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 소비트렌드 분석
농업인 소득 향상과 농업경쟁력 제고를 위해 변화하는 농식품 소비정보를 분석하여 농업인과 R&D부서의 의사결정을 지원합니다.
농식품 소비트렌드 분석은?
- 농식품 소비트렌드 발표대회, 지역·품목별 찾아가는 농식품 소비트렌드 발표회를 통해 농업인의 영농계획, 출하·마케팅 전략 수립을 지원합니다.
- 농식품 소비와 관련된 현안 분석과 연구부서 대상 맞춤형 소비정보 분석으로 소비자 지향적인 R&D 방향 설정을 지원합니다.
- 농업인
- 영농·마케팅 의사결정 지원
- 구매정보
- 방향설정 지원
- 정책·R&D
현황
전국 2,400여 가구의 월별 농식품 가계부를 수집하고 있으며, 2010년부터 2023년까지 약 1,700만 건의 데이터를 활용합니다.
- 초기 표본 설계 - 수도권 1,000가구 2009
- 1차 표본확대 - 광역시 추가 1,500가구 2015
- 2차 표본확대 - 중소도시 추가 2,050가구 2017
- 3차 표본확대 - 수도권 1,000가구 추가 2020
- 현재 - 수도권 1,400가구 운영(누계 1,700만 건 DB) 2024
- 주 구매자 특성
- - 연령, 성별, 직업
- - 가구소득, 가구규모
- - 가구 구성원 유형
- 구매 시기
- - 구매 일시
- · 일, 주, 월 연간 단위
- · 외부데이터 연계 가능
- 농식품 구매 특성
- - 구매약, 구매 특성
- - 구매 단위(중량, 개수)
- - 구매 장소, 구매 수단
- 세부 농식품 정보
- - 신선·가공식품(500여종)
- - 원산지·브랜드
- - 세부 특성(품종, 부위 등)
- 일자별 영수증 → 농촌진흥청소비자 패널 가계부 ⇒ DB
- 활용 ⇒ 농업인 영농의사 결정지원, 유통업체 마케팅전량 수립 지원, R&D지원·학술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