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번식용 한우의 적정 혈중요소태질소(BUN) 농도 | ||
---|---|---|---|
제안자 | 이명식 | ||
반영년도 | 2003 | ||
기술분야 | 산업실용화기술 | 작목구분 | 한우 |
기술유형 | 사양관리 | 분야 | 축산자원개발 |
현장활용유형 | 기타 | ||
소속 | 축산원 | ||
조회수 | 555 | ||
○ 조사대상우의 선정 및 대상우 조치사항 : 조사대상우는 전체적으로 수태율이 저하되고 있을때 또는 현재의 수태율을 개선시키고자 할때 농장내의 암소들의 혈액을 채취하여 혈중의 요소태 질소를 분석하고 영양의 불균형을 해소시킴.
- BUN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채혈대상우를 아침사료급여 이전에 채혈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료를 섭취한후에 채혈을 하게 되면 BUN의 수치가 상승하게 되므로 정확하게 분석할수 없음. ○ BUN 키트 사용법 - 한우혈액 10ml 채취 - 혈청분리 - 냉동보관 - 증류수 15ml을 BUN시약병에 주입(검사액) - 생화학분석기 샘플용기에 검사액 주입 - 각각의 혈청을 원형트랙에서 1ml분주 - run작동 : 자동 검사 및 세척 후 결과 출력 ○ BUN 분석에 따른 사료급여 기준 - BUN분석치가 8이상 일때 : 농후사료 급여량이 과다하여 BUN수치가 상승하고 자궁내액의 변화와 pH의 저하에 따른 산성화로 수태율이 저하되므로 농후사료 급여량을 줄여주고 부족한 단백질은 조사료원으로 대체함. - BUN분석치가 4이하 일때 : 농후사료 급여량이 부족하여 BUN수치가 낮아지며 암소의 난소가 위축되고 기능이 저하되므로 발정행동이 크게 위축되므로 농후사료 급여량을 증량하여 난소의 기능을 활성화시킴. ○ BUN에 따른 한우의 발정발현율은 4-6에서 33.3%, 6-8에서 25.2%로 높게분포하였고 임신우의 분포율도 또한 4-6에서 55.5%, 6-8에서 55.8% 로써 높게 나타남으로 한우의 적정 BUN수치는 4-8이였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