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농업자재
농업자재
영농기술
영농기술
농업경영
농업경영
연구정보
연구정보
생활농업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농사로소식
검색
화면크기
작게
보통
조금 크게
크게
가장 크게
초기화
전체메뉴
농사로
전체메뉴
농사로 활용가이드
전체메뉴 닫기
통합검색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통합검색
직원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검색 닫기
홈
영농기술
농업자재
영농기술
농업경영
연구정보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현장정보
농업환경
작목정보
현장정보
영농활용정보
축산정보
한국표준사료성분표
친환경농업
해외농업
수출농업
디지털농업
현장기술지원 사례
이달의 농업기술
SNS로 보는 농업 이모저모
현장 전문가 칼럼
현장기술지원 사례
현장기술 상담결과
농촌 소식/행사
농산물가격
관심작목설정
sns공유
열기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밴드
블로그
URL 복사
프린트
전라남도 영암군
단감
감 껍질에서 갈변 증상이 나타나요
기술지원일
2023-10-26
작성자
김정수
조회수
1,005
현장기술지원 개요
일자
2023년 10월
장소
전남 영암군
영농현황
재배작물 : 단감, 대봉감(품종: 단감(상서, 부유), 떫은감(대봉))
재배규모 : 16,500㎡(단감:6,500㎡, 떫은감: 10,000㎡)
농가 의견
대봉감이 착색기에 들어서면서 과피부분에 녹반, 흑변 증상이 발생함
과원 내 80% 내외에서 발생하며, 과피 부분에서만 증상이 발생하는데, 원인이 무엇인지, 또 내년도에 이런증상이 발생하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고 싶어 기술지원 요청
현장 조사 결과
토양간이 조사
*토양은 배수가 어느정도 잘되는 송정 통으로, 현장 간이조사한 결과 유효토심은 60cm 내외 이며, pH는 6~6.5로 감을 재배하기에 1등급의 최적지로 판단됨.
현장에서 녹반 증상 및 흑변과 관찰
* 떫은 감, 단감 모두에서 녹반증상이 발생한 것을 거의 찾아 보기 어려웠으나, 과피 흑변과는 떫은 감인(대봉)은 모든 나무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다발생 하였지만, 단감종류는 거의 발생을 하지 않거나, 발생하였어도 그 정도가 아주 경미함
농약 살포 일지 검토
* 농약 살포 일지를 검토한 결과 8월 17일, 『뉴페**(균) + 깍자*(충)』약을 혼합하여 살포하였는데, 생산회사 홈페이지 혼용 안내서에도 두 약제의 혼용이 가능한 약제 목록에는 없으며, 특히 “깍자*” 는 개화기까지만 사용하고 유과기 이후에는 약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니 사용을 지양하라는 주의 사항이 있음
종합 검토의견
감 재배 최적지의 땅으로 pH가 낮아 망간의 용출로 작물이 과다 흡수하여 나타나는 녹반 증상은 아닌 것으로 보이며, 고온기 때 뿌린 농약에 의한 약해로 의심됨.
기술지도 방향
농약을 뿌리기 전에 농약 사용설명서를 반드시 읽어 본 다음 농약을 살포해야 함.(작물보호제 안전 사용 기준)
혼용 가부표에 없는 농약을 혼용할 때는 사전에 한 나무에 미리 뿌려 보고 이상이 없을 때 전 면적에 살포할 것.(작물보호제 안전 사용 기준)
농약을 혼용 할 때 가급적 2가지 이상의 농약을 혼용하지 않도록 주의할 것.
민원인이 염려하는 내년 감 농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므로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됨.
과피 흑변이 일어난 과일은 장기 보관이 안되니 가급적 수확 후 조기에 판매하도록 할 것.
관련 사진
감 과피 이상증상(2023.10.24.)
감 과피 이상증상(2023.10.24.)
감 농약일지(2023년)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