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농업자재
농업자재
영농기술
영농기술
농업경영
농업경영
연구정보
연구정보
생활농업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농사로소식
검색
화면크기
작게
보통
조금 크게
크게
가장 크게
초기화
전체메뉴
농사로
전체메뉴
농사로 활용가이드
전체메뉴 닫기
통합검색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통합검색
직원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검색 닫기
홈
영농기술
농업자재
영농기술
농업경영
연구정보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현장정보
농업환경
작목정보
현장정보
영농활용정보
축산정보
한국표준사료성분표
친환경농업
해외농업
수출농업
디지털농업
현장기술지원 사례
이달의 농업기술
SNS로 보는 농업 이모저모
현장 전문가 칼럼
현장기술지원 사례
현장기술 상담결과
농촌 소식/행사
농산물가격
관심작목설정
sns공유
열기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밴드
블로그
URL 복사
프린트
전라북도 완주군
딸기
시설재배 딸기의 신초와 꽃받침에서 팁번 등 생리장해를 받았어요
기술지원일
2019-12-11
작성자
고호철
조회수
2,014
현장기술지원 개요
일 자
2019. 12.
장 소
전라북도 완주군
출장자
고객지원담당관실 이상준 서기관 강호성·이상범·이동철·김종진 기술위원
현장협조 : 농촌지도사 이경희 등 2명(완주군농업기술센터)
영농현황
작 물 명 : 딸기(품종 : 설향)
재배규모 : 3,300㎡
정 식 일 : 2018. 9. 15.∼16.
재배방식 : 비닐하우스 토양 관비재배
농가의견
촉성딸기 토양 관비재배 포장에서 정식 후 생육 억제가 계속되어 생육이 부진하여 향후 양분 공급 및 재배관리 요령 등 지속적인 생산 기술에 대한 컨설팅 지원을 요청함
현지 조사결과
마사토에서 육묘한 ‘설향’ 모종을 구입하여 9. 15.∼16.경 비닐 피복한 하우스에 정식하였으며, 정식 후 15일경 백흑비닐을 멀칭하였음.
밑거름은 10a당 왕겨 2톤과 유안비료 20kg을 여름 휴경기 동안 뿌리고 30cm 깊이로 경운 로터리 하였으며, 화학비료는 질소, 인산, 칼리 비료를 시비처방서에 의거 시용하였음
물 관리는 정식 후부터 2일에 1회 점적관수로 5분간 관수하였으며 웃거름은 유안, 일인산칼리, 황산칼리를 2일 간격 시용하였음
온도관리는 수막시설로 주간 24∼28℃ 야간 5.5∼10℃로 관리하였음
토양 측정결과 EC는 0.9∼1.1dS/m, ㏗는 6.2∼6.4, 지온은 16.3∼18.6℃, 토양수분함량은 22∼26%정도이었음
생육상황은 주당 본엽 6∼7매, 잎은 크고 잎자루는 길며 직립하였고 정화방 착색기 및 일부 액화방이 출현되고 있어 전반적인 생육은 양호한 편임
병해충 조사결과 팁번이 간혹 관찰되었으며 기타 특이한 증상은 보이지 않았음
종합 검토의견
시설 딸기의 적정 토양 전기전도도(EC)는 1.2dS/m이하, 토양산도(㏗)는 6.0∼6.5, 질산태질소는 50∼150㎎/kg, 미사질양토의 용적수분함량은 24.9∼30.5% 정도임
재배포장의 토양의 전기전도도(EC), 용적수분함량, 토양산도(㏗) 등 토양환경은 적정범위 이내이었음
딸기의 생육은 대체로 양호한 편으로 5번 동에서 영양이 다소 높은 편이며 새잎과 꽃받침에서 팁번 등의 생리장해 현상이 관찰되었음
금후 기술지도
딸기 엽면시비는 겨울철 온도가 낮고 햇빛이 약한 시기에 생육 촉진 및 균형생육을 도모하기 위하여 영양제(요소 0.1%액+일인산카리 0.1%액)를 3∼5일 간격 살포하며, 영양생장으로의 전환시에는 요소비료 0.15%액을 3∼4일 간격 생육이 회복될 때까지 살포하고, 생식 생장으로 전환 시에는 일인산칼륨 0.15%액을 5∼6일 간격 2회 정도 살포하면 효과적임
살포 시기는 영양제, 약액 등이 오랫동안 잎에 머무를 수 있는 시간대(오전 8시 전후)에 흘러내리지 않을 정도로 잎에 살포하되 중복살포는 금하며, 칼슘제 엽면시비(살포)는 생육을 억제하고, 석회수 토양 관주는 인산 흡수를 방해하므로 작물이 생육 중에는 가급적 살포 및 관주하지 않도록 함
물리성 개선을 위해 왕겨 시용에 따른 미생물 먹이로 유안비료를 10a당 5∼10kg/월 작기 종료 시까지 추가 시용하여 양분 경합이 일어나지 않도록 함
현재 엽병이 도장하여 생육을 강하게 하기 위해서는 초저녁(일몰부터 4시간까지) 온도(전류온도)를 야간온도보다 4℃정도 높게 관리하되 생육이 회복되어 개화결실이 과다하면 초저녁온도를 야간온도보다 6∼8℃ 높게 관리하고 24시간 평균온도를 14℃정도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함
추비는 월 단위로 10a당 질소 3∼4kg, 인산 0.5∼1.0kg, 칼리 1∼2kg을 분시하되 토양산도가 6.2∼6.4범위이므로 생리적 산성비료(유안, 황산칼리 등)를 시용하며, 2개월 단위로 토양분석을 실시하여 부족한 성분만 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설향 품종의 착과 과실수는 정화방 7∼9개, 2화방 5∼7개, 3화방 3∼5개정도이며 세력에 따라 착과수를 달리하며, 적화방법은 첫 과실이 엄지손톱만할 때 개화되는 꽃과 꽃봉오리의 화경까지 모두 제거하되 세력에 따라 적이 조절하여야 함
딸기의 열매가 착과되면 양분 전류경합으로 뿌리가 손상을 받기 시작하여 팁번 등의 생리장해가 발생하므로 철저한 적뢰, 적화 및 주기적인 영양제 살포, 적정 온습도 관리 등으로 사전 예방
딸기의 팁번은 칼슘결핍에 의한 생리장해로 칼슘이 결핍되는 원인은 흡수와 전류 억제, 급격한 생장으로 발생되며, 대책은 토양이 건조 및 다습하지 않도록 관리하고 토양의 칼슘농도를 높이고, 암모니아태질소, 칼륨 농도를 낮추며, 송풍 등 하우스 내 습도 조절로 증산을 촉진하고, 고온기에는 차광 등 극단적인 기온 상승과 급격한 생장이 되지 않도록 함
관련 사진
재배포장 전경
생육상황
포장 관찰
기술지원 전경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