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농업자재
농업자재
영농기술
영농기술
농업경영
농업경영
연구정보
연구정보
생활농업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농사로소식
검색
화면크기
작게
보통
조금 크게
크게
가장 크게
초기화
전체메뉴
농사로
전체메뉴
농사로 활용가이드
전체메뉴 닫기
통합검색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통합검색
직원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검색 닫기
홈
영농기술
농업자재
영농기술
농업경영
연구정보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현장정보
농업환경
작목정보
현장정보
영농활용정보
축산정보
한국표준사료성분표
친환경농업
해외농업
수출농업
디지털농업
현장기술지원 사례
이달의 농업기술
SNS로 보는 농업 이모저모
현장 전문가 칼럼
현장기술지원 사례
현장기술 상담결과
농촌 소식/행사
농산물가격
관심작목설정
sns공유
열기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밴드
블로그
URL 복사
프린트
전라남도 영광군
딸기
딸기가 작은뿌리파리 피해로 인해 생육이 불량해요
기술지원일
2022-01-07
작성자
최선주
조회수
1,613
현장기술지원 개요
일자
2022년 1월
지역
전남 영광
출장자
최선주 농업주사보, 김태영·장병춘·김종엽 기술위원
현장조사 협조 : 정재욱 농촌지도관 외 3명 (영광군농업기술센터)
영농현황
재배작물 : 딸기(품종 ; 설향)
재배규모 : 4,620㎡
재배방식 : 하우스재배(단동하우스 10동)
농가의견
딸기 정식 후 초기에는 정상 생육하였으나 첫 수확 때부터 하우스 10동 중 4동에서 황화 및 고사가 발생하는 이유
하우스 10동에서 정식 시 비교적 키가 큰 묘를 심은 5동에서는 피해가 거의 없고 작은 묘를 심은 4동에서 피해가 크게 발생 된 이유 및 금후 대책은 무엇인지 알고 싶음
현장 조사 결과
민원인은 올해 처음으로 비닐하우스를 신축하여 코코피트와 펄라이트 5 대 5로 혼합한 배지를 사용하여 고설 재배함
비닐하우스 10동 중 5동은 큰 딸기묘를 정식하였고 4동은 작은 묘를 정식하였으며 생육불량 피해는 작은 묘를 정식 한 하우스에서 심하게 발생함
9월 중순에 육묘 후 한 달간은 생육이 매우 왕성하였으며 그 이후 서서히 생육 불량 피해가 발생하였음
잎 선단 갈변 고사 증상은 정식 후 50일에 발견하였으며, 뿌리 부근에서 작은뿌리파리 유충을 다량 발견하였다고 함(현장 방문 전 살충제 처리로 현장 방문 시 작은뿌리파리는 발견되지 않음)
- 잎이 황화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잎끝이 검게 타는 증상이 발생하며 피해가 발생한 딸기묘는 대부분 뿌리의 발달이 미흡함
정상주의 초장은 27cm, 엽수는 11매 정도이나 피해주의 초장은 25cm 엽수는 10매 정도로 정상주에 비해 생육이 떨어지는 경향임
현장 방문 시 양액의 pH는 6.1, EC(전기전도도)는 0.8∼1.1 dS/m로 조절하여 주당 30ml을 매일 5∼7회 관주하고, 양액 급여액의 pH는 6.52, EC는 0.84dS/m이며 배수액의 pH는 6.49, EC는 0.75dS/m이었음
- 작년 12월 공급한 양액의 EC는 1.1dS/m이었으나 베드 내 EC는 1.5dS/m로 높게 나왔다고 함
딸기 황화 증상이 발생한 배지의 수분함량과 EC를 간이 측정한 결과 피해가 심한 배지의 수분은 46%로 적정 수준보다 높게 나타났음
종합 검토의견
피해가 심한 딸기 식물체의 뿌리는 뿌리털과 잔뿌리가 없고 굵은 뿌리는 갈변 고사하여 양수분의 흡수가 매우 불량한 것으로 보이며 이것은 작은뿌리파리에 의한 피해로 추정됨
12월 베드 내 양액의 EC가 공급한 양액의 EC보다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코코피트 배지가 부식하면서 영양분의 용출로 인해 EC가 상승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뿌리 피해로 영양분의 흡수 장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됨
딸기 생육 불량 및 황화 증상은 정식 후 관수 시간과 횟수가 많아 배지 내 수분함량의 과다 및 작은뿌리파리 유충의 흡즙에 의한 피해이며 이러한 증상을 가중한 것은 정식 시 배지의 포습과 세척의 미비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됨
금후 기술지도
뿌리 활력 증진을 위하여 하루에 양액을 1회 충분히 관주하고 배지의 수분이 부족할 때는 물만 관수하여 근권부를 적정 수분 상태로 유지하시기 바람
베드 충진용 새 배지인 코코피트를 처음 사용할 때는 베드 설치 후 20여일 정도 포습하여 염류를 완전히 제거한 후 사용하는 것이 염류장해를 예방할 수 있음
장해가 발생한 베드를 충분히 포습 한 후, 현재 공급하는 EC보다 약간 낮게 설정하여 베드 내 EC 변화를 관찰한 후 급액 농도를 0.8∼1.0dS/m로 관리할 것을 추천함
- 배양액의 pH가 낮을 경우 뿌리의 활성이 약해져 양분 흡수량이 떨어지므로 배양액의 농도를 낮추어 뿌리의 생육을 촉진해 주어야 함
다음 작기에는 정식 후 뿌리 부근의 작은뿌리파리 발생을 잘 관찰하고 미리 방제하여 주시기 바람
관련 사진
포장 전경
딸기 엽 피해 상태
피해가 심한 딸기 엽
딸기 화방의 피해
식물체의 피해상태(좌측:심,우측:경미)
현장기술지원 결과 설명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