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농업자재
농업자재
영농기술
영농기술
농업경영
농업경영
연구정보
연구정보
생활농업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농사로소식
검색
화면크기
작게
보통
조금 크게
크게
가장 크게
초기화
전체메뉴
농사로
전체메뉴
농사로 활용가이드
전체메뉴 닫기
통합검색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통합검색
직원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검색 닫기
홈
영농기술
농업자재
영농기술
농업경영
연구정보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현장정보
농업환경
작목정보
현장정보
영농활용정보
축산정보
한국표준사료성분표
친환경농업
해외농업
수출농업
디지털농업
현장기술지원 사례
이달의 농업기술
SNS로 보는 농업 이모저모
현장 전문가 칼럼
현장기술지원 사례
현장기술 상담결과
농촌 소식/행사
농산물가격
관심작목설정
sns공유
열기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밴드
블로그
URL 복사
프린트
경상남도 합천군
콩
콩 밭 상위엽과 생장점이 위축하고 생장이 멈추었어요
기술지원일
2017-08-03
작성자
이종남
조회수
2,244
현장기술지원 개요
일 시 : 2017. 8. 3.
장 소 : 경남 합천군 삼가면 용흥리 657번지
출 장 자 : 고객지원담당관실 이종남 연구사, 유용환·이주영·예완해·김종진 기술위원
- 현장조사협조 : 합천군농업기술센터 이재숙 팀장
영농현황
농 가 명 : 경남 합천군 삼가면 용흥길 245-49, 이○영
작 물 명 : 콩(검정콩 재래종)
재배면적 : 764㎡
정 식 일 : 2017. 6월 상순
재배방식 : 폭 100cm이랑에 2조 점파
농가의견
소나무 재선충 방제를 위하여 항공방제(3회) 후부터 콩밭 전체의 상위엽과 생장점에 위축현상이 발생하여 약제에 의한 피해인지 정확한 원인규명을 요청
현장조사 결과
소나무 재선충 방제를 위한 항공방제는 3회(2017. 5.29, 6.12, 6.30)에 걸쳐 칼립소(성분명 : 티아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 농약을 살포하였다고 함
현재 콩의 키는 80cm 정도로 생육상태는 비교적 양호한 편이었음
콩밭 전체가 상위 엽과 생장점에 피해를 받았는데 피해증상은 상위엽의 가장자리가 안쪽으로 말리고 생장점이 위축되어 생장이 멈춘상태로 이러한 증상은 7월 중순경부터 나타났다고 함
피해를 받은 콩이 바이러스병 증상과 유사한 점도 있어 잎을 채취하여 경남농업기술원에서 콩바이러스병 감염여부를 검정하였으나 바이러스병은 아니었다고 판명함
콩 밭 주변에 자라고 있는 칡덩굴, 환삼덩굴, 야생콩, 망초, 명아주 등에서도 이와 유사한 증상을 볼 수 있었음
콩 잎의 피해증상이 호르몬형 이행성 제초제 특유의 기형을 나타내고 있어, 의심 제초제인 Dicamba와 항공방제 약제인 Thiacloprid 성분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농업기술실용화재단, 2017. 8. 22.), Dicamba 성분이 0.06mg/kg(검출한계 0.02mg/kg) 검출되었음
종합 검토의견
피해를 받은 콩 식물체에서 산림 항공방제에 사용한 Thiacloprid 성분이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항공방제 피해는 아닌 것으로 판단됨
피해양상이나 피해를 받은 식물체에서 Dicamba 성분이 0.06mg/kg 검출된 것으로 볼 때 콩밭 주변(묘소, 밭, 논둑 등)에 살포된 Dicamba(약제명 : 반벨) 성분이 물로 유입되어 발생한 피해로 판단됨
금후 기술지도 방향
Dicamba(호르몬형 이행성 제초제)는 경작지 주변의 논, 밭의 둑이나 산지에 절대로 살포해서는 안됨
피해가 발생된 콩의 생육과정을 정밀 관찰하여 추후 기술지도 자료로 활용
관련 사진
피해를 입은 콩 재배 포장 전경
콩잎의 피해증상
콩 밭 주변의 잡초에도 유사한 증상
현장에서 피해원인 관련 상담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