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농업자재
농업자재
영농기술
영농기술
농업경영
농업경영
연구정보
연구정보
생활농업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농사로소식
검색
화면크기
작게
보통
조금 크게
크게
가장 크게
초기화
전체메뉴
농사로
전체메뉴
농사로 활용가이드
전체메뉴 닫기
통합검색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통합검색
직원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검색 닫기
홈
영농기술
농업자재
영농기술
농업경영
연구정보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현장정보
농업환경
작목정보
현장정보
영농활용정보
축산정보
한국표준사료성분표
친환경농업
해외농업
수출농업
디지털농업
현장기술지원 사례
이달의 농업기술
SNS로 보는 농업 이모저모
현장 전문가 칼럼
현장기술지원 사례
현장기술 상담결과
농촌 소식/행사
농산물가격
관심작목설정
sns공유
열기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밴드
블로그
URL 복사
프린트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양파
논 토양 재배 양파가 자라지 않고 갈변 고사해요
기술지원일
2024-01-18
작성자
김정수
조회수
904
현장기술지원 개요
일자
2024년 1월
장소
전북 김제시
영농현황
재배작물 : 양파 *품종: 초이스(Choice)
재배규모 : 66,116㎡(6.6㏊)
재배방법 : 노지재배(논, 밭 재배)
정 식 일 : 2023. 10. 20. 전후
농가 의견
이상증상
- 발생시기: 2024년1월 초순경(김제시센터 현장 확인 1.14.)
- 발생증상: 양파 잎이 마르고 고사함.
- 발생면적: 재배 포장의 60∼70%정도 추정함(김제시센터 조사).
- 발생형태: 지상부 잎 부위가 고사하고 서릿발 피해가 발생함.
현장의견
- 평소(10년이상) 논과 밭 포장이 수직배수가 잘되어 피해 없었음.
현장 조사 결과
❬재배 분야❭
생육상태
- 양파 잎몸부 길이17∼27㎝로 자란 흔적만 있을 뿐 고사하여 없음(잎수 3∼7매 흔적만 있음).
- 양파 잎집부 길이 7∼8㎝, 잎몸부 굵기 5.5㎜, 구직경 15㎜, 뿌리길이 15㎝, 살아있는 뿌리수 15개/주
생육분석
- ’23년 12월 평균기온이 2.7℃(’22년도:–2.5℃)로 전년보다 5.2℃가 높아 식물체가 웃자란 것으로 추정함(농업기상관측지점: 김제시 부량면).
- 12월 11∼22일까지 강우가 112.9㎜(전년 12월 강우 40.0㎜) 내림.
- 12월 16∼25일까지 최저기온–3.8∼-14.6℃까지 10일간 지속됨.
* 이때 웃자란 양파 잎몸부가 고사 한 것으로 추정됨. (앞으로 정상 생육이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관리가 필요함).
❬토양 분야❭
토양 상태
- 표토심이 20cm이하로 얕고 비가 오면 물 빠짐이 느려 고랑에 물이 고임.
* 물고임 시간이 길면 과습으로 잔뿌리 발생이 미흡함.
비교 분석
- 김제시 금산면의 양파재배 면적은 65ha로 이 지역 대부분의 논 토양 양파재배 농가는 같은 피해를 받은 것으로 보임.
- 유효 토심이 50㎝로 깊고 물 빠짐이 좋은 밭 토양임.
* 피해 발생 전까지는 지상부 생육이 양호하였음.
- 이후 밭 토양 양파도 지상부 식물체가 갈변 고사하는 증상은 논 토양 양파와 같은 시기로 보임.
❬병해충 분야❭
병해충 조사: 육안(300주) 및 굴취(6주)하여 진단함.
진단 결과
- 잎마름병, 노균병 병징이 나타났으나, 과습, 한파 피해로 고사가 진행되고 있어 병해충 진단이 어려움.
- 양파 잎몸부가 고사하였으나 병해충에 의한 고사는 아닌 것으로 판단함.
종합 검토의견
양파는 월동작물로 저온에 강하여 -6℃에도 견디는 힘이 강함(-14℃에서 고사함).
- 기온이 -10℃이하로 내려가도 뿌리가 있는 5∼10㎝ 깊이의 토양은 영상이거나–1∼-2℃에 그침.
토양에 물이 많을 때는 열전도율이 높아 지온이 내려가 -8℃가 되면 양파 잎집부와 뿌리는 동해 피해를 받을 수 있음.
- 지상부 식물체(잎몸부)는 월동기간 중에는 수분이 적은 상태로 지내게 되지만 수분흡수가 증가하면, 저온으로 갈변 고사 피해를 받음.
따라서 양파에 발생한 잎몸부 갈변 고사 피해 원인은 다음과 같음.
⇨집중 강우로 토양과 식물체 수분이 증가한 상태에서, 10일간 지속된 저온에 의한 피해가 가중된 것으로 추정됨.
기술지도 방향
월동기간에 저온이 지속되면 부직포를 덮어 보온하거나 원예용 상토나 퇴비로 복토 할 것.
- 두둑을 높이고 고랑을 깊게 만들어 강우시 물 빠짐이 빠르게 하여 과습 피해를 받지 않도록 할 것.
- 월동기간에 서릿발 발생에 의한 피해를 받지 않도록 할 것.
향후 2월 중순 이후 양파 생육재생기(새뿌리 발생) 관리할 것.
논 토양에 양파를 재배할 때는 볏짚 등을 넣어 깊이갈이(50㎝)할 것.
- 예방적 차원에서 노균병, 흑색썩음균핵병, 고자리파리, 뿌리응애 등을 단지별로 공동 방제를 권유함.
관련 사진
논 양파 재배 포장
논 양파 잎몸부와 잎집부 뿌리
밭 양파 재배 포장
밭 양파 잎몸부와 잎집부 뿌리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