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농업자재
농업자재
영농기술
영농기술
농업경영
농업경영
연구정보
연구정보
생활농업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농사로소식
검색
화면크기
작게
보통
조금 크게
크게
가장 크게
초기화
전체메뉴
농사로
전체메뉴
농사로 활용가이드
전체메뉴 닫기
통합검색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통합검색
직원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검색 닫기
홈
영농기술
농업자재
영농기술
농업경영
연구정보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현장정보
농업환경
작목정보
현장정보
영농활용정보
축산정보
한국표준사료성분표
친환경농업
해외농업
수출농업
디지털농업
현장기술지원 사례
이달의 농업기술
SNS로 보는 농업 이모저모
현장 전문가 칼럼
현장기술지원 사례
현장기술 상담결과
농촌 소식/행사
농산물가격
관심작목설정
sns공유
열기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밴드
블로그
URL 복사
프린트
경상북도 문경시
논벼
벼 잎이 황화되고 고사 되요
기술지원일
2023-07-25
작성자
전효정
조회수
1,025
현장기술지원 개요
일자
2023년 7월
장소
경북 문경시
영농현황
재배작물 : 벼 (품종명 : 일품)
재배규모 : 3,513㎡
현장 조사 결과
민원인의 논 토양은 하성평탄지에서 발달하는 신흥통으로 토성은 표토가 미사질식양토, 심토는 미사질식토로 배수가 약간 불량한 토양으로 4년 전에 사양토를 객토 (230톤/1,000평) 함
민원인은 벼 밑거름으로 3,513m2(1,064평)에 복합비료를 10포(200kg→ 질소: 42kg)를 시용하여 벼의 질소 밑거름 표준시비량(19.5kg/1,064평)에 비하여 2.1배를 과비 시용함
현장에서 간이 토양조사한 결과 민원인의 정상 및 불량생육지점의 유효토심은 39∼42cm로 깊은 편이었고 산도(pH)는 6.1로 적정범위이었으며, 전기전도도(EC)는 정상지가 0.55dS/m이고 불량지는 0.59dS/m으로 차이가 없었음
벼 병해충 달관조사 결과 잎에 나타난 벼줄기굴파리 피해 증상 외에 다른 병해충 증상은 관찰되지 않았음
2023년 5월에 제초제를 표준 사용량의 1.4배 수면 처리하고 5일 후 1차 이앙하였으나 세로로 식재된 기계이앙 모가 길게 고사 및 잎 아래 부위가 세로로 말리는 이상 증상이 곳곳에 발생하였음
금후 기술지도
벼 모내기 전에 하는 정지작업은 벼의 초기생육, 물관리, 제초제 효과 등에 크게 영향을 미치므로 한 필지 논의 높낮이 차이가 3㎝ 내외가 되도록 균평 작업을 고르게 해야함
벼 수확 후에 농업기술센터에서 토양검정을 실시한 후 비료사용처방에서 추천하는 비료와 토양개량제를 시용하고, 볏짚 등 유기자원을 시용하여 땅심(지력)을 높여 줄 것을 권장함
장마철에 잎도열병, 흰잎마름병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중점 방제해야함
농약을 사용할 때에는 농약안전사용기준에 따라 적용대상 농작물과 병해충별로 정해진 사용방법 ‧ 사용량을 지켜 사용하여야 약해 발생을 피할 수 있음
관련 사진
논 생육상태
스트레스 받은 벼 생육상태
생육불량 모
생육불량 모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