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 청주시

사과사과 착과불량 원인규명 현장 기술지원

  • 기술지원일 2025-05-13
  • 작성자 백동민
  • 조회수 232

현장기술지원 개요

  • 일 자2025년 4월
  • 장 소충북 청주시

영농현황

  • 재배작물: 주 품종 후지 품종/M9 또는 M26(17년생)
  • 재배규모: 16,939㎡(재식거리 4×2m)

농가 및 현장 의견

  • 주 품종인 후지 품종(17년생)이 4~5년 전부터 점차 착과량이 줄고 있으며, 특히 작년과 올해는 개화량이 현격히 줄어 금년에는 거의 착과되지 않음
  • 민원인은 2024년 8월경부터 잎이 활력이 떨어진 검푸른색으로 변한 상태로 수확기까지 달려있었다고 진술함
  • ☞ 사과의 착과불량 원인 및 향후 회복 가능성과 개식 관련 문의

현장 조사 결과

  • □ 재배기술 관련 분야
  • 후지, 홍로, 아리수 등 모든 품종이 화아분화가 불량해 개화량이 부족한데, 특히 후지 품종은 거의 꽃이 피지 않아 과실이 달리지 않음
  • □ 토양 및 시비관리 분야
  • 과원 토양은 배수가 양호한 양토(예산통)임
  • 현장 간이 토양조사 결과 유효토심은 50cm 이상이고, 수분은 표토가 27%, 심토는 33% 정도이었으며, EC는 0.90dS/m, pH는 6.4이었음
  • 퇴비를 전혀 시용하지 않고 유기질비료(유박) 중심으로 시용하고 있음
  • 보통비료(13-8-5) 시용량은 960kg(질소 124kg)/5,133평)으로 표준시비량(질소 171kg/5,133평)보다 적고, 유기질비료(유박 1,100kg/5,133평) 시용량은, 추천량(3,422kg/5,133평)의 1/3수준임
  • □ 병해충 관리 분야
  • 달관 조사 결과, 과원 내 전반적으로 새잎에는 사과진딧물, 줄기의 부스럼딱지 증상, 주지 새순이 시드는 증상, 군데군데 3∼4주씩 고사한 나무 등 각종 병해충과 피해 증상이 관찰됨

종합 검토 결과

  • 청주지역(관측지점 131) 기상관측 결과를 살펴보면(별첨 1), 2024년에 평균 최저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많고, 일조시간이 적어 사과의 화아분화에 크게 영향을 미쳐 2025년 개화량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추정됨
  • - 2024년 평균 최저기온은 평년(30년 평균)에 비해 7월에 2.3℃, 8월에 3.6℃, 9월에 5.8℃ 높았음
  • - 2024년 강수량이 평년(30년 평균)에 비해 7월에 227mm 9월에 186mm 많았음
  • - 2024년 일조시간은 평년(30년 평균)에 비해 7월에 37시간, 9월에 14시간, 10월에 65시간 부족하였음
  • 민원인 사과원의 토양환경 및 시비량은 화아분화 불량에 따른 개화량 부족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으로 판단됨
  • 줄기의 부스럼딱지는 줄기겹무늬썩음병 증상, 고사한 나무의 지제부는 흑갈변 괴사 및 호피무늬 등은 역병 증상, 새순이 시드는 줄기는 부풀어 올라 껍질이 잘 벗겨지는 증상은 부란병에 의한 피해로 판단됨
  • ☞ 2024년 8월경부터 재배기간 동안 잎의 상태과 기상환경을 종합해 볼 때, 민원인 과원의 2025년 개화량 부족의 원인은 2024년 화아분화기간 동안 평균최저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많고, 일조시간 부족에 따른 화아분화 불량으로 인한 해거리(격년결과) 증상인 것으로 판단됨

기술지도 방향

  • □ 재배기술 관련 분야
  • 민원인의 사과원은 밀식재배 경제적 재배 한계수령이 지난 과수원임
  • 사과 해거리 증상이 해결되어 정상적으로 결실되려면 2~3년, 과수원을 조성해 성과기에 도달하려면 3~4년이 소요되기 때문에 민원인의 나이와 건강상태 등의 종합적인 고려할 필요가 있음(개식을 고려 중임)
  • - 개원할 때는 심겨 있는 자리에 고랑을, 고랑 자리에 이랑을 만들고, 나무가 심길 자리에 유공관을 설치하고, 석회, 퇴비, 비료를 시용하여 문우병 예방과 배수 관리에 힘쓸 것을 권장함
  • □ 토양 및 시비관리 분야
  • 토양 정밀검정 결과에 의한 비료 사용 처방서에서 추천하는 비료와 퇴비를 시용하되, 유박비료를 중심으로 시용하는 것을 자제하고, 퇴비(부숙 유기질 비료)을 병행하여 사용하길 추천함
  • □ 병해충 관리 분야
  • 줄기겹무늬썩음병 방제는 살균제 살포 시 줄기에 잘 묻도록 충분히 뿌려주고, 전정한 나뭇가지는 밭에 방치하지 않도록 하여 전염원을 사전에 제거할 것을 권장함
  • 부란병 방제는 줄기의 발병 부위는 깎아 내고, 전정 부위는 바짝 자르고 살균 도포제를 바르고, 동해를 입지 않도록 관리하고, 잘라낸 병든 가지는 모아 태워 전염원을 없앨 것을 추천함
  • 역병은 토양이 다습하지 않도록 하고, 자연 초생재배를 통해 토양 내에서 병원균의 밀도를 줄여나가는 것을 추천함
  • □ [별첨]
  • 청주지역 기상개황(2023~2024)
  • 기온
  • 평균 기온

    평균 기온

    월별, 30년 평균(A),2024년(B),B-A,2023년(C),C-A 상세 구분

    월별 30년 평균(A) 2024년(B) B-A 2023년(C) C-A
    1 -1.5 0.6 2.1 -0.6 0.9
    2 1.0 4.6 3.6 2.8 1.8
    3 6.5 7.9 1.4 10.8 1.4
    4 13.0 17.0 4.0 14.7 1.7
    5 18.7 19.4 0.7 20.0 1.3
    6 23.0 24.9 1.9 24.4 1.4
    7 25.8 27.6 1.8 27.1 1.3
    8 26.2 29.8 3.2 28.0 1.8
    9 21.3 26.4 5.1 24.0 2.7
    10 14.6 16.9 2.3 16.1 1.5
    11 7.5 10.5 3.0 8.3 0.8
    12 0.6 1.8 1.2 2.5 1.9
    평균 13.06 15.62 - 14.84 -
    ○ 월 평균기온은 2024년이 평년보다 2.6℃ 높았고, 2024년 화아분화기인 7~9월에는 1.8~5.1℃ 높았음

    평균 최고기온

    평균 최고기온

    월별, 30년 평균(A),2024년(B),B-A,2023년(C),C-A 상세 구분

    월별 30년 평균(A) 2024년(B) B-A 2023년(C) C-A
    1 3.4 4.5 1.1 4.2 0.8
    2 6.4 8.8 2.4 8.0 1.6
    3 12.5 13.3 0.8 17.6 5.1
    4 19.6 22.9 3.3 20.3 0.7
    5 24.8 25.1 0.3 25.5 0.7
    6 28.2 30.4 2.2 29.4 1.2
    7 30.0 31.3 1.3 31.1 1.1
    8 30.6 34.1 3.5 32.4 1.8
    9 26.4 31.0 4.6 28.2 1.8
    10 20.7 21.4 0.7 21.5 0.8
    11 13.0 15.8 2.8 13.1 0.1
    12 5.4 5.8 0.4 6.5 1.1
    평균 18.42 20.37 - 19.82 -
    ○ 월 평균최고기온은 2024년이 평년보다 2.0℃ 높았고, 2024년 화아분화기인 7~9월에는 1.3~4.6℃ 높았음

    평균 최저기온

    평균 최저기온

    월별, 30년 평균(A),2024년(B),B-A,2023년(C),C-A 상세 구분

    월별 30년 평균(A) 2024년(B) B-A 2023년(C) C-A
    1 -5.8 -2.9 2.9 -4.9 0.9
    2 -3.8 0.8 3.0 -1.5 2.3
    3 1.0 3.0 2.0 4.4 3.4
    4 7.0 11.7 4.7 9.0 2.0
    5 13.1 14.1 1.0 14.8 1.7
    6 18.4 20.0 1.6 20.2 1.8
    7 22.4 24.7 2.3 24.0 1.6
    8 22.6 26.2 3.6 24.5 1.9
    9 17.0 22.8 5.8 20.4 3.4
    10 9.4 13.2 3.8 11.3 1.9
    11 2.6 6.1 3.5 3.8 1.2
    12 -3.7 -1.8 1.9 -1.2 2.5
    평균 8.35 11.49 - 10.40 -
    ○ 월 평균최저기온은 2024년이 평년보다 3.1℃ 높았고, 2024년 화아분화기인 7~9월에는 2.3~5.8℃ 높았음

    강수량

    강수량

    월별, 30년 평균(A),2024년(B),B-A,2023년(C),C-A 상세 구분

    월별 30년 평균(A) 2024년(B) B-A 2023년(C) C-A
    1 21 37 16 28 7
    2 29 79 50 3 -26
    3 43 38 -5 19 -24
    4 76 49 -27 30 -46
    5 83 123 40 202 119
    6 140 85 -55 101 -39
    7 294 521 227 699 405
    8 274 113 -161 298 24
    9 142 328 186 271 129
    10 58 113 -55 17 -41
    11 47 41 -6 42 -5
    12 27 9 -18 97 70
    평균 103 128 - 151 -
    ○ 월 평균 강수량은 2024년이 평년보다 25mm 많았고, 2024년 강수량은 꽃눈분화 개시기인
    7월과 9월에 30년 평년에 비해 각각 227mm, 186mm 많았음

    일조시간

    일조시간

    월별, 30년 평균(A),2024년(B),B-A,2023년(C),C-A 상세 구분

    월별 30년 평균(A) 2024년(B) B-A 2023년(C) C-A
    1 167 140 -27 190 -50
    2 177 94 -83 181 -4
    3 208 206 -2 248 40
    4 220 200 -20 196 -20
    5 239 271 32 224 -15
    6 197 248 51 196 -1
    7 150 113 -37 135 -15
    8 173 212 39 157 -16
    9 176 162 -14 151 -25
    10 204 139 -65 202 -2
    11 161 170 9 170 9
    12 161 160 -1 119 -42
    평균 186 176 - 181 -
    ○ 월 일조시간합은 2024년이 평년보다 10시간 적었고, 2024년 일조시간은 화아분화 개시기인
    7월과 꽃눈의 충실도가 높아지는 9, 10월에 30년 평년에 비해 각각 37시간, 14시간, 65시간 부족하였음

관련 사진

과수원 전경 과수원 전경 개화가 불량한 나무 개화가 불량한 나무 각종 병해 감염 나무 각종 병해 감염 나무 의견 청취 및 토의 의견 청취 및 토의 토양환경 조사 토양환경 조사 병해충 발생 조사 병해충 발생 조사 지제부 역병 증상 지제부 역병 증상 부란병 증상 부란병 증상 줄기겹무늬썩음병 증상 줄기겹무늬썩음병 증상 개화/착과 불량 개화/착과 불량 개화/착과 불량 개화/착과 불량 개화/착과 불량 개화/착과 불량 개화/착과 불량 개화/착과 불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