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농업자재
농업자재
영농기술
영농기술
농업경영
농업경영
연구정보
연구정보
생활농업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농사로소식
검색
화면크기
작게
보통
조금 크게
크게
가장 크게
초기화
전체메뉴
농사로
전체메뉴
농사로 활용가이드
전체메뉴 닫기
통합검색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통합검색
직원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검색 닫기
홈
영농기술
농업자재
영농기술
농업경영
연구정보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현장정보
농업환경
작목정보
현장정보
영농활용정보
축산정보
한국표준사료성분표
친환경농업
해외농업
수출농업
디지털농업
현장기술지원 사례
이달의 농업기술
SNS로 보는 농업 이모저모
현장 전문가 칼럼
현장기술지원 사례
현장기술 상담결과
농촌 소식/행사
농산물가격
관심작목설정
sns공유
열기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밴드
블로그
URL 복사
프린트
전라남도 진도군
논벼
벼 포장 인근 보리밭에 항공방제 이후 벼 잎에 갈색 반점이 생기고 잎끝이 고사해요
기술지원일
2021-06-17
작성자
고호철
조회수
1,204
현장기술지원 개요
일 자
2020년 6월
지 역
전라남도 진도군
출장자
고객지원담당관실 정동완 농촌지도관, 최용환·김원일·이상범·이동철·권경학 기술위원
현장조사 협조 : 진도군농업기술센터 작물환경팀 최효진 등 3명
영농현황
작물명 :벼(품종 : 신동진)
재배규모 : 19,830㎡
재배현황
- 친환경재배 단지, 8일묘, 5월 17일 이앙
- 드론 항공방제 약제 : 바○○○, 플○○(이앙 후 9일 살포)
농가의견
보리 조기 수확을 목적으로 드론을 이용해 항공 약제를 살포하였음. 본 약제가 바람에 비산되어 벼에 약해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고, 이에 대한 정확한 원인을 규명하고자 함
현장 조사 결과
민원인은 신동진벼를 진도군농업기술센터의 협조로 온탕침지소독을 하고, 파종상자에 8일묘를 육묘해서 5월 17일에 벼 기계이앙을 하였다고 함. 이앙 당시 상자처리제로 영양제 ‘참○’, 살충제 ‘미○○○○’, 살균제 ‘뉴○’을 살포하였다고 함.
민원인 이웃농가(보리재배)에서는 이앙 후 9일째인 5월 26일 드론을 이용해 ‘바○○○’(특정식물건조제, 미량요소복합), ‘플○○’(4종 복합, 생장조절제)을 혼용하여 항공 살포하였다고 함(사진 3.).
현장 조사 결과 항공 약해 피해가 염려되는 논에서의 벼 잎은 갈색 반점이 보이고 잎끝이 고사된 흔적이 약간 보이나, 많이 호전되어 정상생육을 하고 있었음. 벼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정상 개체의 벼 평균 초장은 32cm, 새끼가지수는 평균 15개이었으며, 약해 입은 개체의 평균 초장은 28cm, 평균 새끼가지수는 12개로, 평균 초장은 4cm, 평균 새끼가지수는 3개가 적은 경향이었음(사진 2., 5.).
민원인은 친환경 재배로 우렁이를 방사하여 잡초방제를 하려고 함.
현장 조사 시 자연적으로 방사된 우렁이가 잡초를 방제하여 깨끗한 상태였음. 벼 재배포장에는 먹노린재 월동 성충이 본답으로 이동하여 벼 줄기에 붙어 있었음.
민원인 논의 포장에서 산도(pH)와 전기전도도(EC), 염농도를 간이 검정한 결과 산도(pH) 7.3, 전기전도도(EC) 2.18dS/m, 염분농도 0.1%이었음.
종합 검토의견
벼 이앙 당시 친환경 살충, 살균제 처리는 등록된 농자재를 적기에 사용한 것으로 보여짐.
5월 17일 이앙 이후 7일(뿌리 활착기) 동안의 기상청 기상자료에 의하면 진도지역의 최저기온은 9.5∼14.1℃이었음. 보리 재배 이웃 농가에서 드론을 이용하여 5월 26일(이앙 9일 후)에 바○○○과 플○○을 혼용하여 약제를 살포하였는데, 초기에는 벼 잎에 약해로 인한 갈색반점 증상이 나타났으나 6월 10일 현장 확인 시에는 벼 상태가 뚜렷하게 호전되어 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음(사진 5.).
민원인 벼 재배포장에서 발견한 먹노린재는 발생초기에 적용약제〔디노테푸란(액)〕 등을 살포하여 벼 줄기 흡즙으로 인한 고사, 벼 이삭에 피해가 없도록 철저히 관리해야 할 것임.
금후 기술지도
농약을 살포 시에는 반드시 대상작물, 농약명, 주의사항 등의 표기 사항 등을 면밀히 검토하여 구입하고, 살포하기를 권유함.
드론을 이용한 항공 방제를 하려면 비산에 따른 이웃 농가 간 분쟁이 생길 수 있으므로, 사전에 이웃 농가에 방제 시기를 통보할 것을 권장하고, 바람의 영향이 없는 시간대를 고려하여 인근 작물에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제 작업에 유의를 해야 함.
잡초방제용 왕우렁이는 중소형의 활동성 개체를 입식하는 것이 선결 조건이며, 논 잡초방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논 써레질 후 늦어도 7일 이내에 투입하여야 함.
먹노린재는 논물에 잠수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먹노린재 방제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약제 살포 시 논물을 빼 주어야 함.
관련 사진
드론 항공방제 현황 설명
벼 생육특성 조사
특정식물건조제
5. 29 진도센터 조사 약제 피해
6. 10. 벼 잎 회복 상태
벼 피해 진단 원인 규명 설명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