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농업자재
농업자재
영농기술
영농기술
농업경영
농업경영
연구정보
연구정보
생활농업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농사로소식
검색
화면크기
작게
보통
조금 크게
크게
가장 크게
초기화
전체메뉴
농사로
전체메뉴
농사로 활용가이드
전체메뉴 닫기
통합검색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통합검색
직원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검색 닫기
홈
영농기술
농업자재
영농기술
농업경영
연구정보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현장정보
농업환경
작목정보
현장정보
영농활용정보
축산정보
한국표준사료성분표
친환경농업
해외농업
수출농업
디지털농업
현장기술지원 사례
이달의 농업기술
SNS로 보는 농업 이모저모
현장 전문가 칼럼
현장기술지원 사례
현장기술 상담결과
농촌 소식/행사
농산물가격
관심작목설정
sns공유
열기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밴드
블로그
URL 복사
프린트
전라북도 무주군
고추
미등록 약제를 사용하여 고추가 피해를 입었어요
기술지원일
2012-06-27
작성자
김태영
조회수
2,548
현장기술지원 개요
일 시 : 2012. 6. 27.
장 소 : 전북 무주군
농가의견
고추밭에 살포할 응애약으로 “○○○”을 농협에서 구입하여 살포한후약해가 발생하였으므로 농약 판매자인 농협에서 피해액을 보상해 줄 것을요구
현지조사 결과
경종개요
재배작물 : 고추
재배면적 : 15,000㎡
파종시기 : 2012. 4. 29.
재배형태 : 노지재배
현장조사 결과
고추에 응애와 담배나방을 방제하기 위하여 농협에서 ○○○(응애약),△△(담배나방) 등을 구입하여 고추밭에 1회 또는 2회 살포하였다고 하며,
고추에 나타난 피해증상은 신초 부위의 잎이 오그라들면서 기형증상이 나타나 경엽과 열매의 생장이 지연된 상태로 회복되더라도 고추의 생산량 감수가 클 것으로 예상되며,
농가의 재배관리 부실로 인한 병해로 의심되는 시들어 고사되는 개체가 ①농약과 칼슘제를 혼합하여 1회 살포한 고추밭은 1.6%, ②농약과 요소를 혼합 살포후 농약과 칼슘제 혼합 살포 등 2회 살포한 포장은 13.5% 이었음
고추의 생육과 결실은 품종, 정식시기, 재식방법, 관리방법 등에 따라서 차이가 있겠으나 초장은 ①의 경우 75~80cm, ② 는 70~75cm로 나타나 인근 정상 고추밭 85~90cm 보다 생육이 떨어졌으며, 고추길이 1.0cm 이상결실량은 정상주(인접 고추밭)는 15~21개/주인데 반해 패해주는 5~8개/주로 조사되었음
병원균 감염에 의한 피해로 의심되는 고사한 식물체를 채집하여 병원균을분리 배양하여 조사한 결과 Fusarium 균이 검출 되었으나, 유사증상을 나타내는 청고병균과 역병균은 검출되지 않았음
종합 검토의견
고추에 나타난 피해증상은 사과, 배, 당귀, 거베라 등에만 사용 등록된 응애약을 고추에 살포함으로서 발생된 피해로 판단됨
고추에 나타난 피해로 인하여 고추의 수확량 감소가 예상되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정상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됨
작물에 살포하는 농약은 판매자나 사용자 모두 해당 작물에 사용 등록된약제만을 사용하도록 유념해야 하며, 여러 종류의 농약을 혼합할 경우 혼합가능여부를 확인하고, 농약과 영양제의 혼합사용은 자제해야 할 것임
금후 기술지도 방향
고추의 빠른 회복을 위하여 추비와 요소비료 0.1~0.2%액을 1주 간격으로 2회 정도 살포
금후 고추 역병, 탄저병등의 피해 예방을 위하여 적용 약제를 적기에 살포하도록 할 것
적기 수확으로 다음 고추의 자람을 좋도록 관리
관련 사진
○○○ 2회 살포포장 전경
○○○ 1회 살포포장 전경
○○○ 살포포장 고추잎 상태(좌:2회, 우:1회)
열매 착생상태(좌:정상, 우:○○○ 2회살포)
인근 정상생육 고추밭 전경(2줄재배)
병해로 의심되는 피해주(병원균 불검출)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