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농업자재
농업자재
영농기술
영농기술
농업경영
농업경영
연구정보
연구정보
생활농업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농사로소식
검색
화면크기
작게
보통
조금 크게
크게
가장 크게
초기화
전체메뉴
농사로
전체메뉴
농사로 활용가이드
전체메뉴 닫기
통합검색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통합검색
직원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검색 닫기
홈
영농기술
농업자재
영농기술
농업경영
연구정보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현장정보
농업환경
작목정보
현장정보
영농활용정보
축산정보
한국표준사료성분표
친환경농업
해외농업
수출농업
디지털농업
현장기술지원 사례
이달의 농업기술
SNS로 보는 농업 이모저모
현장 전문가 칼럼
현장기술지원 사례
현장기술 상담결과
농촌 소식/행사
농산물가격
관심작목설정
sns공유
열기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밴드
블로그
URL 복사
프린트
강원도 고성군
단고추(피망,파프리카,착색단고추)
고랭지 피망의 생육이 이상해요
기술지원일
2017-07-21
작성자
이종남
조회수
1,545
현장기술지원 개요
일 시 : 2017. 7. 21.
장 소 : 강원도 고성군 진부령로 658(간성읍 흘리)
출 장 자 : 고객지원담당관실 이종남 연구사 김숭열 · 예완해 · 이주영 기술위원
- 현장조사협조 : 고성군농업기술센터 박성주
영농현황
농 가 명 :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 흘리 박○배(010-*665-4794), 임○석(010-*065-6279)농가
작 물 명 : 피망
재배면적 : 박○배(4,000㎡), 임○석(6,600m2)
재배방식 : 흑색비닐멀칭 1열 또는 2열 재식재배
농가의견
최근 고랭지피망에 생육 이상증상이 발생되어 착과량 감소와 품질이 떨어지는 피해가 발생되므로 이에 대한 원인규명과 대책이 궁금함
현장조사 결과
간성읍 흘리의 고랭지에서는 40여 농가(약 40ha)에서 오래 전부터 피망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으로 최근 1~2년 사이에 재배중인 피망에서 고온기에 이상증상이 발생되어 착과량이 감소와 품질이 떨어지는 피해가 점점 확산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으며,
현장조사 결과 피망 이상증상은 진딧물과 총채벌레에 의하여 전염되는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CMV)병으로 진단되었으며, 이 바이러스병에 감염된 식물체는 경엽과 과실의 발육이 저해되고 과실에 갈색줄무늬가 발생되는 피해가 발생됨
이와 같은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병(CMV) 피해의 발생정도는 현장기술지원 시 민원인 박○○ 농가의 경우 0.1% 미만이나 앞으로 점점 증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으며, 인근에 있는 임○○ 농가의 경우 비닐하우스 1개동(330㎡)에는 50% 이상 발생되어 거의 뽑아 버린 상황이었음
피망의 초장은 50~60㎝ 정도이고 포기당 과실수는 두 번째와 3번째 방아다리에 4~6개가 착과되어 잘 발육되어 착색기에 접어들어 수확시기가 지난 상태이나 줄기의 윗부분에서 새로 발육되는 과실이 많지 않은 상황임
현장에서 토양 간이검정 결과 pH 5.7로 적정 미달이고, EC 1.2(ds/m)로 적정 수준이며, 100㎝ 이상의 유효 토심과 배수가 양호하여 피망재배에 적지로 판단되었음
간성읍 흘리 지역은 매년 계분을 시용해 온 관계로 인산 함량이 높고 유기물 함량은 미달되어 양분 불균형에 의한 흡수 장해로 피망의 수량과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임
종합 검토의견
고성군 간성읍 흘리 지역의 피망재배 포장은 토심이 깊고 배수가 잘 되는 마사토로서 작물재배에는 좋은 조건이나 매년 계분을 시용해 온 관계로 인산함량이 높고 유기물 함량이 적으며 pH(산도)가 5.7로 적정 수준 6.0~6.5보다 낮아 피망의 양·수분 흡수에 장애를 유발시킬 수 있는 조건임
수년간 연작과 생육초기 고온 건조(금년)로 바이러스병을 매개시키는 진딧물과 총채벌레의 다발생으로 인하여 현재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병 감염에 의한 생육불량과 과실에 피해증상이 농가 또는 포장에 따라서 차등적으로 나타나고 있음
따라서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병의 매개충인 진딧물, 총채벌레 등의 서식처를 완전히 차단하고 예방차원의 방제 조치가 필요함
또한 재배지에 축적된 인산함량을 낮추기 위해서는 축분(계분) 중심의 시용을 줄이고, 볏짚 등 우량 유기물과 비료를 시용하여 양분 불균형에 의한 특정 양분흡수 장애 현상을 개선해야 할 것임
금후 기술지도
바이러스 이병주는 조기에 발췌하여 땅속에 묻고 매개충의 방제약을 주기적으로 살포할 것
피망은 병충해에 약한 작물이므로 사전에 해충과 병해 예방에 철저를 기해야 함
토양에 인산 함량이 높으므로 계분의 사용 자제하고 볏짚. 우분을 이용하는 방안을 강구할 것
피망을 재배하는 동안 양분의 비절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토양내 유기물 함량을 높이는 비배 관리가 필요 함
관련 사진
피망재배 포장의 생육 상태(박◯◯ 농가)
바이러스병 발생 포장(임◯◯ 농가)
피망의 착과상태
피망의 착과상태와 경엽의 생육상태
바이러스병 감염 증상(잎, 과실)
현장기술지원 광경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