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농업자재
농업자재
영농기술
영농기술
농업경영
농업경영
연구정보
연구정보
생활농업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농사로소식
검색
화면크기
작게
보통
조금 크게
크게
가장 크게
초기화
전체메뉴
농사로
전체메뉴
농사로 활용가이드
전체메뉴 닫기
통합검색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통합검색
작목
메뉴
검색어 입력
검색
첫단어
중간단어
끝단어
검색 닫기
홈
영농기술
농업자재
영농기술
농업경영
연구정보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현장정보
농업환경
작목정보
현장정보
영농활용정보
축산정보
한국표준사료성분표
친환경농업
해외농업
수출농업
디지털농업
현장기술지원 사례
이달의 농업기술
SNS로 보는 농업 이모저모
현장 전문가 칼럼
현장기술지원 사례
현장기술 상담결과
농촌 소식/행사
농산물가격
관심작목설정
sns공유
열기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밴드
블로그
URL 복사
프린트
경상북도 경주시
부추
부추 잎 끝이 하얗게 마르더니 잎 전체가 말라 죽어요
기술지원일
2024-04-09
작성자
김정수
조회수
829
현장기술지원 개요
일자
2024년 4월
장소
경북 경주시
영농현황
재배작물: 부추(품종명: 니꼬니꼬-하나꼬)
재배규모: 1ha
정식일자: 2022년 5월 말
재배방법: 시설 하우스 토양재배
농가 및 현장 의견
이상증상
- 발생시기: 2024년 3월 하순 ∼ 현재
- 발생증상: 2023년 12월부터 첫 수확을 하고 25일 간격으로 총 4회 수확한 다음부터 잎 끝이 하얗게 마르기 시작하였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잎 전체가 말라 죽는 현상이 발생하여, 살충제(사**)를 2회 살포하였으나 효과가 없었음
현장 조사 결과
현장방문: 2024. 4. 9.(농촌진흥청 고객지원담당관실)
생육상태
- 부추 재배포장의 생육상황은 초장이 26.4cm이었고, 잎 끝이 하얗게 마르고 주변으로 번지고 있어서 상품성이 매우 떨어지지는 상황이었음
- 부추 뿌리의 상태는 일부에서 물러지고 마름증상을 보였음
토양관리
- 부추 재배지 토양은 황룡통으로 사토이며 물 빠짐이 양호하였음
- 2023년 12월 수확을 마친 후 미숙 건조 우분을 10a에 4.5톤(축분퇴비 적량 1.0∼1.5톤/10a)을 2∼3cm 높이로 복토하였으며, 또한 복합비료(14-7-17-Mg-S)를 10a에 30kg을 살포하여 관리하고 있었음
- 토양의 전기전도도(EC)는 1.35∼2.00dS/m이었음
종합 검토의견
피해 원인은 축사에서 생산한 미숙 건조 우분을 적량보다 3배 많은 양을 투입하였고 부숙이 진행되면서 암모니아 가스가 발생하여 잎이 하얗게 피해받은 것으로 보임
발생한 암모니아 가스는 밤에 하우스 내에 존재하다가 아침이면 잎 끝에 맺히는 물방울에 용해되어 높은 온도에서 수분이 증발하면서 농도 장해로 인해 잎끝이 고사하는 증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됨
부추의 뿌리에서 세균병의 일종인 무름병이 발생하였기에 세균병 적용약제를 살포하고, 앞으로 해충(좀나방, 굴파리) 약제를 살포하여 하절기 해충 예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기술지도 방향
앞으로 기온이 높아지면 우분(미숙 상태)의 분해가 빨라져 암모니아 가스 발생이 많아질 것으로 판단되니 충분한 물을 주고 높은 온도에서 축분 분해 미생물에 의한 분해를 촉진하여 암모니아 가스를 빠르게 휘산(액체가 기체로 변하여 흩어짐)시켜 줄 수 있도록 당부
축사 퇴비사에서 건조 시킨 우분은 완전히 발효된 퇴비가 아니기 때문에 수분과 온도가 높으면 분해과정에서 암모니아 가스가 나와 작물에 해를 줄 수 있으니 사용할 때 철저한 주의가 필요함
고온 건조한 조건에서 흰가루병 발생이 많아지므로 예찰을 철저히 하여 발생 초기에 적용약제를 2~3회 살포할 수 있도록 당부
관련 사진
부추 재배포장 전경 수확 전
부추 재배포장 전경 수확후
부추 두상관수
수확 후 자라고 있는 부추
부추 잎 끝 마름증상 및 무름병
부추 잎 끝 마름증상 및 무름병
부추 잎 끝 마름증상 및 무름병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