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농업자재
농업자재
영농기술
영농기술
농업경영
농업경영
연구정보
연구정보
생활농업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농사로소식
검색
화면크기
작게
보통
조금 크게
크게
가장 크게
초기화
전체메뉴
농사로
전체메뉴
농사로 활용가이드
전체메뉴 닫기
통합검색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통합검색
직원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검색 닫기
홈
영농기술
농업자재
영농기술
농업경영
연구정보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현장정보
농업환경
작목정보
현장정보
영농활용정보
축산정보
한국표준사료성분표
친환경농업
해외농업
수출농업
디지털농업
현장기술지원 사례
이달의 농업기술
SNS로 보는 농업 이모저모
현장 전문가 칼럼
현장기술지원 사례
현장기술 상담결과
농촌 소식/행사
농산물가격
관심작목설정
sns공유
열기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밴드
블로그
URL 복사
프린트
강원도 춘천시
고추
고춧잎의 요철이 심하고 황화해요
기술지원일
2020-08-05
작성자
고호철
조회수
3,490
현장기술지원 개요
일 자
2020. 8.
장 소
강원도 춘천시
출장자
이정헌 사무관, 김태영·이상범·고만건 기술위원
농촌지도사 장원석 등 2명(춘천시농업기술센터)
영농현황
작 물 명 : 고추
재배면적 : 99㎡(단동 비닐하우스 1동)
정 식 일 : 2020. 4. 4.
재배방식 : 토양 멀칭재배
농가의견
시설하우스 내 정상적인 고추묘를 정식하였는데 생육 중에 여러 종류의 고추 바이러스가 발생하고 생육도 매우 불량하여 이에 대한 원인 규명 및 금후 개선방안 요청
현장 조사 결과
2020년 4월 4일에 고추를 정식하였고, 현재 정상주나 피해주 모두 초장은 110∼130cm, 엽장은 9cm, 엽폭은 4cm로 비슷하였음.
비닐하우스는 단동으로 외부 피복재는 두께 0.07mm 비닐을 사용하였고, 시설하우스 내 무너짐을 방지할 수 있는 목재 받침대를 사용한 하우스임.
현지 토양분석 결과 깊이 25∼28cm 정도에 경반층이 형성되고, pH는 4.5∼4.6으로 매우 강한 산성이고 질산태질소는 500ppm 이상으로 매우 높았음.
생육 중인 고추의 잎은 대부분 요철이 심하고 황화되는 잎이 많았고, 요철이 심한 잎에서는 TSWV, PepMoV가 검출되었음.
고추의 지제부 1∼2엽은 정상이고 그 이후 대부분 이상증상이 발생한 것으로 볼 때 묘는 정상이고 본포에 정식한 후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됨.
7월 중순 이후에 발생한 신초 및 지제부에서 발생하는 어린 고추 잎은 정상 생육 중이었음.
- 7월 초 전문기관의 처방에 따라 응애 및 총채벌레 등의 방제 약제를 살포한 후 잎이 정상적으로 생육하였다고 함.
종합 검토의견
시설하우스 고추에서 발생한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SWV)는 꽃노랑총채 벌레에 의한 즙액 및 농작업으로 2차 전염되며, 고추얼룩바이러스(PepMoV)는 진딧물에 의해 일시적 전염(비영속성)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꽃노랑총채벌레 및 진딧물 등은 시설하우스 주변에서 중간기주식물인 잡초 등에서 월동 후 활동함.
고추 시설하우스 내 토양을 분석한 결과 질산태질소는 500ppm 이상으로 높았고 pH는 4.5∼4.6으로 매우 강한 산성으로 토양 내 다량원소의 흡수장해가 발생하여 생육이 떨어짐.
고추의 전체적인 생육불량 원인은 토양 내 높은 EC와 강산성의 토양으로 인한 다량원소의 흡수장해와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SWV)와 고추얼룩바이러스(PepMoV)의 복합감염에 의한 피해로 판단됨.
금후 기술지도
금후 바이러스 방제를 위해서는 하우스 주변 중간기주 잡초를 제거하고 하우스 내 출입문 및 측창 부위에 방충망을 설치하여 매개곤충 유입을 차단하시기 바람.
현재 시설하우스 토양은 전반적으로 강산성이므로 작기가 끝난 후 토양검정 실시 후 시비처방서에 따라 토양개량 및 적정량의 시비를 통하여 정상적인 작물생육이 될 수 있도록 토양의 비옥도 관리를 하여야 함.
관련 사진
고추 재배 하우스 전경
고추잎 피해상태
정상적인 신초 및 중간잎 바이러스 발생상태
현장기술지원 결과 설명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