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농업자재
농업자재
영농기술
영농기술
농업경영
농업경영
연구정보
연구정보
생활농업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농사로소식
검색
화면크기
작게
보통
조금 크게
크게
가장 크게
초기화
전체메뉴
농사로
전체메뉴
농사로 활용가이드
전체메뉴 닫기
통합검색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통합검색
직원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검색 닫기
홈
영농기술
농업자재
영농기술
농업경영
연구정보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현장정보
농업환경
작목정보
현장정보
영농활용정보
축산정보
한국표준사료성분표
친환경농업
해외농업
수출농업
디지털농업
현장기술지원 사례
이달의 농업기술
SNS로 보는 농업 이모저모
현장 전문가 칼럼
현장기술지원 사례
현장기술 상담결과
농촌 소식/행사
농산물가격
관심작목설정
sns공유
열기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밴드
블로그
URL 복사
프린트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수박
시설재배 수박의 잎과 줄기가 위축되면서 말라 죽어요
기술지원일
2024-05-07
작성자
김정수
조회수
670
현장기술지원 개요
일자
2024년 5월
장소
전북 익산시
영농현황
재배작물: 수박(품종: PMR아이조은)
재배규모: 7,920㎡(단동 하우스 10동)
정식일자: 2024년 4월 16일
재배방법: 시설 하우스 토양재배
농가 및 현장 의견
이상증상
- 발생시기: 2024년 4월 하순~현재
- 발생증상: 2024년 4월 하순부터 식물체가 왜화 및 축엽 증상을 보이고 일부에서는 잎과 줄기가 말라 죽는 현상을 보이는 등 이상 증상이 점점 확산 중인 상황
현장 조사 결과
현장방문: 2024. 5. 7.(농촌진흥청 고객지원담당관실)
이상증상
- 수박을 정식하고 생육촉진을 시키기 위해 4~5일 간격으로 발근제+영양제+살균제를 혼합해서 처리하였다고 함
- 이상 증상의 수박 잎은 생장이 멈추고 쪼그라드는 증상을 보이고 있었고, 심한 경우에는 잎과 줄기가 말라 죽는 현상을 보였음
생육상태
- 정상적인 생육을 보인 수박은 마디수가 주당 9.6개 이었으며 아들줄기 2줄기를 유인하여 재배 관리 중에 있었으나, 이상 증상이 있는 수박의 마디수는 4.6개로 잎의 생장이 정지되고 뿌리 생장과 발육이 불량하고 말라 죽는 상태를 보이고 있었음
- 수박 잎에 꽃노랑총채벌레 발생으로 인해 잎이 위축되고 있으며, 일부는 역병 피해로 인해 식물체가 고사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었음
토양관리
- 재배지 토양은 만경통으로 배수가 불량하였고, 수박 연작재배로 인하여 염류가 과다하게 집적된 상태이었음
- 토양 EC 4.0ds/m 이상, 토양수분은 50.5%를 보여 적정치보다 높았음
종합 검토의견
수박 잎과 뿌리의 생육불량 원인은 연작지 논 토양에서 염류 과다집적및 토양수분 과다로 인한 양분 흡수 장해로 판단됨
또한 정식 후 발근촉진제+영양제+살균제의 혼용 처리에 의해 잎이 왜화되고 위축되는 현상이 나온 것으로 보임
수박 정식 포장에 꽃노랑총채벌레 발생이 많아지고 있어 앞으로 피해가 예상되므로 적용약제를 즉시 살포하도록 당부함
역병균 발생으로 질소질 비료의 편용을 피하고 적용약제를 살포하여 병원균이 더 이상 확산되지 않도록 관리하도록 당부함
식물체 왜화, 위축 및 말라 죽는 현상이 심하게 나타나고 있는 포장은 생육 회복이 불가능할 것으로 보이므로 빠른 시일 내에 포장을 재정비하고 수박을 다시 정식하는 것이 경영상 유리할 것으로 판단됨
기술지도 방향
향후 수박 연작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토양소독 및 돌려짓기를 권장
영양제와 살균제 처리시 혼용하지 말고 단독으로 처리해 줄 것
꽃노랑총채벌레 피해가 적은 포장이라도 즉시 적용약제 살포가 필요함
하우스 내부 측창 쪽에 70cm 깊이로 명거배수를 설치하여 토양의 적정 수분함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빠른 조치가 필요함
향후 토양관리를 위해 볏짚을 10a당 2톤을 넣고 깊이갈이를 실시하여 유효토심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가 필요함
다음 작기시 토양검정 결과를 바탕으로 시비처방을 준수해 줄 것
관련 사진
수박 정식포장(정상)
수박 정식포장(피해)
피해 포장/생육 정지 및 고사 주
정상주 뿌리 발달 불량
수박 고사 주
생육 불량 및 생장정지 주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