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농업자재
농업자재
영농기술
영농기술
농업경영
농업경영
연구정보
연구정보
생활농업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농사로소식
검색
화면크기
작게
보통
조금 크게
크게
가장 크게
초기화
전체메뉴
농사로
전체메뉴
농사로 활용가이드
전체메뉴 닫기
통합검색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통합검색
직원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검색 닫기
홈
영농기술
농업자재
영농기술
농업경영
연구정보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현장정보
농업환경
작목정보
현장정보
영농활용정보
축산정보
한국표준사료성분표
친환경농업
해외농업
수출농업
디지털농업
현장기술지원 사례
이달의 농업기술
SNS로 보는 농업 이모저모
현장 전문가 칼럼
현장기술지원 사례
현장기술 상담결과
농촌 소식/행사
농산물가격
관심작목설정
sns공유
열기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밴드
블로그
URL 복사
프린트
광주광역시 북구
토마토
토마토 묘의 화방 발생차이에 대하여
기술지원일
2012-09-14
작성자
김태영
조회수
2,231
현장기술지원 개요
일 시 : 2012. 9. 14.
장 소 : 광주광역시 북구
농가의견
토마토 묘를 인근 H육묘장(1,000주)와 S육묘장에서 공급받아 재배중 S육묘장에서 공급받은 묘에서는 첫 화방이 발육되지 않고 퇴화현상이 나타나육묘과정에서 잘못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주장
현지조사 결과
경종개요
재배작물 : 토마토(다복)
재배면적 : 5,280㎡(2970㎡와 2,310㎡ 2동)
정식시기 : 2012. 8. 14.(6. 29 파종)
재배형태 : 비닐하우스내 멀칭재배
조사결과
토마토는 ‘다복’ 품종으로 S육묘장(12,000주)과 H육묘장(1,000주)에서 공급 받아 비닐하우스 A동에는 S육묘장과 H육묘장 묘를 정식하였고 B동에는 S육묘장 묘만을 정식하여 재배하고 있음
동일 비닐하우스에서 재배중인 H육묘장 묘는 전개엽 마디수와 초장이 각각 14~16개에 96~105cm 이었으며, S육묘장 묘는 12~13개에 74~85cm로 생육이 H육묘장 묘가 왕성하게 나타났음
토마토의 분화 화방수중 개화이상 화방수는 H육묘장 묘는 1~2개로 수정단계이고, S육묘장 묘는 2개로 첫화방이 퇴화된 개체는 2화방이 수정단계이며, 일부 첫화방 착과 개체는 직경이 2.0~3.5cm 정도의 과실이 발육중이나 기형으로 발육되는 과실이 많았으며, 화방에서 잎줄기가 발생되는 개체가 많았음
동일한 S육묘장 묘를 재배중인 두 장소의 연동비닐하우스에서 A동(2,970㎡)과 B동(2,310㎡)의 토마토 생육상태를 보면 B동은 A동에 비하여 생육이 균일하고 초장이 5~10cm 작았으며 첫 화방 착과수가 62%로 A동의 24%보다 양호하였음
봄 작기전에 10a당 우분퇴비 3,600kg, 석회 90kg, 붕소 2kg을 시용하였고, 가을작기에는 계분 3,600kg, 붕소 2kg을 시용하였다고 함
토양특성은 배수가 약간 불량한 평택 미사식양질 토양으로서 현지 간이토양조사결과 토양수분 41.2%, pH 6.0, EC 2.8로 과습상태이고 질산태질소 함량이 500㎎/kg 이상으로 매우 높았으며, 토양정밀분석결과 OM, EC, N, P, K, Ca, Mg,B 등의 함량이 과다하였음
S육묘장을 방문한 결과 농협에서 운영하는 대형 육묘장으로서 여름철 냉방 시설이 갖추어져 있으나 금년 여름에는 가동을 하지 못했으며, 여름철이라서 토마토묘는 ○○○농가에 공급분만 육묘하여 공급하였다고 함
◎ 토양 분석결과
(농업기술실용화재단, 2012. 9.)
토양 분석결과
구 분
pH
(1:5)
OM
(g/kg)
EC
NO
3
-
-N
Av. P
2
O
5
K
Ca
Mg
B
(mg/kg)
Ex.(cmol
+
/kg)
○○○
6.5
40
6.56
462
1,539
3.11
14.1
5.6
3.59
적정범위
6.0-6.5
20-30
<3
70-200
400-500
0.70-
0.80
5.0-6.0
1.5-2.0
-
종합 검토의견
토마토의 생육상태로 보아 재배관리가 잘 이루어져 있으나, 질소흡수량이 많아약간 웃자람과 잎이 구부러지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으며,
S육묘장 묘의 경우 첫 화방이 퇴화되어 흔적만 남아 있을 정도이고 개화중인 2화방 이상 화총의 발육 상태도 정상보다 빈약하며 H육묘장 묘도 생육량에 비하여 첫 화방 발생이 상승되어 발육이 충실하지 못한 것으로 관찰되었음
특히 동일한 S육묘장 묘중에서도 A동(2,970㎡)에서 위와 같은 현상이 두드러지며, B동(2,310㎡)의 토마토는 생육량도 약간 적고 균일하였으며 첫화방 결실개체가 62%로 나타났으나, A동은 24%로 생육차이가 나타나는 것은 정식후 재배환경의 차이에서 기인된 것으로 추정됨
토마토는 육묘시 고온 등 조건에 의하여 첫 화방의 착화절위가 상승되거나 발육이 빈약해지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정식 후에도 고온, 토양수분 과다, 유기물, 질소 및 칼륨 등 치환성 염기, 붕소 등 성분의 과다에 의하여 화방의 이상발육 현상이 나타날 수 있음
토양조사에서도 배수가 약간 불량한 미사질 토양으로 토양수분이 과다한 상태로 습해에 따른 생육장해가 우려됨
이상을 종합해 볼때 토마토의 첫 화방의 기형 현상은 육묘 중에 묘의 소질과도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나, S육묘장에서 다른 농가에 보급한 묘가 없어서 현재로선 알 수가 없으며, A동과 B동의 토마토 발육상황을 통하여 판단해 볼 때첫 화방의 발육 부진과 착화절위 상승에는 육묘환경의 영향 외에 정식 후 토양중 수분과 질소과다 등 양분 불균형에 의해서 어느 정도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됨
금후 기술지도 방향
화방에 잎줄기가 발생되면 꽃의 발육이 약해지므로 조기에 제거시켜야 함
토마토 정식 후에는 충분히 관수한 후 다소 건조하게 관리하고 과실 비대기에는토양 수분이 충분하도록 관리함
질소 및 칼륨 과다는 붕소의 결핍을 야기시키고 또한 붕소의 과다 시용은 작물의 생육장해가 크므로 붕소 시용을 줄이며 칼륨 과잉시 칼슘과 마그네슘 결핍이 유발되므로 토양검정에 의한 균형시비가 중요함
토양염류와 비료성분이 매우 과다하므로 작물재배 후 물을 충분히 관수하여 과다한 영양염류를 제거하고 토양검정시비로 알맞은 비료를 시용해야 하며, 시설하우스 주변에 배수로를 깊게 파서 우기에 과습되지 않도록 함
관련 사진
A동의 토마토 생육상태(좌:접목묘, 우:실생묘)
B동의 토마토 생육상태(생육이 균일한 실생묘)
화방에 잎줄기 발생상태(꽃의 발육이 빈약함)
기형 과실(A동 비닐하우스)
첫 화방의 퇴화현상
토양내 질산태질소 함량( 500㎎/kg 이상)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