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기술 상세

제목, 제안자, 반영넌도, 기술분야ㅏ 작목구분, 기술유형, 분야, 현장활용유형, 소속, 조회수, 첨부파일, 내용

제목 업그레이드 된 소 번식상황 자가진단프로그램을 활용한 번식효율 개선 효과
제안자 성명 : 손준규 소속기관 : 기획조정과 참여율 : 40 참여도 : 1/7
반영년도 2012
기술분야 작목구분 젖소
기술유형 육종 분야 축산자원개발
현장활용유형 기타
소속
조회수 258
1. 현황 및 문제점
○ 젖소의 고능력화와 동반하여 번식효율은 매년 저하되고 있는 실정임
○ 소의 번식효율에 영향하는 요인은 매우 다양함
○ 농가의 사양관리 수준에 따라 천차만별로 번식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음
○ 문제점을 파악하고 적절한 대응을 위해서는 자가진단이 필수적임
○ 번식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많이 개발되어 있으나 복잡함
○ 많은 농가들이 번식현황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으며, 인식 또한 부족함
○ 번식상황 자가진단 프로그램을 활용한 농가의 번식현황 및 경영진단 필요
2. 과제 착수 배경 및 사전협의 내용
○ “젖소 번식상황 자가진단 프로그램”개발(낙농과, ’07년도 )
○ 농가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엑셀 프로그램 이용
○ 과제 발굴․심의
- 젖소의 고능력화에 따라 번식효율은 매년 1%씩 저하되고 있이며, 이에 동반하여 농가의 경쟁력 또한 떨어지고 있는 실정임
- 농가에서는 번식현황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은 높으나, 쉽고 간편하게 접근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없다고 인식하고 있음
- “젖소 번식상황 자가진단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번식효율을 개선하고 이러한 개선을 통한 농가 경쟁력 제고
○ 중간진도관리, 결과활용평가, 지도기관 협의
- 지자체 축산연구기관 등 젖소 한우 번식관련 농가 교육시 현장 활용성 검토
3. 기존 영농활용기술과의 연계
○’07년 영농활용 「소의 번식상황 자가진단 프로그램 활용」을 활용
4. 개발기술 적용 가능 지역
○ 전국 (젖소 및 한우농가 모두 적용)
5. 현장활용 내용
○ 수행방법
- 총 공시우는 젖소 및 한우 6개농가 450두를 공시하였으며, ’08년부터 ’10년까지 6개농가의 번식성적 분석
- 기술 투입 후 2년동안의 번식성적 비교 분석
○ 한우 2개 농가, 젖소 4개 농가에 대해 기술투입 전과 투입 후 번식성적을 분석한 결과, 6개 농가에서 투입 전에 비해 평균 분만간격은 약 30일 가량 단축
○ 기술투입 전 보다 공태일수 평균 27.5일 개선
○ 기술투입 전 보다 분만 후 첫 수정일수 평균 21.4일 단축
○ 기술투입 전 보다 발정발견율 15% 향상
○ 기술투입 전 보다 수태율 평균 9.3% 향상
○ 기존의 번식상황 자가진단 프로그램에 “번식장애우”분류를 포함하여 번식장애우를 쉽게 파악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개선
○ 업그레이된 번식상황 자가진단 프로그램을 활용하면 농가의 번식효율이 크게 개선됨

6. 현장활용 기대효과
○ 분만간격 30일 지연시
- 평균 생산수명 : 5세
- 평균 생산기간 : 3년(5년-2년)
- 송아지 생산가격 : 약 250만원
- 분만간격 12개월과 13개월의 비교
∙ 3년간 송아지 생산두수 : 각각 3두, 2.77두
∙ 송아지 250만원 × (3-2.77) = 약 57만원
∙ 년간 손실액 : 57만원 ÷ 3년 = 19만원
∙ 60두 농가의 년간 손실액 : 약 1,140만원
○ 경제성 분석
손실적 요소(A)
이익적 요소(B)
o 기술 투입 전
o 기술 투입 후 분만간격 30일 단축시
두당 19만원 수입 증가
- 60두 × 19만원 = 1,140만원
o 추정수익액(B-A) = 1,140만원/년 수익
* 송아지 가격 200만원이라고 가정하였을 때,
년간손실액 46만원 ÷ 3년 = 약 15만원/두, 60두 × 15만원 = 900만원
0/ 300 by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