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농업자재
농업자재
영농기술
영농기술
농업경영
농업경영
연구정보
연구정보
생활농업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농사로소식
검색
화면크기
작게
보통
조금 크게
크게
가장 크게
초기화
전체메뉴
농사로
전체메뉴
농사로 활용가이드
전체메뉴 닫기
통합검색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통합검색
직원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검색 닫기
홈
영농기술
농업자재
영농기술
농업경영
연구정보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현장정보
농업환경
작목정보
현장정보
영농활용정보
축산정보
한국표준사료성분표
친환경농업
해외농업
수출농업
디지털농업
현장기술지원 사례
이달의 농업기술
SNS로 보는 농업 이모저모
현장 전문가 칼럼
현장기술지원 사례
현장기술 상담결과
농촌 소식/행사
농산물가격
관심작목설정
sns공유
열기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밴드
블로그
URL 복사
프린트
경상북도 김천시
자두
자두나무의 신초 하단부 잎 끝에 괴사가 발생해요
기술지원일
2021-05-21
작성자
고호철
조회수
1,438
현장기술지원 개요
일시
2021년 5월
장소
경상북도 김천시
출장자
고객지원담당관실 정동완 농촌지도관, 염학수·강보구·이동철 기술위원
현장 협조 : 김천시농업기술센터 지방농촌지도사 유종상
영농현황
작물명 : 자두나무(품종 : 대석, 포모사, 15년생)
재배규모 : 3,300㎡
농가의견
2020∼2021년 연속해서 비슷한 시기 신초 하단부 1∼2엽에서 잎끝이 타들어 가는 증상이 발생 되어 병에 의한 피해가 아닌가 생각하고 있는데, 과연 그 증상이 병해인지 알고 싶고, 병해라면 금후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도 알고 싶음.
현장 조사 결과
5월 1일부터 나타난 신초 1∼2엽에서 잎끝이 타들어 가는 이상 증상은 그 후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음. 잎끝이 마르는 증상이 있는 잎은 엽록소가 모두 파괴된 흰색 또는 갈색의 피해흔이 있었고, 잎은 바싹 마른 상태에서 피해 흔 부분이 떨어져 나갔거나 피해흔에 부생균이 붙어 잎자루와 같이 반쪽짜리 잎으로 가지에 달린 상태였음.
농약 살포 관련 자료와 민원인의 이야기를 종합해 보면 자두에 미등록(유기농업 자재도 자두는 시험 작물 아님)된 석회유황합제+타○타를 살포하였고, 농약과 가급적 혼합하여 사용하지 말라는 살충제(타○타)+요소 0.2% 액을 사용하였으며, 자두에 미등록된 제초제(대○군)도 살포한 것으로 조사되었음.
자두 열매는 잿빛무늬병(회성병), 검은점무늬병(잉크병)과 노린재류 병징은 일부 나타났고, 세균성 구멍병, 궤양병 등 유사 병징(잎)도 발견하였으며, 잎끝이 타들어 가는(갈변, 흑변) 신초 이상 증상을 확인할 수 있었음.
자두재배지 과원의 토성은 곡간지에서 발달하는 뇌곡통의 사양토이고, 토양 배수는 약간 양호하며, 자두재배적성등급은 가능지(흙토람 참조)에 해당함.
자두 과원의 현장에서 토양 간이검정 결과 유효토심은 60∼67cm 정도, 토양수분 함량은 28∼30%이었음.
토양 정밀검정(김천시농업기술센터) 결과 토양산도(pH)는 4.2, 유기물(OM) 45g/kg, 유효인산 1,313mg/kg, 치환성 양이온(칼륨: 1.6, 칼슘: 1.6, 마그네슘: 1.5cmol+/kg), 전기전도도(EC) 2.2dS/m으로 토양산도(pH : 적정범위 6.0∼6.5)와 치환성 석회(Ca: 적정범위 4.0∼7.0/cmol+/kg)가 적정범위보다 아주 낮은 반면 유기물, 유효인산 및 치환성 칼륨은 적정범위보다 높았음.
종합 검토의견
시료 동정 결과 병원균 검출은 되지 않았고, 잎끝이 타들어 가는(갈변, 흑변) 신초 이상 증상은 농약, 영양제 살포 등에 의한 약해 피해 현상으로 판단하였으며. 일부 자두 잎은 부생균이 증식하고 있었음.
2020년도에도 거의 같은 시기에 석회유황합제와 제초제(대○군)를 살포하였고 올해와 비슷하게 잎끝이 타는 현상이 발생했다가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자 더 확대되지 않고 증상이 자연스럽게 감소했다고 함. 원인은 ①자두에 미등록된 농약의 사용과, ②살충제와 요소비료의 혼합 살포, ③자두에 미등록된 제초제의 살포 등에 따른 피해로 나무 하단 또는 신초 하단부 1∼2엽에서 엽록소가 파괴되어 피해를 받은 조직이 괴사한 것으로 추정됨.
피해가 상위엽이나 다른 곳으로 전이 되는 것으로 보이지는 않아, 앞으로 문제가 될 것 같지는 않으며, 현재 나무 상태를 보면 수관 내부가 복잡하고 착과량이 너무 많아 인위적인 적과 및 적절한 여름 전정이 필요함.
과원 토양검정 결과 토양 산도(pH)는 4.2로 낮아 알루미늄 등 중금속의 용출 및 토양미생물의 활성화 감소 등 양분의 불균형과 칼슘(1.6 cmol+/kg)의 부족에 의한 양분흡수에 장해를 받았을 것으로 판단됨.
금후 기술지도
여름철 수관 내부에 햇볕이 골고루 들어갈 수 있도록 여름전정을 해야 함.
과수원 내부에서는 제초제 사용을 금하고, 초생재배로 전환하여 토양 유실을 막고 토양입단화를 위하여 좋은 유기물을 토양검정을 통해 적정량 시용해야 함.
소과를 막고 우량과실 생산을 위하여 인위적으로 열매 솎기를 실시하여 착과 수를 제한해야 함.
자두나무가 낙엽이 진 후에 농업기술센터에서 토양검정을 한 후 비료사용처방서에서 추천하는 비료와 토양개량제를 시용하고, 특히 석회질비료를 시용하여 토양의 산도(pH) 교정 및 치환성 칼슘 함량을 증진할 것을 권장함.
병해충 방제를 위하여 농약을 살포 시에는 반드시 대상작물, 농약명, 주의사항 등의 표기사항을 면밀히 검토하여 구입하고, 살포하여야 함.
또한, 농약을 2종 이상 혼용하면 약해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가능한 혼용 살포를 금하고, 혼용을 할 경우에는 농약 제조회사에 혼용 가능 여부를 확인 후 살포하여야 함.
관련 사진
굵은 가지가 많고 수관 내부가 복잡
토양 간이 검정
잎 채취 후 48시간 약흔(엽록소 파괴)
약해 초기 잎(약흔)
잎 선단 고사(갈변, 부서짐 5.18)
조사 결과 내용 발표 및 종합 토의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