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방목초지에서 애기수영의 친환경적인 잡초 방제법 | ||
---|---|---|---|
제안자 | 성명 : 김맹중 소속기관 : 초지사료과 참여율 : 50 참여도 : 1/6 | ||
반영년도 | 2012 | ||
기술분야 | 작목구분 | 무경운초지 | |
기술유형 | 재배관리 | 분야 | 축산자원개발 |
현장활용유형 | 기타 | ||
소속 | |||
조회수 | 440 | ||
1. 현황 및 문제점
○ 애기수영(Rumex acetosella. L.)은 유럽 원산의 다년생 외래잡초로 지하경으로도 번식되나 주로 종자에 의해 번식되고 꽃은 5~6월에 피며 한 식물체에서 1,000~10,000개의 종자를 생산한다. ○ 애기수영이 처음 발생하였을 때 즉시 제거하지 않으면 다음 해에는 목초지의 10~20% 정도까지 애기수영이 확산되며, 3~4년 후에는 목초지의 50~65%까지 번져 애기수영 우점초지로 변하게 된다. ○ 4월 초순에 목초종자와 함께 애기수영이 발생한 초지에 선택성 제초제인 MCPP 제초제 5ℓ/㏊을 애기수영이 3~5엽기에 도달할 때 전 면적에 살포한다. ○ 4월초~중순에 제초제를 1차 처리한 후 20~30일경 뒤에 방목을 하거나 건초로 이용하는 것이 좋으며, 2차 제초제 처리는 여름철 목초 수확과 방목을 고려하여 6월 말경에 ㏊당 MCPP 7.5ℓ를 살포한다. 약제 처리 후 잎이나 줄기에서 뿌리까지 제초제가 이행하는데 걸리는 기간은 대략 3~4주 정도 소요된다. 2. 과제 착수 배경 및 사전협의 내용 ○ 과제 발굴․심의 (전화, 방문, 메일 등) - 애기수영 방제법으로 방제하여도 일시적인 효과는 있으나 매년 재생됨 - 제초제 사용규제에 따른(디캄바, 메코프로프, 글라신) 금지 품목 확대 - 가축방목 및 유기조사료 생산에 따른 무농약, 무제초제 방목초지 관리 - 광엽잡초 선택성 제초제로 애기수영 방제 후 목초종자의 발아 정착율 저하 3. 기존 영농활용기술과의 연계 ○표준영농교본 91 『조사료』178쪽 애기수영이 웃자란 초지 갱신 - 애기수영이 부분적으로 발생해 있을 때 디캄바 액제를 300배로 희석하여 1차 방제하고 목초파종 후 40일경 디캄바 액제 4ℓ/ha를 물 1,200ℓ에 희석하여 애기수영을 방제한다. - 1차 애기수영 방제율은 94%로 효과적이라고 하였으나 60일 후 재생됨 ○ 애기수영 우점지에서 화학적 제초제 방제법은 있으나 차광에 의한 친환경 생태적 방제기술은 없음 4. 개발기술 적용 가능지역 ○ 전국 (방목초지) 5. 현장활용 내용 ○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고 차광으로 애기수영 잡초의 친환경적 방제기술 - 차광처리 : 애기수영이 우점 부실초지에 차광망으로 45일간 피복 - 목초파종 : 애기수영 차광방제 후 목초파종 발아율 향상 - 처리효과 : 잡초 방제율 98%, 목초발아율 77% ○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고 초지 부분갱신 및 가축방목을 지속할 수 있음 6. 현장활용 기대효과 ○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고 차광으로 애기수영 잡초의 친환경적 방제 ○ 친환경 차광 방제법 애기수영 잡초 방제율 97%, 제초제 대비 17.5% 향상 ○ 차광에 의한 애기수영 방제법 목초발아율 77%, 제초제 대비 54.5% 향상 ○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 가축방목을 지속할 수 있음 ○ 경사지 제초제 비용 및 인력 절감 : 66억(초지면적의 45% 방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