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농업자재
농업자재
영농기술
영농기술
농업경영
농업경영
연구정보
연구정보
생활농업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농사로소식
검색
화면크기
작게
보통
조금 크게
크게
가장 크게
초기화
전체메뉴
농사로
전체메뉴
농사로 활용가이드
전체메뉴 닫기
통합검색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통합검색
직원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검색 닫기
홈
영농기술
농업자재
영농기술
농업경영
연구정보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현장정보
농업환경
작목정보
현장정보
영농활용정보
축산정보
한국표준사료성분표
친환경농업
해외농업
수출농업
디지털농업
현장기술지원 사례
이달의 농업기술
SNS로 보는 농업 이모저모
현장 전문가 칼럼
현장기술지원 사례
현장기술 상담결과
농촌 소식/행사
농산물가격
관심작목설정
sns공유
열기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밴드
블로그
URL 복사
프린트
경상남도 하동군
논벼
키다리병으로 인해 벼 줄기가 고사해요
기술지원일
2017-08-25
작성자
이종남
조회수
1,983
현장기술지원 개요
일 시 : 2017. 8. 25.
장 소 : 경상남도 하동군 고전면 성천리 704-3
출 장 자 : 고객지원담당관실 김쌍수 지도관, 박종욱·예완해·이기상 기술위원
- 현지 조사협조 : 하동군농업기술센터 식량작물담당 문호명
영농현황
농 가 명 : 하동군 고전면 성천리 이원덕 (010-****-4474)
작 물 명 : 벼(영호진미)
피해면적 : 1,650㎡
농가의견
벼의 일부 줄기가 고사되고 일부 지점에서는 여러 포기가 함께 고사되는 피해가 발생하여 원인 규명과 대책 등에 대해 알고자 함
현장조사 결과
피해 논은 곡간지 하천변 사질 답으로 야산에 인접한 논이었음
민원인에 의하면 정부 보급종인 영호진미를 구매하여, 냉수온탕침법으로 종자소독 후 육묘를 하고 5월 말경 모내기를 하였다고 함
장 조사 결과 벼 생육은 전반적으로 양호한 편이었으나, 논 전체가 키다리 병이 우심한 포장으로 일찍 이병된 줄기는 이미 고사되었고, 조사 당시에도 키다리병으로 이병된 줄기가 산발적으로 보였음
일부지점에 집단적으로 고사된 벼를 관찰한 결과 줄무늬잎마름병 피해 증상 이었으나, 애멸구 발생은 적은 편이었으며,
벼의 생육상태가 불균일하여 논 내부를 관찰한 결과 잎집무늬마름병, 깨씨무늬병 발생이 심한 곳과 경미한 곳의 생육차이가 확연이 보였음
민원인은 8월 20일 살균제 “신○탄”과 살충제 “빅○니”를 살포하였으며, 그 앞에도 2차례나 방제를 하였는데도 방제가 되지 않고 있다고 함
종합 검토의견
키다리 병이 심하게 발생한 원인은 이병된 종자임에도 종자소독을 철저하게 하지 못 하여 벼 껍질 내부 종실에 잠복해 있는 포자와 균사가 살균되지 않아 발병된 것으로 추정되며, 영호진미 품종이 출수기 이후까지 계속 발병되고 있는 것은 병원성이 미약하거나, 침입하고 있는 키다리병균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저항성인 것으로 추정되며,
줄무늬잎마름병 발생원인은 민원인의 논이 애멸구 월동 서식처인 야산과 하천 뚝 가까운 곳에 있고, 주위 논 보다 일찍 모내기하여 민원인의 논에 집중적으로 날아 와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됨
민원인은 여러차례 방제를 하였다고 하나 적용농약으로 정밀방제가 되지 않아 잎집무늬마름병, 깨씨무늬병, 도열병 등이 발병되었던 것으로 추정됨
기술지도방향 (농가실천사항)
벼 줄무늬잎마름병은 월동한 바이러스 보독 애멸구가 전염하므로 서식처가 가까운 논에는 조기 모내기를 지양하고, 부득이 조기 이앙할 경우는 이앙당일 육묘상이나 본 논 초기에 애멸구, 벼물바구미, 저온성 해충 등을 침투이행성약제로 방제하기 바라며,
병해충 방제약제 살포시는 방제 병해충 적용약제인지를 확인하고, 주 성분이 다른 약제를 교호로 사용하여 약제내성병해충 발생을 차단하기 바람
내년도 사용 벼 종자는 키다리 병 발생이 없는 깨끗한 포장에서 수확한 건전한 종자를 사용 할 것
금후 벼 종자는 염수선을 하여 건실한 종자를 선별하고, 종자소독은주성분이 다른 2종의 약제를 사용하고 종자소독제의 활성이 원활한 조건(30℃에서 48시간 침지)에서 종자소독을 철저히 한 후 파종할 것
상자 당 적정 파종 량을 준수하여 밀식으로 인한 키다리병 상호감염 및 발병조장을 차단하기 바람
관련 사진
관련 사진
피해 포장 전경
키다리병 이병주
줄무늬잎마름병 이병주
우: 키다리병, 좌: 줄무늬잎마름병
현장 조사
현장조사 결과 설명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