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농업자재
농업자재
영농기술
영농기술
농업경영
농업경영
연구정보
연구정보
생활농업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농사로소식
검색
화면크기
작게
보통
조금 크게
크게
가장 크게
초기화
전체메뉴
농사로
전체메뉴
농사로 활용가이드
전체메뉴 닫기
통합검색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통합검색
직원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검색 닫기
홈
영농기술
농업자재
영농기술
농업경영
연구정보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현장정보
농업환경
작목정보
현장정보
영농활용정보
축산정보
한국표준사료성분표
친환경농업
해외농업
수출농업
디지털농업
현장기술지원 사례
이달의 농업기술
SNS로 보는 농업 이모저모
현장 전문가 칼럼
현장기술지원 사례
현장기술 상담결과
농촌 소식/행사
농산물가격
관심작목설정
sns공유
열기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밴드
블로그
URL 복사
프린트
광주광역시 북구
논벼
출수기 벼에 도열병균과 세균벼알마름병균의 감염 증상이 발생했어요
기술지원일
2017-09-25
작성자
이종남
조회수
3,991
현장기술지원 개요
일 시 : 2017. 9. 25(월)
장 소 : 광주광역시 북구 생용동 432
출 장 자 : 고객지원담당관실 김이기 지도사, 박종욱·예완해·김종진기술위원
- 현장조사협조 : 광주광역시농업기술센터 환경농업팀장 임장희 외 1명
영농현황
농 가 명 : 광주광역시 북구 생용동 291 범○○
작 물 명 : 벼(새누리)
피해면적 : 1,749㎡
농가의견
초·중기 제초제 사용 이후 병해충 방제는 하지 않았는데 벼 이삭이 고사되는 것으로 보아 이앙 후 잡초(피)를 방제하기 위해 살포한 제초제 “카운실”의 피해가 의심이 되어 정확한 피해 원인을 알고 싶음
현장조사 결과
피해 논은 동쪽과 북쪽이 야산으로 둘러싸인 마을 앞 낮은 지역에 위치한 논 이었으며, 벼 숙기는 황숙기로 전반적으로 비료가 부족한 상태이고 피가 많이 발생하여 작황이 양호한 논은 아님
민원인의 논 1,749㎡에 모내기 3일전에 초기 제초제 “마세트”를 살포하고, 모낸 후 12∼15일 경에 중기 제초제 “여명” 2봉을 살포하였으며, 이후 피가 많이 발생하여 중기 제초제 “카운실” 2봉을 다시 살포 했다함.
그 후 병해충 방제를 위해 농약은 살포하지 않았다고 함
피해증상은 벼이삭도열병과 세균벼알마름병 이병수율이 각각 약 20% 정도 이병되어 있었는데 이삭도열병은 마디, 이삭 목, 이삭 가지 등에 다양하게 피해 증상이 발견되었으며, 세균벼알마름병은 벼 알이 회백색으로 변하여 이삭이 곳곳하게 서있는 상태로 두 종의 병이 한 포기에서 함께 발생한 포기도 있었음
민원인은 중기 제초제“카운실”살포로 인한 피해로 의심을 하고 있음.
종합 검토의견
벼 알이 영글지 못하고 쭉정이가 되는 원인은 출수기에 지나친 고온이나 저온, 계속되는 강우 등 자연적 요인이나, 도열병균, 깨씨무늬병균, 붉은곰팡이병균, 세균벼알마름병균의 감염 등에 의한 원인이 있음
민원인의 포장에 주된 피해 원인은 피해증상으로 보아 출수기 도열병균(Magnaporthe grisea)과 세균벼알마름병균(Burkholderia glumae)의 감염에 기인한 피해로 판단됨
제초제 살포 후 3개월 이후까지 벼가 정상적으로 자라다가, 한 포기 중 몇 줄기의 벼 이삭에만 약해가 나타나는 경우는 없음.
금후 기술지도 방향
도열병과 세균벼알마름병은 종자전염 되는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에 건전한 종자의 채종 및 선택, 염수선(비중 1.18), 온탕침법 (55℃에 60분간 처리) 및 건열처리(40℃에서 2일)권장
차 년도의 세균벼알마름병 방제를 위하여 수확 후 이 병립 , 벼 그루, 왕겨 및 포장주변의 잡초 등을 소각하여 전염원을 제거 함
본답에서 병이 발생하면 적용 약제를 살포하고, 출수기에는 이삭도열병과 세균벼알마름병을 동시에 예방적으로 방제하는 것도 효과 적임
관련 사진
관련사진
피해논 전경
피해증상
피해증상(좌: 도열병, 우:세균벼알마름병)
피해 상황 조사
피해 상황 청취
조사결과 설명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