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농업자재
농업자재
영농기술
영농기술
농업경영
농업경영
연구정보
연구정보
생활농업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농사로소식
검색
화면크기
작게
보통
조금 크게
크게
가장 크게
초기화
전체메뉴
농사로
전체메뉴
농사로 활용가이드
전체메뉴 닫기
통합검색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통합검색
직원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검색 닫기
홈
영농기술
농업자재
영농기술
농업경영
연구정보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현장정보
농업환경
작목정보
현장정보
영농활용정보
축산정보
한국표준사료성분표
친환경농업
해외농업
수출농업
디지털농업
현장기술지원 사례
이달의 농업기술
SNS로 보는 농업 이모저모
현장 전문가 칼럼
현장기술지원 사례
현장기술 상담결과
농촌 소식/행사
농산물가격
관심작목설정
sns공유
열기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밴드
블로그
URL 복사
프린트
광주광역시 남구
토마토
토마토 잎 가장자리 황화 및 갈색반점 피해 기술지원
기술지원일
2025-01-15
작성자
백동민
조회수
421
현장기술지원 개요
일 자
2025년 1월
장 소
광주광역시
영농현황
농 가 명: -
재배작물: 완숙토마토(품종:마스카라), 방울토마토(더하드)
재배규모: 5,520㎡(대형 비닐하우스 2개동)
정식일자: 2024. 11. 5. 촉성재배작형(출하기 1~6월)
재배방법: 시설하우스 토경재배, 친환경 재배(무농약)
농가 및 현장 의견
이상증상
- 발생시기: 2025. 1. 8. ~ 현재
- 발생증상: 4~5화방 사이 마디에서 출아된 잎 가장자리가 노랗게 되면서 갈색반점이 생기고 잎끝이 갈변 고사하는 증상을 보이며, 상위 새잎에서도 동일한 증상이 발생함
현장 조사 결과
방울토마토는 2~3화방까지 열매가 달리고 5~6화방 꽃이 진행되고 있으며, 1화방의 열매는 10~12개씩 달렸음
완숙 토마토는 2~3화방까지 열매가 달리고, 5화방 꽃이 진행되고 있으며, 1화방의 열매는 과실의 너비 70㎜, 높이 56㎜로 안정적으로 달렸음
하우스 온도관리는 낮 21~24℃, 밤 16℃ 정도로 관리하고 있으며, 호박벌이 3∼5마리 눈에 보일 정도로 안정적 관리 중임
2025년 1월 1일부터 이산화탄소(CO2) 840ppm 농도로 매일 7시 30분부터 11시 15분까지 공급하였음
병해충 피해조사 결과 친환경 방제법을 통한 안정적 관리로 뚜렷한 피해는 없었음
정식 15일 전 1,155㎡에 밑거름으로 혼합유기질비료(천**기: 가공계분 96%, 미강유박 4%) 300kg과 미량요소 복합비료(마*스: 2.0-4.1-2.2, 붕소(B) 0.05%, 몰리브덴(Mo) 0.0005%) 10kg을 살포하였음
정식 후 25일부터 5일 간격으로 웃거름으로 솔*브(20-20-20, 종합미량요소) 3kg을 관주하고 12월 31일에 유안 3.5kg, 슈*솔(19-19-19, 마그네슘(Mg) 1.0, 붕소(B) 0.05%, 철(Fe) 0.1%, 아연(Zn) 0.01%, 망간(Mn) 0.02%, 발근제(뿌*장춘, 붕소(B) 0.05%, 몰리브덴(Mo) 0.005%) 등 여러 가지 미량원소 복합비료를 함께 주었음
재배토양은 화동통으로 겉흙은 미사질양토이고 속흙은 식질토로 하부로의 물 빠짐이 나쁜 토양이나, 매년 옥수수를 재배하고 분쇄하여 토양에 투입하고 깊게 갈아 유효 흙 깊이(토심)가 60cm까지 깊어졌지만, 하부는 물 빠짐이 매우 느린 조건임
재배토양의 수분함량과 전기전도도(EC)를 간이 측정한 결과 품종 차이나 토층 깊이에 상관없이 각각 37.8~46.7%, 1.38~2.15dS/m이었음
종합 검토의견
매년 옥수수 등 흡비작물을 재배한 후 분쇄하여 토양에 환원하고 깊이 갈아 유효 토심이 60cm까지 깊어져 물의 확산 이동이 양호하고 뿌리 생장 영역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으나
1일 2시간 30분간 물을 다량 공급하여 10일이 지난 현재까지도 뿌리층과 심층의 수분함량이 모두 과다하여 뿌리 생장에 필요한 산소부족으로 뿌리가 피해받아 양분과 수분 흡수가 미흡하여 석회(Ca) 부족에 의한 잎 황화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됨
4화방 출현 후부터 잎 황화 피해가 발생한 것은 그 이전과 이후의 토양 물관리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됨
기술지도 방향
적정 수분관리가 필요하므로 고랑에 물이 보이지 않도록 물주는 시간을 30분~1시간으로 줄이고, 뿌리 층의 수분 상태를 측정하거나 새잎의 수분 상태를 관찰하여 초기위조 증상을 보일 때 물을 주어 뿌리 활력과 생장량을 높일 것
웃거름으로 미량요소 복합비료를 혼용하거나 과용하면 미량원소 과잉 피해가 우려됨으로 토양 EC가 2.5dS/m를 넘지 않도록 NK복비(20-0-20) 1.5kg을 물 1톤에 녹여 주 1회 관주하고 식물체 생장 상태(잎색, 과실비대 속도 등)를 보면서 비료량을 가감할 것
겨울철 밀폐된 하우스 내의 탄산가스(CO
2
) 농도는 해가 뜬 후 급격하게 낮아짐으로 환기 전까지 500~1,000ppm를 유지할 것(광합성 촉진을 위한 CO
2
포화점은 1,500ppm 임)
- 작물 심기 전 1,000㎡에(10a) 볏짚 2톤(길이 30cm 이상)을 투입하고 깊게 갈아주거나, 마른 볏짚을 고랑에 깔아두면 별도로 CO2를 공급하지 않아도 됨
잎 마름 증상 이후에 발생하는 곰팡이병 예방을 위해 친환경제제(유기농업 자재) 살포가 필요함
토마토 시설 내 공중습도는 65~85%로 관리하고 해뜨기 전 온풍기를 틀어 온도를 높여 물방울이 떨어지는 것을 줄일 것
토마토의 줄기를 땅에 눕혀서 재배하면 줄기와 잎이 엉클어져 채광성이 나빠지므로 작업능률 향상을 위해 줄기를 세워 유인할 것
과일 수확 후 통풍을 좋게 하기 위해 밑에 있는 누렇게 된 잎은 제거하되, 1회에 2~3매 이상은 잎 따기 하지 말 것
관련 사진
방울토마토 재배 전경(1동)
완숙토마토(좌) 재배 전경(2동)
잎 가장자리 이상증상
잎 가장자리 이상증상
잎 가장자리 이상증상
잎 가장자리 이상증상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