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영덕군

부추시설재배 부추 포장에 버섯이 발생했어요

  • 기술지원일 2012-01-11
  • 작성자 김태영
  • 조회수 1,439

현장기술지원 개요

  • 일 시 : 2012. 1. 11. ~ 12.
  • 장 소 : 경북 영덕군
  • 농가의견
    • 시설부추 재배포장에 2011년 11월 상순경 부산물비료퇴비(콤○○)를 단동형하우스에 동당 300포(6,000㎏)를 살포 한 후,
    • 같은 해 12월 중순경부터 시설부추 하우스 내에서 버섯이 발생하였고, 이후 부추 잎에 그을음 현상이 많이 나타나 상품성이 떨어져 판매를 하지못하고 있음
    • 같은 시기에 우분퇴비(○○퇴비)를 살포한 포장에서는 버섯이 나타나지 않고 있음
    • 2011년 12월26일에 프리원을 1동당 250cc(10말), 1월6일에 1동당 1,500cc(75말)를 살포하였으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음
    • 시설하우스에서 버섯이 발생하는 원인과 앞으로 어떻게 관리해야 하며, 시설부추를 정상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지 여부가 궁금함

현지조사 결과

경종개요

  • 재배작물 : 부추(품종 : 그린벨트)
  • 재배규모 : 5,400㎡(단동형 비닐하우스 9동, 무가온 2중)
    • 하우스 규격 : 폭 6m, 길이 100m
      * 현지 확인한 3동은 연동형 하우스 형태로 이어져 있었음
  • 재배관리
    • 2010년 봄에 포트묘를 정식(수확시기 : 11월 하순~5월 상순).
    • 단동형하우스 내 19줄을 재배, 줄 사이의 거리는 30㎝ 정도 내외
    • 시비량 : 600㎡당 콤○○ 6,000kg, 맥○○ 40, 고○○ 5, 복합비료(흙○○)20
    • 수 확 : 연 6회, 1회 수확량 약 1,000kg(하우스 1동)
  • 재배형태 : 비닐하우스 시설재배

현장조사 결과

  • 먹물버섯이 포장 전체에 발생하여 검은 색의 포자를 포함하는 자실체 일부가 부추 잎에 많이 묻어 있었음
  • 육안으로 보아 버섯이 발생한 하우스가 버섯이 발생하지 않은 하우스보다 표면에 살포된 퇴비의 두께가 두꺼웠음(5cm 정도)
    • 버섯의 발생정도는 동별로 차이가 컸고, 피해가 발생한 하우스는 서로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었음
  • 부산물비료퇴비(상표명 : 콤○○)를 살포한 시설부추에서는 먹물버섯이 발생하였고, 피해 농업인의 다른 포장(우분퇴비 시용)에서는 버섯의 발생이 없었음
  • 인접한 시설부추에 콤○○ 및 우분퇴비(○○퇴비)를 살포한 포장에서는 먹물버섯이 발생되지 않았음
    • 시설부추 포장 바닥에 깔린 퇴비의 양이 피해농가보다 적었고, 표면에 물기가 거의 없었음
  • 같은 마을의‘콤○○’를 사용하여 피해가 있다는 농업인 포장을 방문한 결과 먹물버섯이 다량 발생하여 피해가 나타났음

종합 검토의견

  • 부추 밭에 발생한 버섯은 끝말림먹물버섯(Coprinus aokii)과 먹물버섯류(한국명 없음, Coprinus fimetarius) 중 하나로 추정되며 향후 자실체를 수집 후 미세구조를 확인 후에 정확한 종을 구분할 계획임
  • 피해 농업인의 포장에서 먹물버섯류가 발생한 원인을 종합해 보면 일차적으로 먹물버섯류 포자가 ‘콤○○’퇴비 중 거친 유기물 안에 존재하고 있다가, 이차적으로 재배과정에서 버섯 발생에 적합한 환경(온·습도)이 주어지면서 버섯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며,
  • 일반적으로 먹물버섯은 포자가 있어도 유기물과 온·습도 조건이 맞아야만 버섯이 발생되는 점을 감안하여 보면 피해 농가의 경우 버섯포자가 함유된 유기물이 많은 퇴비를 다량 사용한 것과 포장을 과습하게 관리하였기 때문에 버섯이 발생하였을 것으로 판단됨
    • 피해가 발생한 포장은 인근의 다른 농가보다 다량의 퇴비를 사용하여 버섯의 영양분이 될 수 있는 양분이 많았고, 지표면의 습도가 높아 버섯이 발생·생장하기 유리한 환경이었음

금후 기술지도 방향

  • 피해 하우스 토양 표면에 뿌린 유기질비료를 제거하여 버섯이 생장하는 영양원을 차단하고,
  • 수확 전까지 부추 생육에 필요한 수분을 충분히 주어 다량의 버섯을 발생시키고, 토양 중에 남아있는 버섯의 영양분을 소모시켜 버섯 발생을 억제토록한다.
  • 특히, 버섯의 영양분이 될 수 있는 거친 유기물이 많은 퇴비는 잎을 이용하는 농작물(부추, 상추, 배추 등)에 사용 시 특별히 주의를 요함.
  • 시설재배 시 물주는 시기와 횟수를 조정하여 토양이 과습하지 않도록 하고, 습도가 높을 경우 적절한 환기를 하여 버섯 발생을 억제토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