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기술지원 개요
- 일 시 : 2017. 9. 22(금)
- 장 소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용성리 52-1
- 출 장 자 : 고객지원담당관실 김쌍수지도관 박종욱·곽한강·한만종 기술위원
- - 협조 : 음성군농업기술센터 지방농촌지도사 박희규 외 1명
영농현황
- 농 가 명 : 음성군 삼성면 금일로 1015번길 44-4 이○○ 농가
- 작 물 명 : 벼(밀키퀸)
- 피해면적 : 2,975㎡ 중 약 495㎡
농가의견
- 출수기 무렵 폭우로 관개 수로를 통해 공장 폐수가 유입되었으며, 폐수가 유입된 지역에 벼가 도복이 되어 잎 집이 급하게 노화되면서 점차 고사되는 피해가 발생하여 정확한 피해 원인을 밝혀 주기 바람
현장조사 결과
- 민원인의 피해논은 3필지로 공장지역 앞으로 연결된 수로를 이용하여 관개를 하는 논이었으며, 논둑 밑으로 연결된 플라스틱 관을 이용하여 물을 대고 있었음
- 상위 한 필지는 전체가 밀키퀸을 재배하고 있었고 가운데 필지는 밀키퀸과 삼광벼가 한 필지 내 나누어 식재되어 있었으며, 아래 필지는 삼광벼만 재배하고 있었음
- 피해가 모두 물꼬 부근 지역에서 발생하였는데 피해지역이 상위에 있는 필지가 넓고 아래로 갈수록 피해면적이 적었으며, 민원인 논 보다 상위에 있는 인근 농가의 논도 물꼬 쪽에 피해가 발생하였음
- 피해증상은 아랫 잎과 잎 집이 완전히 하얗게 고사된 상태였고, 상위의 잎은 갈색 반점이 생기면서 황갈색으로 변하였으며, 잎의 중륵이 검게 변해 있었음
- 물꼬 쪽 피해가 심한 지역은 포기 전체가 완전히 고사되었으나 대부분 줄기는 갈색으로 변해 있었으나 살아 있었으며, 뿌리도 살아 있는 상태었음
- 밀키퀸은 장간종으로 대부분 도복이 된 상태였으며, 도복이 된 지역에도 물꼬 쪽 폐수가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는 지역에만 피해가 발생하였음
- 맨 아래 필지는 삼광벼만 재배되고 있었는데 도복이 되지 않았고 밀키퀸 재배 필지 보다 피해가 경미했으며, 가운데 필지의 밀키퀸과 삼광이 함께 심겨진 지역도 삼광벼는 피해가 경미하였음
- 피해증상이 벼의 줄기와 뿌리가 살아 있는 것으로 보아 유입된 폐수에서 가스가 발생하여 나타난 것으로 의심은 되나 피해를 받은 벼 잎과 줄기를 정상인 벼의 잎과 줄기를 채취하여 농업기술실용화재단에 분석을 의뢰(2017. 9. 25)한 결과 피해가 발생된 식물체에서 황(S) 함량은 다소 많았음
표1. 식물체 분석 결과(농업기술실용화재단, 2017. 10. 12)
구 분 |
성분(%) |
Cl |
S |
정상지 |
0.61 |
0.13 |
피해지 |
0.63 |
0.18 |
종합 검토의견
- 현지 조사결과 피해증상 및 발생 양상으로 보아 출수기 전후에 피해를 받은 것으로 추정되며, 벼 잎의 중륵이 검게 변한 것으로 볼 때 이 시기에 특정 물질에 의해 양수분 이동이 원활하지 못해 발생된 것으로 추정 됨
- 따라서 벼 잎이 갈변 고사되는 원인은 오수나 폐수 중 특정 물질 유입에 의한 가스피해로 의심은 되나 식물체 분석 결과 정상 논과 피해 논과의 성분 차이가 크지 않고 특이한 사항이 없어 현 시점에서 정확한 피해 원인을 규명하기 어려 움
금후 기술지도 방향
- 피해가 인근지역으로 번질 것으로 우려되니 갈개를 설치하여 별도로 물 관리하기 바라며,
- 강우 시 무단 방류 오·폐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물꼬 관리에 유의하기 바람
관련 사진
관련사진
 |
 |
피해논 전경
|
물꼬쪽 우심지역 피해증상
|
 |
 |
벼잎의 피해 증상
|
삼공과 밀키퀸 재배포장
|
 |
 |
피해상황 비교(좌: 삼광, 우: 밀키퀸)
|
폐수 유입 논 중 지면이 높은 지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