 천창, 측창, 보온재, 유동팬, 환기팬

한국형 스마트 온실 1세대 기본구성

  • 스마트링크(네트워크 구성 및 인터넷 연결)
  • 센서노드(각종 센서 데이터 수집 네트워크 연결)
  • 제어기노드(네트워크로부터 제어 명령 수신)
  • 스마트영상(원격지에서 농업시설 영상모니터링)

'스마트 기술로 농작업 편리성 향상' 온실 환경관리에 매여 있었던 시간과 장소의 구속에서 해방

2세대 : 빅데이터 인공지능 활용 지능형제어

빅데이터 활용 스마트팜 생산성 향상 기술, 스마트팜 클라우드 시스템, 딥러닝 기반 생육량 정보 계측 연구, 식물생체 모니터링 마이크로센싱, 신경회로망 응용 토마토 병해충 진단분석 기술 등

2세대 모델('18) 지상부 복합환경제어 + 클라우드서비스

작물의 지상부/지하부 생육환경을 '자동제어'

  • 센서정보
    • 기상정보:온도, 습도, 풍향, 풍속, 일사
    • 온실환경:온도, 습도, CO2, 토양온도, 수분, EC
  • 장치제어
    • 천창, 측창, 보온재, 유동팬, 환기팬, 관수, 양액공급

한국형 스마트 온실 2세대 기본구성

  • 지상부 복합환경제어(온실 재배환경 지능형 자동제어 알고리즘 적용)
  • 클라우드 서비스(Big Data 분석 및 영농 의사결정 지원서비스)
  • 1세대 모델(1세대 스마트 온실 기본 구성요소)

'스마트 기술로 생산성과 품질향상' Big-Data 분석과 지능적 처방으로 농사기술의 상위 평준화

3세대 : 무인자동화 수출모델

3세대 모델('20) 복합에너지관리 + 스마트 농작업

스마트 온실 시스템의 '최적 에너지관리와 로봇 농작업'

  • 센서정보
    • 기상정보:온도, 습도, 풍향, 풍속, 일사
    • 온실환경:온도, 습도, CO2, 토양온도, 수분, EC, 작물진단센서, 에너지관제센서, 로봇항법센서
  • 장치제어
    • 천창, 측창, 보온재, 유동팬, 환기팬, 관수, 양액공급, 로봇농작업기, 에너지관제시스템

한국형 스마트 온실 3세대 기본구성

  • 복합에너지관리(난방기, 지열, 태양열, 보온재 등 최적 제어 기술 적용)
  • 스마트 농작업(로봇 및 지능형 농기계 농작업 자동화 시스템)
  • 2세대 모델(2세대 스마트 온실 기본 구성요소)

'한국형 스마트 온실로 농산업 성장동력화' 국제 규격 적용과 부품 표준화로 글로벌 시장 진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