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농업자재
농업자재
영농기술
영농기술
농업경영
농업경영
연구정보
연구정보
생활농업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농사로소식
검색
화면크기
작게
보통
조금 크게
크게
가장 크게
초기화
전체메뉴
농사로
전체메뉴
농사로 활용가이드
전체메뉴 닫기
통합검색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통합검색
직원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검색 닫기
홈
영농기술
농업자재
영농기술
농업경영
연구정보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현장정보
농업환경
작목정보
현장정보
영농활용정보
축산정보
한국표준사료성분표
친환경농업
해외농업
수출농업
디지털농업
현장기술지원 사례
이달의 농업기술
SNS로 보는 농업 이모저모
현장 전문가 칼럼
현장기술지원 사례
현장기술 상담결과
농촌 소식/행사
농산물가격
관심작목설정
sns공유
열기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밴드
블로그
URL 복사
프린트
전라남도 장성군
딸기
고설재배 딸기의 잎이 황화해요
기술지원일
2012-11-14
작성자
김태영
조회수
2,997
현장기술지원 개요
일 시 : 2012. 11. 14.
장 소 : 전남 장성군
농가의견
딸기 재배면적 1,980㎡중 1/3인 660㎡에는 담양의 육묘장에서 구입하고 나머지 2/3(1,320㎡)는 자가 육묘한 묘를 9월 15일에 정식하였는데 10월25일경부터 딸기 잎이 군데군데 노랗게 변하여 이에 대한 원인이 궁금함
현지조사 결과
경종개요
재배작물 : 딸기(설향)
재배면적 : 1,980㎡
정식시기 : 2012. 10.
재배형태 : 시설하우스내 고설재배
현장조사 결과
딸기 고설 수경재배는 코코피트를 배지로 사용하여 금년이 3년차 재배인데 매년 정식 후 한달 쯤 지나면 잎이 군데군데 노랗게 변하고 증상이 진전되는 개체는 말라죽는 현상이 발생되었다고 하며,
금년에는 9월 15일에 정식하여 10월 25일경부터 딸기 잎이 부분적으로 노랗게변하는 현상이 나타나 11월초에 요소를 엽면 시용한 결과 노랗게 변한 잎이 많이 회복되었다고 함
딸기 재배면적 1,980㎡중 1/3인 660㎡에는 담양의 육묘장에서 구입하고 나머지 2/3(1,320㎡)는 자가 육묘한 묘를 9월 15일에 정식하였는데 육묘장에서 구입한 묘는 꽃대가 출현하였는데 반해 자가 육묘한 묘에서는 꽃대가 출현되지 않고 있음
꽃대가 출현되지 않은 부분(1,320㎡)은 화방의 출현을 유도하기 위하여 발생된런너를 제거하지 않고 키우고 있었으며,
딸기의 지상부 생육과 뿌리의 발육상태는 대체로 양호하였고 잎의 황화 현상이 발생된 포기수가 많지 않고 정도도 경미한 상태임
재배중인 딸기에서 병해충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배지의 화학성을 현장에서 간이 측정한 결과 pH는 7.1, EC는 0.71, 수분은 23%, 지온은 16℃로 나타났음
종합 검토의견
딸기의 지상부 생육이 대체로 양호한 상태이고 뿌리의 발육상태도 양호하였으나, 배지의 화학성을 측정한 결과 배지의 수분상태와 지온은 적당하나 pH가 7.1로 높고(적정범위 6.0~6.5), EC는 0.71로 낮은(적정범위 : 1.2) 수준임
딸기잎의 황화현상이 발생된 11월초에 요소를 엽면 시용한 결과 노랗게 변한 잎이 많이 회복되었다는 농가의견이 있고,
딸기 잎의 황화현상은 부분적으로 군데군데 나타나고 배지의 pH가 높은 점으로보아 철의 불용화에 의한 철 결핍과, 주로 성엽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보아 질소성분의 흡수장애로 인한 질소결핍 증상에 가까운 것으로 판단됨
현재 딸기의 생육은 대체로 양호한 상태이고 뿌리의 발육상태도 양호한 상태이나, 잎의 황화 현상을 빨리 회복시키기 위하여 양액의 산도(pH)를 6.0~6.5로 교정하고, 요소 0.3% 엽면살포와 황산제일철(FeSO4.2H2O)을 2~3회 1주일 간격으로 엽면시용이 필요함
자가육묘한 묘에서 꽃대가 출현되지 않는 것은 육묘시 영양과다로 영양생장 상태인 묘를 비닐하우스에 정식함으로서 고온에 의하여 영양생장이 지속되는 것이므로 생식생장을 유도하려면 온도와 질소농도를 낮게 관리해야 함
현재 자가육묘한 묘에서 꽃대가 나오려면 상당기간 경과되어야(한달이상) 할 것으로 예상되며, 런너를 조기에 제거하고 질소농도와 온도를 낮게 관리해야 할것임
금후 기술지도 방향
자가육묘한 묘의 런너를 조기에 제거하고 질소농도와 온도를 낮게 관리하여 화아분화를 유도할 것
잎의 황화 현상을 빨리 회복시키기 위하여 양액의 산도(pH)를 6.0~6.5로 교정하고, 요소 0.3%를 1회, 황산제일철(FeSO4.2H2O)을 2~3회 1주일 간격으로 엽면살포(요소와 황산제일철을 분리해서 각각 처리)
촉성재배용 딸기묘 육묘는 폿트 육묘가 좋으며 육묘시 화아분화를 위해서는 영양분 과다에 의한 영양생장을 억제하고 적당한 비배관리로 생식생장을 유도해야 함
딸기 고설재배 시에는 지온의 변화가 커서 근권부에 영향이 크므로 출뢰기 및 개화기 이전까지 야간의 지온이 15~18℃로 유지(베드에 히트펌프 설치)되도록해야 뿌리와 관부의 발육이 충실해져 정상적인 출뢰 및 개화가 가능함.
관련 사진
딸기 잎 황화증상
딸기잎 황화배드(우)
배지내 이화학성 조사
황화증상 원인 및 대책설명
자가 육묘한 딸기묘 재배
담양에서 구입한 딸기묘 재배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