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농업자재
농업자재
영농기술
영농기술
농업경영
농업경영
연구정보
연구정보
생활농업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농사로소식
검색
화면크기
작게
보통
조금 크게
크게
가장 크게
초기화
전체메뉴
농사로
전체메뉴
농사로 활용가이드
전체메뉴 닫기
통합검색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통합검색
직원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검색 닫기
홈
영농기술
농업자재
영농기술
농업경영
연구정보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현장정보
농업환경
작목정보
현장정보
영농활용정보
축산정보
한국표준사료성분표
친환경농업
해외농업
수출농업
디지털농업
현장기술지원 사례
이달의 농업기술
SNS로 보는 농업 이모저모
현장 전문가 칼럼
현장기술지원 사례
현장기술 상담결과
농촌 소식/행사
농산물가격
관심작목설정
sns공유
열기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밴드
블로그
URL 복사
프린트
경상북도 상주시
포도
제초제 약해로 인해 포도 새가지의 발육이 이상해요
기술지원일
2012-05-23
작성자
김태영
조회수
2,092
현지조사 및 출장자
일 시 : 2012. 5. 23.
장 소 : 경상북도 상주시
농가 의견
새가지 끝이 암황색으로 변하고 부채살 모양으로 오그라드는 현상이 4월하순 발아되면서부터 계속 진행되고 있음
10년 전에는 거봉을 재배하였고, 현재는 캠벨얼리를 재배 중이며 금년도에는 비료 시용이나 농약 살포는 하지 않았음
포도 발아는 4월 20일경 정상적으로 되었고, 포장은 초생재배를 하고 있으며, 4월 초순부터 관수를 시작하였고 2월 초순에 마그네슘 6포(120kg)를 시비하였음
현지조사 결과
경종개요
재배작물 : 포도(캠벨얼리 4년생)
재배면적 : 3,630㎡
현장조사 결과
포도 밭 전반적으로 부채살 모양으로 잎이 위축되고, 새가지 마디사이가 짧아지는 피해가 발생했음
새가지 생장이 비교적 정상인 포도나무에서도 새가지 끝이 오목하게 위축되는 현상이 진전되고 있었음
새가지 생장이 특히 약한 나무 근처 지하부 부근에서는 모두 두더지 굴이 확인되었음
피해가 발생한 새가지에서 다수의 응애가 확인되었고, 시료에서 확인된 응애는 차응애, 종류 미상의 1종이었음
신초의 바이러스 검사 결과, 바이러스 1종(GFkV)과 바이로이드(HSVd) 1종이 검출되었음
토양 및 식물체에 대한 제초제 성분(Glyposate, Dicamba, 2,4-D ethylester) 분석결과 식물체에서 ‘2,4-D ethylester’가 0.35mg/kg(검출 한계 0.02mg/kg) 검출되었음
종합 검토의견
일반적으로 포도나무 새가지에 나타나는 피해 발생원인은 제초제(글리포세이트, 2-4 D, 씨마진, 반벨 등), 충해(응애류, 총채벌레 등, 매미충), 영양 결핍(붕소, 아연, 마그네슘, 칼리 등), 바이러스, 동해, 건조 등 다양한 것으로 알려져 있음
피해 포도 새가지에서 차응애 외 1종의 응애류가 발견되었으나 피해 양상으로 보아 전면적인 피해 원인은 아닌 것으로 판단되고,
포도나무 주위 지하부 두더지 굴은 뿌리의 흡수 장해와 관련되어 포도나무의 건조를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으나 본 피해 증상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사료됨
새가지의 바이러스 검사 결과 바이러스 1종(GFkV)과 바이로이드 1종(HSVd)이 검출되었으나 발생 빈도나 증상으로 보아 본 피해 양상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사료되며,
비료, 및 농약 살포는 하지 않았다고 하지만, 피해 증상이 제초제 피해 증상, 특히 2,4-D 피해 증상과 유사하여 피해가 발생한 잎을 분석한 결과 2,4-D가 검출되어, 전반적인 피해 양상과 비교해 보았을 때, 이번 피해는 제초제 2,4-D에 의한 피해로 판단됨
금후 기술지도 방향
농약, 비료 등 농자재 사용 시 오남용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농자재의 등록 사항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하도록 특별한 주의가 필요함
피해가 발생한 포도나무는 제거하고 새로 과원을 조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사료됨
관련 사진
새가지 피해 증상 1
새가지 피해 증상 2
새가지 피해 증상 3
새가지 피해 증상 4
피해과원 전경
피해과원 조사
차 응애
기타 응애
두더지 굴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