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수 - 양앵두(체리)

생육과정(주요농작업)
생육과정(주요농작업)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휴면기 발아기   개화기 과실비대기 수확기 양분추척기 낙엽기 휴면기
                                  신초정지기                                  
언피해·설해방지 봉오리따기   착과수확보 열매솎기 꽃눈분화기                   월동준비
                          순지르기 수확                                  
            정지·전정       착색관리 수형개선                            
                          비가림하우스덮기 하우스덮기 제거                        
                                    예비         밑거름                
기상재해 및 예상되는 문제점
생육과정(주요농작업)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언피해, 설해, 만상 피해   열매터짐(열과) 및 조류 피해                                
                              강우 등 배수 불량 피해                        
                                조기낙엽 등 화아분화 불량                        
병충해 방제
생육과정(주요농작업)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회성,탄저,수지,천공갈반병 천공갈반병                        
            깍지벌레, 응애                   탄저병 깍지벌레, 응애     복숭아유리나방

개원 전 주의사항

  • 과수원 선정
    • 재배안전 지역을 우선 고려(겨울철 –20oC이하로 떨어지지 않는 곳)
      ※ 내한성이 약해 추풍령 이북 내륙은 언피해 불안전
    • 논전환의 경우 배수 대책 철저
  • 묘목 : 제뿌리 대목묘 선정, 이중 접목묘 피함
  • 품종 : 수분수 25~30% 섞어 심기

열매솎기

  • 시기 : 만개 3~4주 후(생리낙과 종료 후)
  • 정도 : 1화속상단과지당 3~4과 남김
  • 주의 : 가로, 위 방향의 큰 과실을 남김

순지르기

  • 시기 : 만개 3~4주 후
  • 곁가지, 원가지 등 연장지는 순지르기하지 않음

착색관리

  • 잎솎기 : 수확 전 7~10일
  • 반사필름
    • 착색개시기
    • 설치면적 : 포장용적의 50% 정도

여름전정

  • 특징
    • 절상면 유합이 빠름
    • 수세 반발이 약함
      ※ 수세가 강한 나무는 여름전정 위주로

비료주기 (kg/10a)

  • 비료량 (다 자란 나무, kg/10a)
비료주기
구분 질소 인산 칼륨
비옥지 15 6 12
척박지 20 8 16

재배적 특성

재배적 특성
학명 Prunus avium L. 분류 장미과
생육온도 연평균기온 12~15℃ 개화기온도 10℃ 이상
생육기적온 20℃ 내외 성숙기 적온 20~25℃
토양 토양산도는 pH 6.0~6.5, 사질양토
생리적 특성
  • 추위에 약함, 언피해 및 늦서리 피해 주의
  • 일조량이 많을수록 좋음
  • 자가불화합성 및 타가불화합성이 강하므로 친화성이 있는 수분수를 20~30% 섞어 심어야 함
  • 뿌리 발육에는 포장 용수량의 65~80%가 적당
고품질기술
  • 수형은 햇빛을 충분히 받을 수 있게 유인 철저
  • 꽃봉오리따기, 열매솎기 작업을 통한 대과 생산
  • 비가림재배에 의한 열과방지 및 병해충 경감
  • 성숙기 잎솎기 : 반사필름에 의한 착색 증진
  • 수세가 강한 나무는 여름전정으로 수세 안정화

결실관리 및 생리장해 대책

결실관리 및 생리장해 대책
항목 내용
마그네슘
결핍
  • 증상 : 5월 하순부터 신초 기부엽부터 발생엽맥 간에 황록~황색 증상 발생
  • 원인 : 토양 중 치환성 마그네슘 부족, 칼륨(K) 과잉흡수로 길항작용에 의한 마그네슘(Mg) 흡수 저하
  • 대책
    • 고토석회 시용(늦가을~이른 봄)
    • 황산마그네슘 1.5% 엽면 살포
    • 칼륨(K) 비료 과잉 공급을 피함
붕소 결핍
  • 증상 : 열매지름이 짧고 열매 맺는 비율 저하, 꽃눈착생 불량, 과실비대기에 축과증상, 배(胚)발달 불량
  • 원인 : 붕소 부족, 토양 산성화에 따른 붕소 용탈
  • 대책
    • 붕소 시용(과잉 시용 금지)
    • 엽면 비료 주기(붕사 0.2%)
    • 토양 건조 방지 및 퇴비 시용
열매터짐
(열과)
  • 증상 : 성숙기 및 수확 직전 과실이 갈라지는 현상
  • 원인 : 강우에 따른 수분흡수로 과실표면 팽창
  • 대책
    • 토양수분의 급격한 변화 방지
    • 변색기 비가림 시설(비가림 높이는 나무 키의 1.5~2m 위에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