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농업자재
농업자재
영농기술
영농기술
농업경영
농업경영
연구정보
연구정보
생활농업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농사로소식
검색
화면크기
작게
보통
조금 크게
크게
가장 크게
초기화
전체메뉴
농사로
전체메뉴
농사로 활용가이드
전체메뉴 닫기
통합검색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통합검색
직원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검색 닫기
홈
영농기술
농업자재
영농기술
농업경영
연구정보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현장정보
농업환경
작목정보
현장정보
영농활용정보
축산정보
한국표준사료성분표
친환경농업
해외농업
수출농업
디지털농업
현장기술지원 사례
이달의 농업기술
SNS로 보는 농업 이모저모
현장 전문가 칼럼
현장기술지원 사례
현장기술 상담결과
농촌 소식/행사
농산물가격
관심작목설정
sns공유
열기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밴드
블로그
URL 복사
프린트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양파
양파에 잎마름병이 발생했어요
기술지원일
2012-03-28
작성자
김태영
조회수
5,858
현장기술지원 개요
일 시 : 2012. 3. 28.
장 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김녕리
농가의견
농민들은 백색역병으로 추정 관련약제를 살포하였으나 효과가 없으며 매년 이 지역을 중심으로 유사증상이 발생되고 있어 원인 규명을 원하고 있음
강우 후 기온이 떨어진 뒤에 잎이 마르는 현상이 발현된 점으로 볼 때 동상해에 의한 증상으로 보여짐
현지조사 결과
경종개요
재배작물 : 양파(품종 : 이조은, 썬파워, OP)
재배면적 : 7,000㎡(2,120평)
정식시기 : 2011. 9월상순(파종) → 11월상순(정식) → 6월하순(수확예정)
재배형태 : 노지 흑색비닐멀칭 재배
현장조사 결과
제주시 김녕리 일대의 농경지에는 현재 양파와 마늘이 대부분이며 6월 하순경에 수확이 끝나면 여름동안 휴경하고 가을에 다시 양파 및 마늘이 심어짐
민원농가와 주변 농가의 양파 생육은 출현 엽수가 6~7개이고 초장은 대체로 40~50cm이나, 잎에 이상증상이 나타난 개체는 엽수가 5~7개, 초장이 30~40cm로 생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음
양파밭의 잎마름 증상은 A농가와 B농가의 경우 양파밭에 부분적으로 군데군데 나타나고, C농가는 부분적으로 정도의 차이가 있게 전면적으로 나타나고 있음
양파 잎에 나타난 현상은 엽신의 한쪽이 군데군데 함몰되어 굽어지는 증상과 세로로 마르는 증상, 그리고 잎 끝이 마르는 증상 등 이었음
양파의 잎마름 현상은 비바람이 치고 쌀쌀해진 후에 급격히 발생되었다고 함
현장에서 간이 토양조사결과 pH가 7.7~7.9로 높고, 전기전도도(EC)는 0.4~0.7dS/m로 매우 낮았으며 질소검색지 조사에서 질소농도가 25~50mg/kg 으로 낮은 편임
양파재배지의 토양화학성 검정결과 pH는 7.9~8.0으로 현지에서 간이 측정치와 비슷하게 높았고, 치환성 칼슘 및 칼리의 함량 및 마그네슘함량 등도높았고, 전기전도도, 질소, 유효인산 함량 등은 낮게 나타났음
양파의 식물체 분석결과 대부분의 성분함량이 적정치이나 칼슘(Ca)과 마그네슘(Mg)이 적정치보다 각각 1/5 및 1/2 수준으로 낮게 나타났음
잎이 마르는 증상으로 부터 잎마름병원균인 Stemphylium vesicarium이, 중간 잎이 구부러지고 갈변 수침상의 병징에서는 Pseudmonas sp.가 분리되었음(농업과학기술원 작물보호과)
■ 제주시 양파밭 현지 간이 토양검정 결과
제주시 양파밭 현지 간이 토양검정 결과 표
구분
pH
질산태질소(mg/kg)
전기전도도(dS/m)
토양수분(%)
토양온도(℃)
A 농가
7.9
50
0.7
25.9
21.6
C 농가
7.7
25
0.4
27.5
24.1
적정수준
6.0~6.5
-
2 이하
-
-
■ 양파재배지의 토양화학성 검정결과(농업기술실용화재단, 2012. 4)
양파재배지의 토양화학성 검정결과(농업기술실용화재단, 2012. 4) 표
구분
pH
EC
OM
NO
3
-
-N
NO
4
+
-N
Av.P
2
O
5
K
Ca
Mg
B
(1:5)
(dS/m)
(g/kg)
(mg/kg)
Ex.(cmol
+
/kg)
(mg/kg)
A
8.0
0.95
19
23
6
260
2.1
30.5
4.3
7.2
C
7.9
0.81
44
21
5
189
1.4
32.7
3.2
8.1
적정수준
6.0~6.5
2.0이하
25~35
-
-
350~450
0.7~0.8
6.0~7.0
2.0~2.5
-
■ 양파식물체 무기성분 분석결과(농업기술실용화재단, 2012. 4)
양파식물체 무기성분 분석결과(농업기술실용화재단, 2012. 4) 표
구분
다량원소(%)
미량원소(%)
N
P
K
Ca
Mg
Fe
B
뿌리
4.54
0.57
3.24
0.23
0.23
0.24
0.001
엽
4.44
0.49
3.32
0.24
0.19
0.02
0.002
※적정수준
1.0~6.0
0.1~0.5
1.0~3.0
1.0~2.0
0.5
0.005 ~ 0.035
0.0005~0.001
※ 적정수준 : 향문사. 2008. 토양학
종합 검토의견
양파의 잎끝이 마르고 엽신이 구부러지는 현상은 양파밭에서 부분적으로 군데군데 나타나고, 증상으로 볼 때 동상해에 의한 피해증상 보다는 병원균에 의한 증상에 가까운 것으로 보여짐
양파의 피해 잎에서 잎마름병원균인 Stemphylium vesicarium 과 중간잎이 구부러지고 갈변 수침상의 병징에서는 Pseudmonas sp.가 분리 된 결과로 보아 병원균에 의한 피해 가능성이 높으며,
한편으로 토양과 식물체 분석 결과에서 토양중에 칼슘(Ca)과 마그네슘(Mg)이 적정량 보다 높았음에도 식물체내에서는 적정치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토양의 pH(7.9~8.0)가 높고 양분간 흡수 불균형에 따른 칼슘과 마그네슘의 결핍에 의하여 잎끝이 마르고 엽신에 굴곡이 생기고 휘어지는 생리장해로의심됨
따라서 양파 엽신의 한쪽이 군데군데 함몰되어 구부러지고 갈변 수침상을 나타내는 현상은 세균성 병해이며, 엽신에 굴곡과 잎 끝이 마르는 현상은 잎마름병원균 및 칼슘과 마그네슘 부족에 의한 생리장해로 추정됨
금후 기술지도 방향
작물재배 중 산도조절을 위해 질산(HNO3)과 제1인산칼리(KH2PO4)비료를 약 1,000~3,000배 희석하여 1주일 간격으로 2회 관주하여 토양 pH를 낮추어 주는 동시에 부족한 질소와 인을 보충해 주어야 함
토양의 pH를 낮추기 위해 작물재배 후 휴작기에 유황가루를 990㎡당40~60kg을 표토에 골고루 살포하고 깊이갈이 한 다음 로타리 작업을 2회실시하고 20일 이상경과 후 작물 재배하는 것이 좋음
병해로 보이는 증상의 방제는 마늘에 고시된 약제를 참고 선택하여 사용하기 바람
토양 pH가 높으므로 석회가 함유된 자재(비료)를 시용하지 말것
관련 사진
A농가
B농가
C농가
양파잎끝 마름 현상(잎마름병원+칼슘결핍
양파잎의 한쪽 함몰과 굴곡 현상
(좌:세균성 병해, 우:마그네슘결핍)
토양 pH와 전도도(EC)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