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농업자재
농업자재
영농기술
영농기술
농업경영
농업경영
연구정보
연구정보
생활농업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농사로소식
검색
화면크기
작게
보통
조금 크게
크게
가장 크게
초기화
전체메뉴
농사로
전체메뉴
농사로 활용가이드
전체메뉴 닫기
통합검색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통합검색
직원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검색 닫기
홈
영농기술
농업자재
영농기술
농업경영
연구정보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현장정보
농업환경
작목정보
현장정보
영농활용정보
축산정보
한국표준사료성분표
친환경농업
해외농업
수출농업
디지털농업
현장기술지원 사례
이달의 농업기술
SNS로 보는 농업 이모저모
현장 전문가 칼럼
현장기술지원 사례
현장기술 상담결과
농촌 소식/행사
농산물가격
관심작목설정
sns공유
열기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밴드
블로그
URL 복사
프린트
경상북도 예천군
논벼
출수기에 벼가 세균벼알마름병균에 감염되었어요
기술지원일
2017-09-15
작성자
이종남
조회수
1,871
현장기술지원 개요
일 시 : 2017. 9. 15(금)
장 소 : 경상북도 예천군 풍양면 하풀이 312
출 장 자 : 고객지원담당관실 김쌍수 지도관, 박종욱·예완해·김종진 기술위원
- 현장조사협조 : 예천군농업기술센터 기술보급과장 변성용 외 1명
영농현황
농 가 명 : 경북 예천군 풍양면 하풍길 129-37 진○○
작 물 명 : 벼(일품)
피해상자 : 약 5㏊
농가의견
지난 7월과 8월에 2차에 걸쳐 무인헬기로 병해충 방제를 하였는데 벼 이삭이 마르는 피해가 발생하여 무인헬기로 인한 피해인지 다른 원인에 의한 피해인지를 밝혀주기 바람
현장조사 결과
피해 논은 도시 곡간지 야산과 인접한 토성이 보통논이며, 일품벼를 5월 1일에 모내기한 논으로 피해가 발생한 이외 지역은 작황이 매우 양호하였음
민원인은 병해충 방제를 위하여 지난 7월 28일과 8월 23일에 “헬리건액상수화제”+“바로확유현탁제”+“나노규산”을 혼합하여 무인헬기로 공동방제를 하였다고 함
피해증상은 벼 알이 대부분 갈색으로 변하고 등숙이 안된 상태이며, 피해가 심한 이삭은 벼 알이 회갈색으로 변하고, 등숙이 되지 않고 꼿꼿이 서있는 것으로 보아 전형적인 세균벼알마름병 피해 증상이었음
민원인은 출수기에 헬기 방제로 인한 약해로 의심을 하나 피해 논 주위에 같은 날 공동방제를 한 일부 논에서는 피해가 경미하게 나타난 논도 있었으나 대부분의 논에는 피해를 발견할 수 없었으며, 들 전체적으로 작황이 매우 양호한 들판이었음
종합 검토의견
벼 알이 영글지 못하고 쭉정이가 되는 원인은 출수기에 지나친 고온, 계속되는 강우 등 자연적 요인이나 도열병균, 깨씨무늬병균, 붉은곰팡이병균, 세균벼알마름병균의 감염 등이 있음
민원이의 포장에 주된 피해 원인은 피해증상으로 보아 출수기 세균벼알마름병균(Burkholderia glumae)의 감염에 기인한 피해로 판단됨
금후 기술지도 방향
종자전염 되는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에 건전한 종자의 채종 및 선택, 염수선(비중 1.18), 온탕침법 (55℃에 60분간 처리) 및 건열처리(40℃에서 2일)권장
차 년도의 세균 벼 알마름병 방제를 위하여 수확 후 이 병립 , 벼 그루, 왕겨 및 포장주변의 잡초 등을 소각하여 전염원을 제거하기 바람
약제방제는 본답초기에 적용 약제를 살포하고, 출수기에는 목도열병과 동시에 예방적으로 방제하는 것도 효과 적임
관련 사진
관련사진
피해논 전경
피해증상
피해 이삭
농가의견 청취
피해상황 조사
조사결과 설명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