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농업자재
농업자재
영농기술
영농기술
농업경영
농업경영
연구정보
연구정보
생활농업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농사로소식
검색
화면크기
작게
보통
조금 크게
크게
가장 크게
초기화
전체메뉴
농사로
전체메뉴
농사로 활용가이드
전체메뉴 닫기
통합검색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통합검색
직원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검색 닫기
홈
영농기술
농업자재
영농기술
농업경영
연구정보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현장정보
농업환경
작목정보
현장정보
영농활용정보
축산정보
한국표준사료성분표
친환경농업
해외농업
수출농업
디지털농업
현장기술지원 사례
이달의 농업기술
SNS로 보는 농업 이모저모
현장 전문가 칼럼
현장기술지원 사례
현장기술 상담결과
농촌 소식/행사
농산물가격
관심작목설정
sns공유
열기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밴드
블로그
URL 복사
프린트
전라남도 해남군
딸기
딸기 3화방부터 기형과가 지속해서 발생해요
기술지원일
2023-04-14
작성자
전효정
조회수
1,051
현장기술지원 개요
일자
2023년 4월
장소
전남 해남
영농현황
재배작물 : 딸기(품종 : 설향)
재배규모 : 2,000㎡(3동)
현장 조사 결과
딸기재배 7년 정도의 경력을 가진 민원인은 3년 전부터 딸기 고설 촉성재배를 하는데 지난 12월 말경부터 꿀벌을 동당 1통을 넣어 수정관리 하다가 2통을 더 넣어 관리함
그 뒤 뒤영벌을 2통을 더 넣고 관리하던 중 딸기에 응애가 발생하여 벌들을 피신해 놓은 후 농약을 살포함
현장 방문 때 정상적인 뒤영벌 활동을 관찰하였으며, 3∼4화방 과실 수확 단계에 있었으며 과실이 계속 기형과가 발생 되고 있어 잠시 농약과 영양제 살포를 10일 정도 중단함
딸기 베드내 배지 수분 함량은 38.0% 정도로 손으로 배지를 쥐었을 뭉치고, 배지 전기전도도(E·C)는 2.0 dS/m이었으며, 배지 pH는 6.5임
토양 전염성 병원균 밀도가 높았으며, 뿌리응애, 작은뿌리파리 등 기타 병해충 피해는 거의 없었음
민원인은 혼용가부 확인 없이 관행적으로 농약 2∼3종과 영양제 1∼2종을 혼용 살포함
❮꿀벌에 대한 농약 위해성 정도별 주의사항❯
(Ⅰ) 꿀벌독성이 강하지만 위해성이 낮은 농약 (“이 농약은 꿀벌에 대한 독성이 강하니 주의하십시오.”)
(Ⅱ) 꿀벌독성이 강하지만 잔류독성이 없는 경우 (“이 농약은 꿀벌에 독성이 강하므로 꽃이 피어 있는 동안이나 꿀벌이 왕성한 활동을 하는 시간에는 살포하지 마십시오.”)
(Ⅲ) 꿀벌독성이 강하면서 잔류독성이 있는 경우(치사 기간이 1일 이상 5일 미만) (“이 농약은 꿀벌에 잔류독성이 강하므로 꽃이 피기 (치사기간+2일)일 전부터 꽃이 피어 있는 동안에는 사용하지 말아야 하며, 일시에 광범위한 지역에 살포하지 마십시오.”)
(Ⅳ) 꿀벌독성이 강하면서 잔류독성이 있는 경우(치사기간이 5일 이상 21일 미만) (“이 농약은 꿀벌에 잔류독성이 강하므로 봄부터 꽃이 완전히 질 때까지는 사용하지 말아야 하며, 일시에 광범위한 지역에 살포하지 마십시오.”) (포장지 앞면에 적색으로 “꿀벌에 독성 강함” 경고문구 표기)
금후 기술지도
농약 혼용이 불가피할 경우 2종까지만 혼용하되 해당 농약 회사의 혼용정보에서 혼용가부를 확인한 후 사용하거나 좁은 면적에 미리 살포하여 약효 및 약해 이상 여부를 살펴본 후 전체 포장에 사용하기를 권장함
농약과 미량요소 성분이 함유된 비료를 혼용하면 농약 중에 함유된 계면활성제 등의 성분에 의해 비료의 흡수가 증가하여 과량 흡수된 미량요소로 인한 생리장해가 일어나기 쉬우므로 약해 여부에 특히 주의해야 함
추후 토양소독제 처리와 배지(상토) 교환 등으로 토양 전염성 병해 밀도를 낮추어 주고, 적정 수분 유지로 뿌리 스트레스 조절과 활력을 높여야 할 것으로 판단함( * 자료 제공 : 쉽게 알아보는 딸기 병해충 1부 : 농촌진흥청)
딸기 기형과는 수정 불량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 대부분으로 겨울철 흐린 날 지속, 낮 온도 15℃ 이상으로 올라가지 못한 날이 지속되면 벌의 활동이 둔화하여 기형과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적정 온도관리를 요구함(꿀벌 적온 18∼22℃, 뒤영벌 적온 10∼25℃)
낮 온도를 30℃ 이상 높게 관리한 때도 암꽃과 수술이 장해를 받아 기형과 발생률이 증가하므로 주의 바람
딸기는 3월 이후 신엽을 키우는 데 집중하므로 강한 적엽을 통하여 균형을 맞추어 주는 것이 필요함.
배지 내 양분, 수분관리를 현재보다 낮은 수준으로 관리하여 딸기 뿌리활력을 촉진 관리 바람
관련 사진
딸기 꽃잎 변색
뒤영벌 활동
딸기 기형과
팁번(잎 끝마름현상)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