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농업자재
농업자재
영농기술
영농기술
농업경영
농업경영
연구정보
연구정보
생활농업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농사로소식
검색
화면크기
작게
보통
조금 크게
크게
가장 크게
초기화
전체메뉴
농사로
전체메뉴
농사로 활용가이드
전체메뉴 닫기
통합검색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통합검색
직원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검색 닫기
홈
영농기술
농업자재
영농기술
농업경영
연구정보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현장정보
농업환경
작목정보
현장정보
영농활용정보
축산정보
한국표준사료성분표
친환경농업
해외농업
수출농업
디지털농업
현장기술지원 사례
이달의 농업기술
SNS로 보는 농업 이모저모
현장 전문가 칼럼
현장기술지원 사례
현장기술 상담결과
농촌 소식/행사
농산물가격
관심작목설정
sns공유
열기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밴드
블로그
URL 복사
프린트
경기도 여주시
논벼
농약 약해로 인해 벼가 고사해요
기술지원일
2017-09-19
작성자
이종남
조회수
1,839
현장기술지원 개요
일 시 : 2017. 9. 19.(화)
장 소 : 경기도 여주시 삼교동 423
출 장 자 : 고객지원담당관실 김쌍수 지도관, 박종욱·김종진·한만종· 이주영 기술위원
- 협조 : 여주시농업기술센터 작물환경팀장 안치중 외 2명
영농현황
농 가 명 : 경기도 여주시 삼교동 박○○
작 물 명 : 벼(추청)
피해면적 : 5,729㎡
농가의견
잘 자라던 벼가 서쪽 가장자리부터 고사되는 피해가 발생되어 피해 원인이 인근 밭에서 제초제를 뿌려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의심을 하며, 정확한 피해 원인을 규명을 위한 현장 기술지원 요청
현장조사 결과
피해 논은 도로와 야산, 고구마 밭이 3면으로 둘러싸인 논으로 강우 시 빗물이 논으로 유입되는 논이었음
피해면적은 약 500㎡ 정도 되며, 초기 발생지점이라고 주장하는 부분은 논의 서쪽 가장자리 약 5m 정도가 첫 번째 줄로부터 피해가 발생하여 점차 논 가운데로 번지고 있다고 함
초기에 피해가 발생했다는 부분은 포기 전체가 완전히 고사되어 주저앉은 상태이며, 점차 주변으로 고사되고 있었으나 논둑의 잡초에는 피해가 발견되지 않았음
피해증상은 벼 잎 끝부터 하얗게 마르면서 벼 포기 전체가 말라 죽고 있었으며, 강우 시 물이 유입되는 길목을 따라 피해가 번져나가고 있었음
고사된 지역을 제외하고는 벼 작황이 비교적 양호했으며, 토양 ㏗가 6.6, EC 0.8로 문제가 되지 않았고 병해충에 대한 피해증상도 발견되지 않았음
피해증상이 산림용 제초제 피해증상과 유사하고 누군가가 제초제를 살포한 것으로 의심이 되어 피해 지점의 토양과 식물체를 채취하여 농업기술실용화재단에 분석 의뢰(2017.9.19)한 결과 논토양에서는 핵사지논 성분이 0.05mg/kg(검출한계 0.01mg/kg)검출되었으며, 식물체에서는 핵사지논 성분이 0.18mg/kg(검출한계 0.02mg/kg) 검출되었음
종합 검토의견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의 잔류농약 분석결과 현장에서 채취한 토양 및 식물체 시료에서 산림용 제초제인 핵사지논 성분이 논토양에서는 0.05mg/kg(검출한계 0.01mg/kg)검출되었으며, 식물체에서는 핵사지논 성분이 0.18mg/kg(검출한계 0.02mg/kg)이 검출되어 벼가 고사하는 원인은 핵사지논의 약해로 판단됨
※ 핵사지논 (상표:솔솔)은 트리아진계 제초제로 식물체의 뿌리와 경엽 으로 흡수되어 상부의 새로 나온 조직으로 이행, 집적하고 광합성을 억제하여 식물체를 고사시키는 비 선택성 제초제로 침엽수 조림지의 1년생 및 다 년생 초본류 및 잡관목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제초제로 토양의 잔류기간은 3~12개월임 (최신잡초방제학원론 276쪽)
금후 기술지도 방향
솔솔입제는 농경지, 저수지, 농업용수로 및 그 주변에 절대로 사용을 금하도록 조치
검출된 농약성분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관수/배수를 반복하여 빠른 시일 내에 제거될 수 있도록 지도 필요(관수/배수된 물은 다른 농작물 재배지 또는 예정지에 유입되지 않게 해야 함)
금년에 피해를 입은 논은 내년에 핵사지논의 토양잔류량 검사를 한 후 벼를 재배토록 지도
관련 사진
관련사진
피해논 전경
물꼬부근 피해
초기 피해지역
논 토양 조사
분석의뢰 시료 채취
피해상황 청취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