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농업자재
농업자재
영농기술
영농기술
농업경영
농업경영
연구정보
연구정보
생활농업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농사로소식
검색
화면크기
작게
보통
조금 크게
크게
가장 크게
초기화
전체메뉴
농사로
전체메뉴
농사로 활용가이드
전체메뉴 닫기
통합검색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통합검색
직원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검색 닫기
홈
영농기술
농업자재
영농기술
농업경영
연구정보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현장정보
농업환경
작목정보
현장정보
영농활용정보
축산정보
한국표준사료성분표
친환경농업
해외농업
수출농업
디지털농업
현장기술지원 사례
이달의 농업기술
SNS로 보는 농업 이모저모
현장 전문가 칼럼
현장기술지원 사례
현장기술 상담결과
농촌 소식/행사
농산물가격
관심작목설정
sns공유
열기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밴드
블로그
URL 복사
프린트
전라북도 익산시
수박
수박의 과실이 썩어요
기술지원일
2017-05-12
작성자
이종남
조회수
2,201
현지조사 및 출장자
일 시 : 2017. 5. 12.
출 장 자 : 고객지원담당관실 이상준서기관, 박삼수·최용문· 이주영 기술위원
- 현장조사협조 : 익산시 농업기술센터 윤석환 팀장 등 2명
일반현황
성 명 : 전북 익산시 망성면 화산리 2010-2, 오 ○ 규
작 물 명 : 수 박(품종 : 아이조은), 접목재배
면 적 : 7,260㎡(단동형하우스 11동)
정 식 일 : 5월 17일
민원인의 의견
수박정식 직전부터 수박대목 자엽에 병반이 발생되어 점차 병반이 진전되고 있어 그 원인과 대책 등에 대해 알고자 함.
현장조사 결과
앞 작물로 수박을 재배한 후 다시금 수박을 정식하였으며, 정식 전 밑거름(660㎡기준)으로 퇴비140㎏, 복합비료20㎏ 시용하였음.
수박 줄기 유인은 2줄 유인을 하였으며, 줄기의 마디는 6마디 정도였음.
수박 묘 인수시 잎에 갈색 반점이 있어(농민주장) 정식 후 반점을 제거한 다음
농약을 살포하고 나서부터는 병반의 확산은 되지 않은 상태이며 이병주 발견이 쉽지 않았음
농가 방문 시 병에 걸린 수박은 줄기에 갈색 반점이 생기며 갈라지는 괴양 증상을 나타냄
농가에서는 종자에서부터 이병된 것인지, 육묘과정에서 이병된 것인지를 알고자 함
현장에서
이병된 수박줄기 1점( 철저한 제거로 이병 샘플이 채집이 어려웠음)을 국립농업과학원에 진단 의뢰한 결과 수박과일썩음병 병원균이 분리 되지 않았으며 약제방제에 의한 치료효과로 병원균이 분리 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됨
종합 검토의견
수박과일썩음병은 병원 세균의 감염에 의하여 발생하는 병으로 ➀종자전염 ➁전년도에 발병된 포장에서 토양전염 ➂접목시 또는 관수할 때 건전묘에 전염 ➃정식 후 적심 등의 재배관리 작업을 할 때 작업자의 손에 의하여 전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정식 직전 대목 자엽에 병반 발생 또는 정식 후 3일이 지나고부터 접수에 병반이 발견된 점으로 보아(농민주장 및 익산시농업기술센터 공문) 종자 또는 종묘장에서 육묘 과정 중 전염된 것으로 추정을 할 수 있겠으나, 보다 정확한 진단을 위하여 수박 종자 및 대목 종자시료를 채취하여 국립종자원으로 의뢰하는 것이 바람직 함
금후 기술지도
생육단계별 환경관리 유의(온도, 습도, 낮에 환기 등)
이병 줄기 및 잎은 발견즉시 제거 하여 불에 때우거나 깊게 매몰하여 전염원을 제거
주기적으로 적용농약 살포 및 작업도구 소독 실시
작업 시 손으로 전염이 가능하므로 이병주 제거 후에는 손 세척 및 소독 후 건전주 작업
관수 시 지상 살포는 병원균의 확산 기회가 되므로 저면관수를 할 것
관련 사진
수박재배 포장
수박유인작업(2줄유인)
수박줄기에 감염된 과일썩음병
현장 포장관찰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