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농업자재
농업자재
영농기술
영농기술
농업경영
농업경영
연구정보
연구정보
생활농업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농사로소식
검색
화면크기
작게
보통
조금 크게
크게
가장 크게
초기화
전체메뉴
농사로
전체메뉴
농사로 활용가이드
전체메뉴 닫기
통합검색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통합검색
직원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검색 닫기
홈
영농기술
농업자재
영농기술
농업경영
연구정보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현장정보
농업환경
작목정보
현장정보
영농활용정보
축산정보
한국표준사료성분표
친환경농업
해외농업
수출농업
디지털농업
현장기술지원 사례
이달의 농업기술
SNS로 보는 농업 이모저모
현장 전문가 칼럼
현장기술지원 사례
현장기술 상담결과
농촌 소식/행사
농산물가격
관심작목설정
sns공유
열기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밴드
블로그
URL 복사
프린트
강원도 인제군
논벼
논 제초제 사용 미숙으로 벼가 약해를 받았어요
기술지원일
2012-06-11
작성자
김태영
조회수
4,120
현장기술지원 개요
일 시 : 2012. 6. 11.
장 소 : 강원 인제군
농가의견
이앙한 모가 뿌리 활착이 잘 되지 않고 말라 죽는 증상이 3번이나 보식하여도 계속 나타나고 있어 그 원인이 무엇인지,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하는지자문을 구하고자 함.
현지조사 결과
경종개요
재배작물 : 벼
재배면적 : 900㎡
이앙시기 : 2012. 5. 19.
재배형태 : 논 재배
현장조사 결과
피해 필지는 사질답으로 논 균평작업이 불량하고, 벼 생육이 좋지 않아 물관리등 논관리가 부실한 상태이며, 부분적으로 벼가 고사되었고, 고사된 곳에3차례 보식을 하여 생육이 고르지 못하고 극히 불량한 상태였음.
생육중인 벼에 제초제 피해 여부를 조사한 결과 어린 분얼경이 꼬부러지고, 통잎이 나오는 등 제초제 피해증상이 현재에도 나타나고 있었음
일부 높은 지역에는 피 등 잡초가 많이 발생된 것으로 보아 제초제 살포 후 물관리가 불량했던 것으로 판단되며, 민원인은 제초제가 모자라 지난해 남은 ○○○를 반봉지 살포하였다고 하나 확실한 제품명을 알 수 없고 어떤 용도에 사용되는 제초제인지 확인이 되지 않았음
민원인은 보식용으로 어린 모로 재 이앙한 모는 고사가 되었는데 중모로 재이앙한 모는 정상생육이 되고 있다고 주장하며, 6월초에 소나기가 온 후 논에 와 보니 논의 일부가 침수되어 있었다고 함
종합 검토의견
현 시점에서도 제초제 피해증상이 있는 것으로 보아 피해 주 원인은 제초제피해로 판단되며, 제초제를 고르게 살포하지 않아 낮은 지역을 중심으로 제초제 피해가 났고, 퇴비 성분이 몰린 낮은 지역은 최근 고온 지속으로 토양환원으로 모가 고사된 것으로 추정됨
- 정상적으로 생육이 되고 있는 지역은 피 등 잡초가 많이 난 것으로 보아 제초제가 살포되지 않았을 것으로 추청됨
모낸 후 논 관리가 부실하여 피해가 난 것으로 보며, 현재 생육 초기이기 때문에 금후 중기 제초제 살포 등 논 관리를 잘하면 벼 생육이 많이 회복될 것으로 판단됨
어린모를 재 이앙한 모만 고사된다는 것은 신빙성이 없으며, 어린모는 모가 어리기 때문에 논물이 마르는 등 관리가 부실하여 고사된 것으로 추정됨
- 피해 논에 사용된 제초제 ○○○는 클로로아세트아닐라이드계로 잡초의유아부로 흡수 세포분열이 왕성한 생장점에서 세포분열을 저해하는 작용특성을 갖고 있는 약제로 모래땅이나 누수답 및 고온시에 약해가 발생하는특성을 갖고 있음
금후 기술지도 방향
금후 관리만 잘 하면 생육이 어느 정도 회복될 것으로 보이나 민원인이 옥수수, 들깨 등으로 재파종을 원하고 있어 농업기술센터와 협의 하도록 당부
제초제 사용시기, 사용방법 및 유의사항 등을 준수 지도 철저
관련 사진
피해포장 전경
피해증상
피해 모 전경
제초제 피해 증상
피해상황 조사
현장기술지원 전경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