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농업자재
농업자재
영농기술
영농기술
농업경영
농업경영
연구정보
연구정보
생활농업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농사로소식
검색
화면크기
작게
보통
조금 크게
크게
가장 크게
초기화
전체메뉴
농사로
전체메뉴
농사로 활용가이드
전체메뉴 닫기
통합검색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통합검색
직원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검색 닫기
홈
영농기술
농업자재
영농기술
농업경영
연구정보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현장정보
농업환경
작목정보
현장정보
영농활용정보
축산정보
한국표준사료성분표
친환경농업
해외농업
수출농업
디지털농업
현장기술지원 사례
이달의 농업기술
SNS로 보는 농업 이모저모
현장 전문가 칼럼
현장기술지원 사례
현장기술 상담결과
농촌 소식/행사
농산물가격
관심작목설정
sns공유
열기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밴드
블로그
URL 복사
프린트
경상북도 의성군
자두
자두나무 약해 유사증상이 발생해요
기술지원일
2012-06-12
작성자
김태영
조회수
3,347
현장기술지원 개요
일 시 : 2012. 6. 12.
장 소 : 경북 의성군
농가 의견
금년 5월 13일과 5월 16일 약제 살포 후, 5월 17일경 잎이 타는 듯한 증상을 처음으로 발견하였으며, 그 후 낙엽과 함께 과실이 떨어짐
이와 같은 피해가 약해로 의심되어 현장기술지원을 통하여 자두나무에 발생된 정확한 피해발생 원인을 알고자 함
현지조사 결과
경종개요
재배작물 : 자두(약 15년생)
재배품종 : 대석조생, 포모사
재배면적 : 2,670㎡(약810평)
약제살포 내역
5월 13일 : 푸레스타(제초제) 살포
5월 16일 : 푸○○수화제 + 알○○ 입상수화제 + 천○○수화제 + ○○○ 4호(4종복합비료) 혼용살포
현장조사 결과
피해 과수원의 자두나무 생육상태를 관찰한 결과, 자두나무 원줄기에 거친 껍질이 많았고, 나무의 수형구성 및 가지의 생육상태 등을 보았을 때 과원관리 및 나무의 영양 상태가 극히 불량하였고, 나무에 따라 차이는 있었으나 대부분의 잎에 세균성구멍병 피해가 많았음
민원농가의 자두나무 잎 피해 조사결과, 일부 잎에서 잎 가장자리가 갈변 고사되는 약해 유사증상이 관찰되었으나, 약해발생 이후 시간이 많이 지났고, 세균성구멍병에 의한 낙엽으로 전반적인 피해양상은 관찰이 불가능하였음
또한, 자두나무와 인접하여 서로 맞닿은 매실나무 일부가지의 잎이 떨어지고, 인접한 느티나무 일부 가지의 잎에서도 잎 가장자리가 갈색으로 변하며 죽는 약해 유사증상이 발생되어 있었으며,
일부 자두나무에서는 발생된 흡지와 원줄기 기부에 발생된 새가지 잎의 생육이 위축되어 총생되고, 잎이 말리는 증상이 발생되어 있었음
한편, 민원농가에서 5월 13일 살포했다는 푸○○(주성분 : glyphosate)는 금년에 등록 보급된 농약으로 뿌리까지 이행하여 잡초를 고사시키는 제초제이며,
5월 16일 살포했다는 방○○ 수화제, 알○○ 입상수화제, 천○○ 수화제는 자두나무에 등록되어있는 약제로 제조회사의 혼용정보에 의하면 모두 자두 나무에 혼용 가능한 약제였음
종합 검토의견
과수에서 알려져 있는 살균, 살충제 등의 약해는 약제 살포 후 약액이 맺히는 잎 선단부위(가장자리)가 갈변 고사되는 것이 일반적인 증상으로 살포한 부위에 일률적으로 발생되는 특징(양상)을 보이며,
이와 같은 약해는 여러 가지 농약을 혼용하여 살포하거나 고온기 살포 또는 제4종 복합비료와 혼용하여 살포할 경우 약해발생이 조장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또한, 이행성제초제 성분인 글리포세이트(glyphosate)는 작물의 잎에 묻었을 경우 서서히 이행되어 잎이 기형이 되거나, 전체적으로 갈변(황변) 고사되며, 심할 경우 뿌리도 고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따라서, 민원농가의 자두나무 일부 잎의 피해증상(잎 가장자리 갈변고사)과 인접한 매실나무, 느티나무의 피해발생 상태와 증상으로 보아 5월 13일 살포한 제초제에 의한 약해는 아닌 것으로 판단되며,
피해 증상, 약해 발생 시기 등으로 보아 5월 16일 혼용 살포한 농약피해로 추정되나 조사당시는 시기가 늦어 잎 가장자리 갈변 고사되는 증상이 일부 잎에서만 관찰 가능하였고, 낙엽 등에 의한 전반적인 피해양상을 관찰할 수가 없었을 뿐만 아니라,
제4종 복합비료인 ○○○ 4호를 제외한 모든 약제가 자두나무에 등록되어있는 약제로 이들 약제 모두 자두나무에 혼용 가능한 약제임을 볼 때 이들 약제에 의한 피해인지에 관해서는 정확한 판단이 불가함
따라서, 보다 정확한 원인규명을 위해서는 이들 약제에 대한 단용 및 혼용살포에 의한 재현시험이 요구됨
한편, 일부 자두나무 흡지 및 원줄기 하부에 발생된 새가지 잎 생육이 위축, 총생되거나 말린 기형형태의 증상은 이행형제초제 살포 시 비산된 약액에의한 피해로 추정됨
금후 기술지도 방향
피해상태로 보아 더 이상 피해가 진전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되며, 앞으로 농약을 살포할 때에는 반드시 주의사항 등을 확인하여 가능한 혼용살포를 금하고,
특히 농약과 제4종 복합비료를 혼용하여 살포할 경우 농약흡수가 빨라져 약해발생이 우려되므로 혼용 살포하지 않도록 할 것과,
비 선택성 제초제를 살포할 때에는 바람이나 살포압력에 날려 제초제가 작물의 잎에 묻지 않도록 특별한 주의를 해야함
관련 사진
민원농가 현장조사
자두나무 잎 피해상태 1
자두나무 잎 피해상태 2
인접한 느티나무 잎 피해상태
제조체 살포(5. 13)에 의한 제초효과 상태
일부나무 원줄기 기부 새가지 피해 상태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