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농업자재
농업자재
영농기술
영농기술
농업경영
농업경영
연구정보
연구정보
생활농업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농사로소식
검색
화면크기
작게
보통
조금 크게
크게
가장 크게
초기화
전체메뉴
농사로
전체메뉴
농사로 활용가이드
전체메뉴 닫기
통합검색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통합검색
직원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검색 닫기
홈
영농기술
농업자재
영농기술
농업경영
연구정보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현장정보
농업환경
작목정보
현장정보
영농활용정보
축산정보
한국표준사료성분표
친환경농업
해외농업
수출농업
디지털농업
현장기술지원 사례
이달의 농업기술
SNS로 보는 농업 이모저모
현장 전문가 칼럼
현장기술지원 사례
현장기술 상담결과
농촌 소식/행사
농산물가격
관심작목설정
sns공유
열기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밴드
블로그
URL 복사
프린트
경상북도 봉화군
수박
수박잎이 조금씩 갈변되는 시들음 증상이 나타나요
기술지원일
2023-06-15
작성자
전효정
조회수
779
현장기술지원 개요
일자
2023년 6월
장소
경북 봉화군
영농현황
재배작물 : 수박(품종 : 조은꿀)
재배규모 : 5,280㎡(하우스 8동)
현장 조사 결과
민원인의 포장은 자갈이 많은 토양으로(행곡통, 양토) 수분 공급 후 흙이 뭉치나 수직배수가 잘 되어 수박 뿌리가 비교적 잘 자랄 수 있는 조건을 가진 포장 조건임
점적 호수를 폭2m 두둑에 5줄로 설치하여, 착과 후 3∼4일 간격으로 물을 주며, 가끔 1∼2개 잠가 수분공급을 조절, 포장 유효토심50㎝ 전기전도도(EC)함량, 수분 함량은 적정범위로 특이사항 없음
민원인의 수박 재배는 조간200㎝, 주간35㎝ 정도이었으며, 이랑과 직각 방향으로 3줄기(어미덩굴 1줄기, 아들덩굴 2줄기) 유인 재배함
수박 경굵기9.5㎜, 엽장28.0㎝, 엽폭28.2㎝ 정도로 자라고 있었으며, 수박 열매는 과장28.0㎝, 과폭21.8㎝ 장타원형으로 골고루 수박이 균일한 크기로 달려 있었음(피해 과실은 비교적 크기가 작음)
병해충 조사(이상 증상 하우스)를 2동 100주〔(하우스당 각 50주(100주)〕 실시한 결과 도관부(수분, 영양분 통로), 접목 부위에 균사, 포자, 병원균의 독소 등으로 도관부가 막히게 되어 접목 부위, 줄기가 갈색으로 변하고 있었고, 줄기와 잎이 시들고 고사하는 병징을 나타내어, 토양 전염성 병원체인 Fusarium oxysporum 의한 덩굴쪼김병(만할병)으로 판단함(전체 포장 5% 내외)
금후 기술지도
수박 덩굴쪼김병은 연작으로 인하여 염류집적, 병해충 밀도증가 등으로 발병되므로 토양소독(태양열, 화학적), 유기물 투입 등으로 병해충 밀도를 감소시켜 주기 바람
일부 포기는 토양 전염성 병원체인 Fusarium oxysporum 의한 도관부 차단이 지속되어 세균 감염에 의한 줄기, 뿌리부패하고, 물러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므로 덩굴마름병으로 고사한 포기는 조기에 제거하고, 세균 방제 적용약제를 관주 하여 주기 바람
토양검정을 시행한 후 비료 사용 처방서를 발급받아 비료량을 시용하고 깊이갈이 하여 물리성 개선하여 하층까지 뿌리가 분포하도록 하고, 볏짚을 30㎝ 이상 크게 잘라 유기물 증진 노력 바람.
장기적으로 대과 재배에서 중소과 재배, 호박대목 활용 등도 검토하여 덩굴쪼김병 재배적 조치 방법도 고려 바람
관련 사진
줄기 갈변 고사 진행
덩굴쪼김병(만할병) 감염이후 고사
❮ 토양전염성 덩굴쪼김병 현상 ❯
줄기 횡단면 가장자리 갈변
뿌리 갈변 진행중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