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농업자재
농업자재
영농기술
영농기술
농업경영
농업경영
연구정보
연구정보
생활농업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농사로소식
검색
화면크기
작게
보통
조금 크게
크게
가장 크게
초기화
전체메뉴
농사로
전체메뉴
농사로 활용가이드
전체메뉴 닫기
통합검색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통합검색
직원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검색 닫기
홈
영농기술
농업자재
영농기술
농업경영
연구정보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현장정보
농업환경
작목정보
현장정보
영농활용정보
축산정보
한국표준사료성분표
친환경농업
해외농업
수출농업
디지털농업
현장기술지원 사례
이달의 농업기술
SNS로 보는 농업 이모저모
현장 전문가 칼럼
현장기술지원 사례
현장기술 상담결과
농촌 소식/행사
농산물가격
관심작목설정
sns공유
열기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밴드
블로그
URL 복사
프린트
충청남도 부여군
논벼
적정한 침종기간을 거치지 않아 벼의 미발아 종자가 많아요
기술지원일
2021-05-25
작성자
고호철
조회수
2,442
현장기술지원 개요
일 자
2020년 5월
지 역
충청남도 부여군
출장자
고객지원담당관실 정동완 농촌지도관, 최용환·윤홍배·이동철 기술위원
현장조사 협조 : 부여군농업기술센터 기술보급과 이학운 과장 등 3명
영농현황
작물명 : 벼(품종 : 새일미, 동진찰)
재배현황 : 상자육묘 460상자(새일미 : 240, 동진찰 : 220)
농가의견
정부 보급종(국립종자원 충남지원산) 새일미, 동진찰을 파종한 농가에서 출아가 불량한 상자가 발생함. 벼 싹틔우기를 하지 않은 농가들 사이에서 생육이 지연되거나, 발아가 되지 않아 차후 이앙 일정에 차질이 우려되어 출아 불량의 정확한 원인을 알고자 함
현장 조사 결과
민원인에 따르면 세도농협(5월 15일)에서 온탕침지 소독 후 30℃에서 24시간 종자소독 및 침종한 것을 5월 18일에 파종하였으며, 품종별 파종량은 ‘새일미’ 240개 상자, ‘동진찰’ 220개 상자이었음.
육묘 모판상자는 동진찰의 경우 표준 파종량에 비해 많이 밀파를 하였고, 새일미는 파종량이 많았으나 미발아 종자가 많이 섞여 있어서 현장에서 육안으로 관찰 시 적절한 개체밀도를 유지하고 있었음.
동진찰벼 묘의 초장은 11∼12cm이었으며, 새일미의 묘초장은 11.5∼13cm이었음.
벼 파종 후 3일째인 5월 20일 부여군 규암면 최저기온은 8.7℃, 5월 21일은 9℃로 종자발아 최저 한계온도인 10℃ 이하를 경과하였음.
밀파, 저온, 고온, 다습 등 환경에서 발생하는 피시움(Pythium), 후사리움(Fusarium), 라이조푸스(Rhizopus) 병원균에 의한 피해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음.
현장에서 벼 육묘상배지의 산도(pH)와 전기전도도(EC)를 간이 검정한 결과 산도(pH)는 4.7∼4.9, 전기전도도(EC)는 0.64∼0.67dS/m로 적정한 상태이었음.
종합 검토의견
벼 종자발아는 30∼32℃의 온도를 유지시키고, 1∼2mm가 되도록 균일하게 싹을 틔운 후 파종을 해야 출아가 원만하게 이루어짐.
민원인은 벼 종자소독 후 싹틔우기를 위한 적정한 침종기간(최아 20℃ 5일간, 적산온도 100℃)을 거치지 않고, 노지에서 3일 정도 침종처리 후 곧바로 못자리에 치상한 결과 미발아 종자가 많이 발생하였음. 못자리 치상 당시 저온(8.7℃), 밀파, 새일미의 발아특성 등의 요인으로 정상적인 출아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추정됨.
파종시기에 10℃ 이하의 저온에 노출되면 전분 분해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종자가 정상적으로 발아하지 않고, 발아력이 급격히 저하함.
새일미의 발아특성은 25℃에서 치상했을 때 3일 후 발아율이 54.3%이었으며, 5일 후의 발아세는 98%이었음(농진청 시험성적).
금후 기술지도
벼 종자 발아의 적온은 30∼32℃이며, 싹틔우기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는 20℃ 정도의 비교적 낮은 온도의 물에 5일 동안 담가 종자에 충분히 물을 흡수시키고 어린 싹의 길이가 1∼2mm가 되도록 균일하게 싹을 틔워야 출아 시 발아 불량을 예방할 수 있음.
못자리 상태에서 주·야간 온도 차이가 심하므로 물을 깊이 대 주고, 낮에 고온에 대비해서 통풍이 잘 되도록 재배관리에 유의해 주기 바람.
본답에서의 원활한 벼 생육 및 미질 향상 도모를 위하여 벼 이앙 전 농업기술센터에 시비량 및 유기물 시용방법 등을 문의하여 실천하길 권장함.
관련 사진
관계기관 협의(농진청, 종자원, 센터)
논 못자리 치상
새일미 묘초장 측정
현지육묘 상자 토양 산도(pH) 간이측정
못자리 벼 생육 및 병해충 조사
못자리 물관리 및 온도관리 설명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