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조사 결과
- 땅콩포장의 토양은 예산통의 사양토로 배수가 양호한 땅콩의 최적지 토양임(흙토람).
- 3월 말에 땅콩 전용 복합 비료, 제초제를 토양에 살포하고 4월에 재식거리 38×38cm로 땅콩 종자를 직파하였음.
- 5월 중순 살충제 4종 복합비료를 혼합 살포하고, 6월 말 제초제를 살포하였음.
- 땅콩포장의 토심별 토양조사 결과 정상지 토양은 토심별로 일정한 토양층이 형성되었으나 불량지 토양은 표토층과 심토층하고 토성과 토색의 차이가 있었음.
- 현장에서 간이로 조사한 결과는 토양수분함량은 장마기로 인해 정상지와 불량지 간에 차이 없이 35∼41 %으로 높은 경향이었음.
- 토양산도(pH)는 정상지의 표토와 심토는 적정범위 이었으나 불량지의 표토와 심토는 5.5 이하로 산성조건이었으며, 전기전도도(EC)는 정상지에 비하여 불량지에서 높은 경향임.
표1. 민원농가 포장 토양검정 결과 (화성시농업기술센터: 2023. 08.)
토양검정 결과
정상(표토,심토), 불량(표토,심토), 적정범위로 나누어 산 도(pH)(1:5),유기물(g/㎏),유효인산(㎎/㎏),치환성양이온(cmol+/㎏)(칼 륨,칼 슘,마그네슘),전기전도도(EC)(dS/m)로 상세구분
구 분 |
산 도(pH)(1:5) |
유기물(g/㎏) |
유 효 인 산(㎎/㎏) |
치환성양이온(cmol⁺/㎏) |
전기전도도(EC)(dS/m) |
칼 륨 |
칼 슘 |
마그네슘 |
정상 |
표 토 |
6.8 |
11 |
338 |
0.65 |
8.4 |
5.4 |
1.5 |
심 토 |
6.8 |
6 |
83 |
0.26 |
6.3 |
5.2 |
1.1 |
불량 |
표 토 |
5.5 |
10 |
508 |
0.86 |
8.0 |
4.4 |
2.1 |
심 토 |
4.8 |
2 |
46 |
0.59 |
8.1 |
7.6 |
2.4 |
적정 범위 |
6.5~7.0 |
20~30 |
150~250 |
0.45∼0.85 |
6.0∼7.0 |
1.5∼2.0 |
2.0 이하 |
- 불량 지역 심토 미사 함량이 표토보다 높아 배수 불량이 있을 것으로 추정됨.
표2. 민원농가 포장 토성 분석 결과 (화성시농업기술센터: 2023. 08.)
토양 분석 결과
정상표토, 정상심토, 불량표토, 불량심토, 적정범위로 나누어 토성, 모래, 미사, 점토로 상세구분
구분 |
토성 |
모래 |
미사 |
점토 |
% |
정상 표토 |
미사질양토 |
38.4 |
58.0 |
3.6 |
정상 심토 |
양 토 |
45.5 |
44.3 |
10.2 |
불량 표토 |
사질양토 |
49.0 |
44.8 |
6.1 |
불량 심토 |
미사질양토 |
46.6 |
50.1 |
3.3 |
- 토양 중 중금속 분석결과 정상지와 불량지의 표토와 심토 모두 토양오염우려기준(1지역) 이하 임.
표3. 민원농가 포장 토양중금속 분석 결과 (화성시농업기술센터: 2023. 08.)
토양 분석 결과
정상(표토,심토), 불량(표토,심토), 적정범위로 나누어 비소(As),카드뮴(Cd),구리(Cu),니켈(Ni),납(Pb),아연(Zn),수은(Hg)로 상세구분
구 분 |
비소(As) |
카드뮴(Cd) |
구리(Cu) |
니켈(Ni) |
납(Pb) |
아연(Zn) |
수은(Hg) |
(mg/kg) |
정상 |
표 토 |
미검출 |
미검출 |
12.31 |
15.95 |
1.29 |
96.92 |
0.01 |
심 토 |
미검출 |
미검출 |
11.47 |
19.57 |
2.61 |
68.27 |
0.01 |
불량 |
표 토 |
미검출 |
미검출 |
23.46 |
21.65 |
0.25 |
156.44 |
0.01 |
심 토 |
미검출 |
미검출 |
7.71 |
15.00 |
미검출 |
86.14 |
미검출 |
우려기준 |
25 |
4 |
150 |
100 |
200 |
300 |
4 |
- 병해충 달관조사 결과 생육이 양호한 곳에서 해충이 갉아먹은 피해 증상이 다소 관찰되었으나 병해 증상은 보이지 않음
- 고사한 땅콩의 뿌리는 전체가 썩었고 생육이 아주 부진한 포기는 뿌리의 표피가 일부 흑갈변 괴사하였음
- 고사하거나 생육이 부실한 포기가 일정한 부분에서 섞여 있는 피해 양상으로 보아 병해충 피해는 아닌 것으로 판단됨
- 생육불량 피해 개체에서 토양 전염성 병원균인 Fusarium속 균이 검출되었으나, 피해의 직접 원인은 아닌 것으로 보임(국립식량과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