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온실 환경제어 운영사례

스마트 온실 운영 기본 관리 원칙

목표 : 난방에너지를 적게 사용하고 결로와 일액이 생기지 않도록 관리

  • 온실에서 작물을 재배하는 가장 큰 이유는 잎에 이슬, 빗물이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함
  • 온실 내 수평·수직 온도편차를 줄임
  • 온실 내 공기온도보다는 식물체 온도가 중요
  • 공기 습도보다는 미세기후(식물체 잎 주변)가 작물에 영향을 줌
  • 온실 내 기후(온도, 습도)는 급격하게 변하지 않게 관리
  • 수경재배 시 관수 구역별 오차범위는 10%를 넘지 않아야 함

환경관리 방법

  • 대류난방(온풍난방)보다는 복사난방(온수난방)을 원칙으로 함
  • 복사열을 반사시킬 수 있는 알루미늄 스크린을 사용
  • 스크린(투명)의 사용시간을 늘림
  • 미세기후(식물체 잎 주변) 환경 개선을 위해 수직팬, 수평팬, 최소난방 파이프를 사용
    (난방보다는 공기 유동을 하는 것이 경제성에서 유리)

    → 난방은 필요이상의 증산을 유도하여 습도를 낮추기 위해 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게 만듦

  • 조조가온을 하여 일출 전 온실의 온도를 높임
  • 측면은 광투과율보다 단열성을 중요시 함
  • 압력을 충분히 가할 수 있는 가압 다단펌프를 사용하여 관수함
  • 광량이 증가함에 따라 평균온도도 높임

주의할 점

  • 공기온도 보다는 식물체의 체온이 더 중요함
  • 온실 습도보다는 미세기후(식물체 잎 주변) 습도가 중요하게 관리가 되어야 함
  • 식물체 온도보다 공기의 온도가 급상승하는 것은 회피하여야 함
  • 야간에는 상대습도(RH)보다는 절대습도(AH) 관리에 중점을 둠
  • 근권 난방 시 접촉난방은 피하여야 함
  • 환기를 할 때에는 온도와 습도를 같이 고려함
  • 지하부 온도는 복사열 공급이 멈춘 일몰 직전이 가장 높음
온실 온도와 습도 조절을 위한 스크린 및 천창 개폐

기존과 달라진 스크린 사용 방법

  • 기존 온실관리 방법에서는 천창을 닫은 상태에서 스크린 갭을 사용함
  • 현재는 스크린이 닫힌 상태에서 천창을 열고 닫으면서 온실내 습도를 조절

    → 스크린 위와 아래의 절대습도차(△AH)를 활용하여 온실 내 습도를 조절

    → 스크린을 완전히 닫으면 스크린 위아래 절대습도차(△AH)가 커져 습(humidity)이 스크린 사이의 작은 구멍으로 빠져나감

    ※ 직조스크린(air tight screen)을 사용할 경우에만 스크린을 닫은 상태에서도 습도 조절이 가능하며 보온다겹스크린은 스크린을 조금 열어야 함

스크린 및 천창 사용 방법

천장이 조금 열림스크린을 닫은 상태에서 천창을 조금 열어 스크린 위의 절대습도(AH)를 낮추어 스크린 아래와 절대습도차를 크게 함(초저녁, 오전)
※ 난방에너지의 손실이 있음

천장 완전히 닫힘스크린을 닫은 상태에서 천창도 닫아 스크린 위의 절대습도차(△AH)가 커지면 스크린 아래의 습(humidity)이 스크린을 통과함
(새벽, 늦은 저녁)

광이 강하여 (겨울 맑은 날 오전) 복사열에 의해 온실 온도는 충분히 상승하였으나 외부공기 온도가 낮은 경우 온실 측면 온도가 낮음
온실 측면 광 손실이 있더라도 측면 온도가 낮으면 결로의 원인이 됨.따라서 측면 커튼을 활용하여 단열성을 높이는 것이 온실 환경관리에 유리함

피복재 결로에 의한 온실 내 습도 제어

스크린을 열였을 때의 피복재 결로(스크린을 열였을 때의 피복재 결로)

스크린을 닫았을 때의 피복재 결로(스크린을 닫았을 때의 피복재 결로)

  • 스크린을 사용할 경우 사용하지 않았을 때보다 결로에 의한 습도 제어가 원활함
  • 피복재가 더 차가워서 결로가 더 많이 쉽게 생겨 습도 제어가 쉬움(스크린은 반드시 직조스크린이면 효과가 있음)
  • 구멍(pore)이 없는 스크린(보온다겹스크린)을 완전히 닫을 경우 결로가 발생되어 작물이 피해
  • 보온다겹스크린 등 구멍(pore)가 없는 스크린에서의 갭(gap)활용 습도제어

스크린 개수에 따른 갭 방법 - 1중 스크린 설치(스크린 개수에 따른 갭 방법 - 1중 스크린 설치)

스크린 개수에 따른 갭 방법 - 2중 스크린 설치(스크린 개수에 따른 갭 방법 - 2중 스크린 설치)

  • 보온다겹스크린은 습이 빠져나갈 구멍(pore)가 없으므로 갭(gap) 활용
  • 1중 스크린은 5-10% 정도 열 것, 2중 스크린은 겹쳐서 열 것
  • 직조스크린은 구멍이 없는 스크린에 비해 습도 제어에 유리

    ※ 갭(gap) 활용 습도 제어 시 문제점

    - 찬 바람이 작물의 생장점에 직접 닿아 저온 장애의 위험이 있음

    - 온실 내 환경 수평 온도 불균형이 발생함

    - 작물의 수직 온도차가 발생하여 팁번, 결로 피해 우려가 높아짐

스크린 사용 개수에 따른 장단점 비교 및 설치방법

스크린 사용 적정 개수

  • 일반적으로 스크린을 여러장 사용할수록 보온력이 좋아짐
  • 스크린 사용 개수에 따른 보온력 예시

    유리온실에 보온스크린을 1장 설치함.
    유리의 U-value는 7W/m²·℃이고 에너지 스크린의 U-value는 6W/m²·℃, 온실과 외부의 온도차는 15℃이면 보온력은 54% 같은 에너지 스크린을 2장 사용 시 U-value 2.1W/m²·℃, 보온력은 70% 에너지 스크린을 3장 사용 시 U-value 1.5W/m²·℃, 보온력은 78%
    ※ 스크린 설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보온력은 증가하나 점점 보온력의 증가 정도가 낮아짐

  • 스크린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설치비가 증가하며 온실 내 투광성이 떨어짐

    → 스크린의 내구연한을 고려하여 난방비 절감 효율에 따라 스크린 개수를 정하여야 함
    ※ 일반적으로 중부, 남부 지역 적정 스크린 개수는 2장

  • 스크린의 성능은 보온력이 아니라 U-value 값으로 표시되며 값이 낮을수록 보온력이 높음

스크린 선택 및 종류에 따른 설치 방법

  • 투광성이 높은 스크린(PE)을 아래쪽에 설치하고, 투광성이 낮은 스크린(알루미늄)을위쪽에 설치함

    ※ 투광성이 높은 것을 아래쪽에 설치해야 오전에 스크린을 열을 때 찬공기가 작물에 직접 닿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음

  • 스크린은 반듯이 겹치게 설치함
  • 스크린을 선택할 때 보온성도 중요하지만 습을 통과하는 투습성도 중요
  • 약광기에 작물을 재배하는 온실에서는 반듯이 투광성이 높은 스크린을 1장 이상 설치하여야 함
  • 스크린 개폐방법에는 예인식, 권취식, 기어 방식이 있으며 기어 방식이 고장이 적고 더 정교하게 온실을 제어할 수 있음
  • 스크린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설치비가 증가하며 온실 내 투광성이 떨어짐

    → 스크린의 내구연한을 고려하여 난방비 절감 효율에 따라 스크린 개수를 정하여야 함
    ※ 일반적으로 중부, 남부 지역 적정 스크린 개수는 2장

  • 스크린의 성능은 보온력이 아니라 U-value 값으로 표시되며 값이 낮을수록 보온력이 높음
천창을 이용한 효과적인 환기 방법

기존과 달라진 스크린 사용 방법

  • 기존 온실천창은 풍향의 반대창을(leeside)를 열어서 환기를 하였음
  • 대부분 한쪽(바람 방향창)은 크게 열고 반대창(leeside)은 닫거나 작게 열음

    → 찬바람이 직접 식물체 생장점에 닿거나 온실 내 온도 불균형이 발생하였음

    → 작물 내 미세기후(식물체 잎 주변)가 효과적으로 제어되지 못함

  • 투명스크린을 치고 양창을 작게 열게 되면 온실 내 환경이 균일해지고 작물 내 습도관리에 유리함

천창 개폐 방법에 따른 온실 내 환경 영향

가. 풍향 반대창(lee side) 열음

  • 온실에서 바람을 처음 받는 구역은 벤추리 효과에 의해 온실 내부의 공기가 밖으로 빠져나감
  • 풍향 반대 쪽 구역은 벤츄리 효과에 의해 빠져나간 공기를 채우기 위해 외부 차가운 공기가 온실 안쪽으로 들어옴

    → 풍향 구역 온실 공기는 반대 구역보다 온도가 높음

    → 풍향 반대 쪽 구역은 생장점에 찬공기를 직접 맞을 위험이 높아짐

나. 풍향창(wind side) 열음

  • 풍향 쪽 온실 구역에 찬바람이 직접 들어와 온도가 떨어지고 생장점에 찬바람을 직접 받게 되어 결로의 위험이 높아짐
  • 풍향 반대 쪽 온실 구역은 온실 내부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감

    → 풍향 구역 온실 공기는 반대 구역보다 온도가 낮음

    → 풍향쪽 구역은 생장점에 찬공기를 직접 맞을 위험이 높아짐
    ※ 온실 내부의 온도 및 습도차이가 크게 발생함

다. 양쪽 창을 열음(한쪽 창을 열때보다 창을 작게 열음)

  • 모든 구역의 풍향창에서 외부 공기가 안으로 유입되고 반대창으로 빠져나감
  • 풍향창 아래 식물들은 찬 공기를 직접 맞을 위험이 있으나 한쪽 창만 크게 열때보다는 위험이 적음
  • 풍향 반대창 아래는 생장점 아래의 공기가 위로 상승함

라. 투명스크린을 닫은 상태에서 양쪽 창을 열음(한쪽 창을 열 때보다 창을 작게 열음)

  • 모든 구역의 풍향창에서 외부 공기가 안으로 유입되고 반대창으로 빠져나감
  • 스크린에 의해 찬공기가 직접 식물에 닿지 않음
  • 절대습도차에 의해 작물 사이의 습한 공기가 스크린 사이로 빠져나와 온실 밖으로 배출됨

    ※ 온실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차이가 가장 적게 발생하며 찬공기가 직접 작물에 닿지 않아 결로와 일액의 발생 위험이 감소함

풍향 wind 가.풍향 반대창(Iee side)열음  나 풍향창(wind side) 열음 reduced window opening 다. 양창을 다 열음 Increased window opening  라. 투명스크린 치고 양창 열음

복사난방(온수난방)을 사용한 온실 난방

대류난방(온풍난방)과 비교한 복사난방(온수난방)의 장점

  • 복사열은 빛에너지로 공기를 덥히지 않고 직접 식물체 온도를 높임
  • 복사난방이 대류난방에 비해 식물체의 온도를 빨리 높일 수 있음
  • 공기온도에 비해 식물체 온도가 비교적 높음

    → 식물체 증산을 촉진시켜 미량원소 흡수에 도움이 되며, 결로 및 일액을 예방

  • 공기의 비열은 낮아 난방기로부터 멀어질수록 온도가 급격하게 떨어짐
  • 물은 비열이 공기보다 높아 난방기부터 멀어져도 온도가 천천히 떨어짐

    ※ 복사난방이 대류난방에 비해 온실 내 온도가 균일하고 온도의 상승과 하강이 비교적 부드럽게 변함

온수난방에서 파이프 온도에 따른 복사열과 대류열의 크기

  • 온수난방을 하게 되면 복사열 뿐만 아니라 일정 부분 대류열이 발생함
  • 파이프의 온도가 높고 난방 객체의 온도가 낮을수록 더 많은 복사열이 발생함

    ※ Stefan-Bolzman 법칙에 의하면 온도가 높을수록 복사열의 비율이 증가
     예시) 공기와 작물 온도가 18℃, 파이프 두께가 51mm 대류열과 복사열 발생 정도

    ※ 30℃에서 전체 에너지 중 복사열 비중은 32%였으나 75℃에서는 37%로 파이프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복사에너지 비율이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음

온수난방에서 파이프 온도에 따른 복사열과 대류열의 크기
파이프온도(℃) 복사열(W/㎡) 대류열(W/㎡) 파이프 총에너지(W/㎡)
20 9.0 20 4.7
25 32.5 70 16.4
30 57.0 120 28.3
45 138.6 270 65.4
55 199.7 370 91.2
65 266.8 470 117.9
75 340.0 570 145.6
85 419.8 670 174.4
90 462.3 720 89.2
생산성 증대를 위한 온도, 광, 습도, 이산화탄소 등 환경제어

광량과 온도와의 관계

광량이 증가함에 따라 온도가 높아짐

  • 기본적으로 광량이 증가함에 따라 온실 내 평균온도를 높임

    ※ 광량이 낮아지면 평균온도도 따라서 내림

이산화탄소, 온도에 따른 광합성 속도

  • 같은 광량이라도 공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낮으면 평균온도를 낮추어야 함
  • 일반적인 공기 중 이산화탄소 350ppm에서는 평균온도 23℃이상에서 광합성량이 감소하나 1000ppm에서는 32℃증가

이산화탄소, 온도, 광량에 따른 광합성 속도

  • 광량(PAR)가 증가함에 따라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을 때 광합성 속도가 빨라짐
  • 광량(PAR)가 증가함에 따라 온도도 높아지면 광합성 속도가 빨라짐
  • 광량(PAR)이 증가하고 이산화탄소 농도와 온도가 높으면 광합성 속도가 가장 빠름

    ※ 온실 내 온도와 이산화탄소 농도는 광의 강도에 따라 조절

습도와 광합성과의 관계

  • 습도가 낮으면 기공이 닫히고 광합성이 감소하게 됨
  •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고, 광이 강하면 환기를 많이 하게 됨

    → 과도한 환기는 온실 내 습도를 떨어뜨리며 부가적으로 탄산시비의 효율성을 낮춤

    → 광이 강한 시기에는 온실 내 인공적으로 습도를 높이는 시설을 하여야 광합성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음

높은 습도에 의해 기공 열림높은 습도에 의해 기공 열림

스마트온실 작물재배 사례

식물 부하, 온도, 광량 관리

  • 광합성량은 한정되어 있음
  • 온도와 식물 부하(과일, 꽃, 어린잎, 뿌리)는 같음

    → 온도가 높으면 식물의 호흡량이 증가하고 생육이 빨라져 동화산물 소비가 증가

    → 동화산물 소비 = 식물부하 + 온도

  • 광량이 낮으면 식물부하를 감소시키거나 온도를 낮추어야 동화산물 균형을 유지하여 식물을 건강하게 키울 수 있음

동화산물 생산 광합성 동화산물 소비 식물부하가 내려가면 온도는 올라감(광량은 낮으나 과일이 많으면 평균온도를 낮추거나 과일을 적과)

  • 광량, 화방수에 따른 온실 내 적정온도(토마토)
    광량, 화방수에 따른 온실 내 적정온도(토마토)
    화방 100 200 400 800 1200 1600 J/cm2/d
    2 18.5 18.7 19.3 20.4 21.5
    3 17.4 17.7 18.3 19.6 20.8
    4 16.5 16.8 17.2 18.2 19.2 20.1
    5 16.3 16.6 17.0 19.7 18.8 19.8
    6 16.0 16.3 16.7 17.6 18.6 19.5
    7 15.8 16.1 16.5 17.5 18.4 19.3
    8 15.5 15.8 16.2 17.2 18.1 19
    90 462.3 462.3 462.3 720 462.3 462.3

    * 광량이 작아질수록, 화방 수가 증가할수록 평균온도는 내려감

  • 일반적으로 지하부(배지, 토양)의 온도는 일몰 직후가 가장 높음

잘못된 지하부 온도에 대한 상식

  • 지하부의 온도는 광량이 강한 정오 직후 가장 높다고 생각함

    → 그러나 복사에너지가 유입되지 않는 일몰 직후가 가장 높음

  • 일몰 무렵 지하부 온도가 높아 여러 가지 문제 발생

    → 지하부 온도가 높으면 근압(root pressure)이 높아짐

    → 높은 근압은 지상부의 온도 저하하면 일액이 발생

    → 일액은 모든 작물에서 지하부에는 근부를 썩게 만들어 시들음병 유발, 지상부에는 잿빛곰팡이병 등 곰팡이병을 유발

  • 지하부의 온도가 높아 Ca, B, Fe 결핍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래의 그래프와 같이 근권의 최고, 최저온도 변화는 크지 않음

(강광기(6월) 일중 광량, 지하부, 공기온도 변화)(강광기(6월) 일중 광량, 지하부, 공기온도 변화)

(약광기(2월) 일중 광량, 지하부, 공기온도 변화)(약광기(2월) 일중 광량, 지하부, 공기온도 변화)

(일몰 직후 온실 내 근권 주변 온도)(일몰 직후 온실 내 근권 주변 온도)

근압에 의한 일액 발생 예방 방법

  • 일몰 후 근권온도가 높으면 근압도 같이 높아지므로 관수를 일몰 전 일찍 마감하여 근권 수분 함량은 낮추고 EC는 높여 근압을 낮추어 줌
  • 작물의 체온이 천천히 떨어지게 하면 기공이 천천히 닫혀 근압을 낮추는데 도움이 됨
  • 온풍난방(대류난방)보다는 온수난방(복사난방)이 근압을 낮추는데 유리함
환경제어 실패로 곰팡이병 다 발생(대형온실, 흐린 날)
  • 발생

    지역 : 화성 / 시기 : 12월
  • 이상증상

    지상부는 잿빛곰팡이, 잎곰팡이병, 점무늬병, 지하부는 시들음병 발생
  • 원인분석

    - 겨울철 흐린 날은 비교적 따뜻한 날로 전체적으로 난방부하는 발생하지 않음

    - 일출 후 온도도 완만하게 상승(시간 당 1℃ 정도 상승)하고 있음

    - 그러나 주간 HD가 2 이하로 증산을 하지 못하고 있음

    - 증산을 하지 못하면 Ca흡수율이 떨어져 세포가 약해지고 병해에 취약해짐

    - 습도가 높은 상태가 지속되어 곰팡이병에 취약해짐

  • 기술지도

    - 겨울철 흐린 날 낮에는 난방과 환기를 동시에 시행하여 작물의 증산을 유도할 것

    - 최소난방파이프 또는 유동팬을 이용하여 식물주변의 미세기후를 관리할 것

환경제어 실패로 곰팡이병 다 발생(대형온실, 맑은 날)
  • 발생

    지역 : 화성 / 시기 : 12월
  • 이상증상

    지상부는 잿빛곰팡이, 잎곰팡이병, 점무늬병, 지하부는 시들음병 발생
  • 원인분석

    - 수경재배로 광량제어를 하고 있으나 오전 환기가 없어 증산이 없는 상태에서 광량에 따라 관수가 되어 뿌리에 습해가 발생하였음

    - 난방용량이 충분하지 못하여 해 뜨기 직전 온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난방설계가 잘못되어 온실내 온도차가 크게 발생하고 있음

    - 일출 후 온도가 급상승(시간 당 3℃ 정도 상승)하여 잎에 결로가 발생하고 있음

    - 난방은 대류난방으로 식물체보다 공기온도가 너무 높아 결로에 취약함

    ※ 낮은 야간습도(높은 HD)에도 불구하고 곰팡이병 발생이 많았던 것은 온실 내 환경이 불균일하고 온도변화가 컸기 때문임

  • 기술지도

    - 일출 후 온도가 급상승하지 못하게 환기를 철저히 할 것

    - 구역별 온도편차 및 난방용량을 증가시킬 것(축열탱크)

    - 온수난방 위주로 난방을 할 것

저온기 습도, 온도 등 환경제어(예시)

환경데이터 해석

  • 구역의 2개 온도계의 온도가 비슷함

    → 온실 내 수평온도차가 발생하지 않음

    ※ 수평온도차가 발생하는 것은 배관, 축열탱크 설계가 잘못된 것임

  • 저녁 12시부터 일출 2시간 전까지 온도가 수평으로 유지되고 일출 2시간 전부터는 온도가 상승하기 시작

    → 온실의 난방설비가 적절하게 설계되었고 난방 용량도 충분함

  • 최저온도 오전 7시, 14℃에서 온도가 상승하여 12시, 22℃로 비교적 완만하게 상승
  • 야간 습도는 높음(HD 1g/㎥)

(12월 초 맑은 날 온실 내 환경데이터)(12월 초 맑은 날 온실 내 환경데이터)

온실 환경 관리 결과

  • 야간습도가 높음에도 곰팡이병 발생이 없음
  • 구역별 생장속도의 차이가 없이 균일함
스크린 사용에 의한 잎의 냉각효과로 증산 유도(광이 강한시기)
  • 발생

    지역 : 논산 / 시기 : 6월
  • 환경

    • 광이 강하고 기온이 높으며 공기가 건조함
    • 한낮의 잎의 온도가 공기 온도보다 높음
    • 스크린을 사용하자 공기온도는 그대로이나 잎의 온도는 공기온도보다 내려감
  • 데이터 분석

    • 광이 강하면 복사에너지에 의해 잎의 온도가 증가함
    • 강한 광에 의해 환기를 많이 하게 되어 온실 내 습도는 매우 낮음(높은 HD)
    • 스크린을 사용하지 않으면 VPD가 높아져 기공이 닫히게 되고 잎이 증산을 멈추게 되나 스크린 사용하는 경우 잎에 도달하는 복사에너지의 양이 줄어 공기의 온도와 잎의 온도가 역전됨
    • 스크린을 사용한 이후부터 증산작용을 시작했음
  • 기술지도

    스크린을 활용하여 차광을 실시하자 엽온이 기온보다 내려가고 증산을 시작

  • ※ 환기창을 열고 직조스크린(air tight screen)을 닫을 경우 온실 내 절대습도(AH)가 하강함
  • ※ 약광기 수확시기를 앞당기기 위한 강한 적엽 방법
  • ※ 일출 후 수직온도 차에 의한 결로 발생 및 해결방안
  • ※ 일몰 후 수직 온도차에 의한 결로 및 일액 발생 문제

    같은 방법으로 서술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