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유농업(care farming)은 농장 및 농촌경관을 활용하여 정신적ㆍ육체적 건강을 회복하기 위해 제공되는 모든 농업활동을 뜻함

상처를 치유하고 마음 건강을 지키는 치유농업

▷ OECD 어린이 청소년 행복지수 6년 연속 최하위
▷ "성적 압박, 게임 중독, 학교 폭력에 시달려..."
▷ 직장인 10명 중 9명, 모든걸 팽개친채 사라지고 싶은 순간이 있다.
▷ 만성피로 증후군, 정신가출 증후군, 번아웃 증후군
▷ 우리나라 노인 10% 이상 "가난과 질병으로, 자살을 생각한 적 있다"
▷ 노년층을 괴롭히는 질병, 빈곤, 외로움 혹시 당신의 이야기는 아닌가요?
▷ 가만히 귀 기울여 보세요. 당신의 아픈마음을 고쳐드립니다. 치유농업
▷ "식물을 기르면 공감능력이 높아져요" 공격성 13%감소, 정서지능 4% 향상
▷ "강아지와 눈맞추고 안아주면 행복 호르몬이 샘솟아요" 자아존중감 13%향상, 부정적 정서 35% 감소
▷ "텃밭 가꾸면 마음의 감기 안걸려요" 노인 우울증 24% 감소 효과
▷ "왕귀뚜라미 돌보면서 마음의 안정을 찾았어요" 세계최초, 곤충의 심리치유효과 밝혀
▷ "꽃을 만지면 행복호르몬이 샘솟아요" 성인 암환자, 원예치료 8번만에 세로토닌 40% 증가
▷ 상처를 치유하고 마음 건강을 지키는 치유농업


농업·농촌 자원에는 식물, 동물, 농작업활동, 웰빙음식, 농촌문화가 있음. 치유서비스 유형에는 건강치유, 교육, 사회적 재활, 고용이 있음. 서비스 제공 주체에는 치유농장, 보건의료기관, 교육기관, 사회복지·재활기관이 있음. 치유대상에는 일반대상-유아, 초등학생, 중·고등학생, 성인, 노인이 있음. 도움이 필요한 대상-문제행동 청소년, 시채적 환자, 사회심리적 환자, 알콜/약물중독자, 장애인, 수감자, 실업자, 소외계층, 다문화 가정이 있음.

최근 ‘치유’와 함께 사용하는 용어인 ‘힐링(Healing)’의 사전적 의미는 치료로도 해석되나 현재 트렌드에서 말하는 힐링은 우리말의 치유에 가깝다.

우리 국어사전에 치료는 상처나 증상을 다스리는 행위 즉, 의료기술이 동원된 의학의 영역이며, 치유는 치료를 통해 상처가 나아가는 과정을 의미하며 상처가 나아가는 과정에 관여하는 요법 등을 담은 넓은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

따라서 치유농업이란 농업·농촌 자원이나 이를 이용해 국민의 신체, 정서, 심리, 인지, 사회 등의 건강을 도모하는 활동과 산업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치유농업의 범위는 채소와 꽃 등 식물뿐만 아니라 가축 기르기, 산림과 농촌문화자원을 이용하는 경우까지 모두 포함하며 그 목적은 더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는 사람들을 비롯해 의료적·사회적으로 치료가 필요한 사람들을 치유하는 것이다. 일반 농사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농사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건강의 회복을 위한 수단으로 농업을 활용한다는 것이다.

즉, 체계화된 프로그램 하에서 농사일을 치유의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건강, 돌봄 서비스 등이 있다. 농업 선진국에서는 치유농업, 사회적 농업, 녹색치유농업, 건강을 위한 농업 등 다양한 용어로 표현하며 본질적으로는 ‘치유를 제공하기 위한 농업의 활용’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출처 : 「 한국·네덜란드 치유농업 총서」 Ⅰ 치유농업의 이해 - Part1 : 치유농업과 치유농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