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농업자재
농업자재
영농기술
영농기술
농업경영
농업경영
연구정보
연구정보
생활농업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농사로소식
검색
화면크기
작게
보통
조금 크게
크게
가장 크게
초기화
전체메뉴
농사로
전체메뉴
농사로 활용가이드
전체메뉴 닫기
통합검색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통합검색
직원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검색 닫기
홈
영농기술
농업자재
영농기술
농업경영
연구정보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현장정보
농업환경
작목정보
현장정보
영농활용정보
축산정보
한국표준사료성분표
친환경농업
해외농업
수출농업
디지털농업
현장기술지원 사례
이달의 농업기술
SNS로 보는 농업 이모저모
현장 전문가 칼럼
현장기술지원 사례
현장기술 상담결과
농촌 소식/행사
농산물가격
관심작목설정
sns공유
열기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밴드
블로그
URL 복사
프린트
충청남도 청양군
수박
시설재배 수박에 시들음증상이 발생했어요
기술지원일
2012-06-21
작성자
김태영
조회수
1,450
현장기술지원 개요
일 시 : 2012. 6. 21.
장 소 : 충남 청양군
농가의견
수박정식 후 바랭이 등이 올라올 때 제초제 피해처럼 잡초의 생장점이 노랗게 변하고, 잡초의 잎이 노랗게 변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남에 따라 제초제 피해가 아닌지 의심하고 있음
현지조사 결과
경종개요
재배작물 : 수박(품종 : 우리꿀)
재배면적 : 3,670㎡
정식시기 : 2012. 3. 26.
재배형태 : 시설하우스 재배
현장조사 결과
하우스내를 관찰한 결과 초기에 제초제 약해로 의심되었던 바랭이, 피 등의 황화현상이나 백화현상은 발견할 수 없었으며 잡초도 정상적으로 생육하고 있었음
수박 착과는 3줄 유인하여 15~20마디에서 1개만 착과
단동형 하우스 1동에 440포기 정식을 하였고 현재 고사된 포기는 10%정도인 40포기 정도가 고사가 된 상태임
고사된 포기 중에서 수확기에 있는 수박포기도 고사가 된 상태 임
고사된 포기와 정상적인 포기의 뿌리를 보면 대부분 새로운 뿌리가 없고 특히 고사된 포기의 뿌리는 뿌리의 길이가 짧은 상태였음
하우스와 하우스 사이의 배수시설에 가뭄이 계속되고 있어도 물이 고여 있는상태 임
토양분석 결과
재배포장의 지하수위가 높아 뿌리 내림이 좋지 않은 토양임
민원인농가 포장의 토양특성은 배수가 약간 불량한 식양질 토양임.
민원인농가의 토양화학성은 pH가 6.0이며 질산태질소는 250mg/kg이고 토양수분이 31.3%로 과다함
■ 현지 간이 토양검정 결과
현지 간이 토양검정 결과 표
구분
pH
질산태질소(mg/kg)
전기전도도(dS/m)
토양수분(%)
토양온도(℃)
수박재배농가
6.0
250
1.3
31.3
36.0
적정수준
6.0~6.5
50~150
2 이하
-
-
종합 검토의견
민원인은 전년도 살포한 제초제 피해로 의심하나 살포한 제초제가 근○○나 그○○으로 토양에 떨어지면 즉시 불활성화 되므로 이들 약해로 보기 어려우며
일반적으로 제초제 약해이면 정식 직후에 바로 나타나야 하나 정식후 45일이 지나 착과시에 나타났으며 현재까지도 뿌리가 생존하고 있는걸로 보아 제초제 피해는 아닌 것으로 판단됨
현지 간이 토양검정 결과 토양수분이 과다한 상태였으며 질소성분이 약간 높아 수박의 생육이 저조함
현장에서 채취한 고사한 수박샘플을 전자현미경으로 검정한 결과 병원균이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생리장애 증상인 급성 시들음 증상으로 추정됨
급성시들음 증상은 현재 까지 정확히 발생 원인이 규명된 것은 없으나 일반적으로 수박착과 후에 주로 발생하고. 뿌리의 흡수력이 떨어지고 강한가지 제거, 일조부족 등으로 착과에 부담이 클 때는 잎과 과일 간에 수분 경합이 일어나 시들음 증상이 나타날 수 있음
금후 기술지도 방향
수박 심기 1~2개월 전에 토양검정을 실시하여 알맞은 시비
작물재배 후 볏짚을 10a당 2,000~3,000kg을 넣어 골고루 섞고 심경하여, 흙의 구조와 배수개선 등 토양 물리성을 개선해 주어야 함
포장의 토양특성이 식양질 토성이고 배수가 불량하여 토양수분이 과다하므로 포장정비 시 두둑을 높여주어 물 빠짐이 좋게 이랑을 만듬
고랑을 깊이 파서 물이 잘 빠지게 하여 수분과다에 따른 환원장애를 방지해 주어야 하고 동시에 가뭄 시에도 적절한 물관리를 하여야 함.
특히 시설하우스 동과 동 사이의 배수로를 깊이 파서 배수가 잘 되도록하며 배수로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함
생육단계별 환경(온도. 관수. 습도. 환기 등)관리를 잘하여 건전 생육 도모
관련 사진
정상주 착과
고사주 착과
생존주와 고사주 혼재
고사주 뿌리
정상주 뿌리
하우스와 논의 경계지점의 배수구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