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농업자재
농업자재
영농기술
영농기술
농업경영
농업경영
연구정보
연구정보
생활농업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농사로소식
검색
화면크기
작게
보통
조금 크게
크게
가장 크게
초기화
전체메뉴
농사로
전체메뉴
농사로 활용가이드
전체메뉴 닫기
통합검색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통합검색
직원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검색 닫기
홈
영농기술
농업자재
영농기술
농업경영
연구정보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현장정보
농업환경
작목정보
현장정보
영농활용정보
축산정보
한국표준사료성분표
친환경농업
해외농업
수출농업
디지털농업
현장기술지원 사례
이달의 농업기술
SNS로 보는 농업 이모저모
현장 전문가 칼럼
현장기술지원 사례
현장기술 상담결과
농촌 소식/행사
농산물가격
관심작목설정
sns공유
열기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밴드
블로그
URL 복사
프린트
충청남도 논산시
수박
수박의 신초 및 뿌리 활착이 불량해요
기술지원일
2017-03-29
작성자
이종남
조회수
2,282
현장기술지원 개요
일 시 : 2017. 3. 29.
출 장 자 : 고객지원담당관실 이상준 서기관, 박삼수·예완해·김종진 기술위원
- 현장조사협조 : 논산시 농업기술센터 백재승 팀장 등2명
영농현황
농 가 명 : 충남 논산시 부적면 계백아호2길 28-3, 이 ○ 원
작 물 명 : 수 박(품종 : 우리꿀), 접목재배
재배면적 : 3,900㎡(단동형하우스 6동)
정 식 일 : 3월 5일
민원인의 의견
수박정식 후 새로 발생하는 신엽이 잘 나오지 않고 오그라지면서 뿌리의 활착이 지연되는 원인과 금후 관리대책 등에 대해 알고자 함
현장조사 결과
수박 정식 전 밑거름으로 유박비료 200㎏, 복합비료 10㎏ 시용하였고 정식 10일전에(2월 24일경)하우스내 이랑가장자리(양쪽 측창쪽)에 대장군을(glyphosate ammonium oxyfluorfen)살포 하였으며, 정식 전 코니도입제(imidacloprid)+살충제(스퍽)를 혼합하여 토양혼화처리 한 후 그 다음날 수박 묘를 정식하였고 정식 4일 후 발근제(e-좋은 뿌리대장) 관수를 하였음
수박 묘(3월 5일)를 인수 당시에는 이상이 없었으나 정식 후 3∼4일이 지나고부터 새순 위축(오그라지는 현상)현상이 전 포장에 발생하기 시작하여 수박묘를 공급한 육묘장에서 1차로 3월12∼13일에 120주를 가져와 보식하였고, 2차로 동일 육묘장에서 3월 24일에 수박 묘 2,800주를 인수 받아 재 정식을 하였으나 현재까지는 잘 자라고 있었음
3월 5일에 정식한 묘를 관찰하니 수박묘의 마디가 짧고 잎 색이 진한녹색을 띠면서 위축(오그라지는 현상)된 상태였음
하우스 온도관리는 녹색비닐 멀칭+소형터널+2중하우스내에 수박을 재배하고 있었음
민원인은 수박묘를 공급하기 전에 수박에 생장억제계통의 약제를 살포하여 정식 후 수박묘가 활착을 하지 못하고 잎이 위축되는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음.
일부 육묘장에서 모종의 외형을 좋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트리아졸계 테부코나졸(실바코,호리쿠어)과 디니코나졸(빈나리) 그리고 제초제 글리포세이트 암모늄 과 옥시플루오르펜(대장군)을 농업기술실용화재단에 의뢰
(현장에 채취한 수박묘와 배지 시료)
하여 분석한 결과 수박 묘 및 배지에서 농약성분이 검출되지 않았음
종합 검토의견
민원인의 포장에서 채취한 수박 묘와 흙을 분석한 결과 농약성분이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민원인이 의심하는 성질의 성분이 아닌 다른 요인에 의하여 생육이 부진한 것으로 추정되나, 현 단계에서는 판단이 곤란 함
재 정식한 수박 묘는 생육 단계별 환경관리(온도, 습도, 환기 등) 및 포장(수정, 병해충방제 등)관리를 잘하여 정상적인 생육이 되도록 하시기 바람
금후 기술지도
생육단계별 환경관리 유의(온도, 습도, 낮에 환기 등)
농약과 미량요소복합비료등과의 혼용시에는 반드시 혼용가능 여부를 확인 후 일부 소 면적 살포 후 확인하여 사용할 것.
관련 사진
수박묘 재정식 한 포장 전경
(좌) 재 정식 묘 (우) 생육부진묘
생육부진 묘 뿌리 상태
현장 포장 관찰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