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기술지원 개요
- 일 시 : 2017. 5. 24.
- 장 소 :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도두리
- 출 장 자 : 고객지원담당관실 김쌍수 지도관, 박종욱 기술위원 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김충국 연구관
- - 협 조 : 평택시농업기술센터 지방농촌지도사 원정원 외 1명
- 입 회 자
- - 평택시청 : 한미협력과장 최윤수 등 5명
- - 외 교 부 : 평택사무소장 엄원재 등 1명
- - 미군부대 : 관계자 2명
- - 농 업 인 : 한승철 등 2명
영농현황
- 농 가 명 : 평택시 팽성읍 도두리 한○철(010-5222-****)
- 작 물 명 : 벼(추청)
- 피해지역 : 약 4㏊
농가의견
- 미군부대에서 지난해 9월 가로등을 설치 한 후부터 주변지역 논에 벼가 익지 않는 등 피해가 발생하여 가로등의 조도를 측정하여 벼 생육에 영향을 주는지 여부를 밝혀 주기를 원함
현장조사 결과
- 민원인의 논 주변에는 미군부대가 위치하며, 군부대 경계지역을 따라 약 20m 간격으로 일정하게 야간 가로등이 설치되어 있음..
- 군부대 경계지역으로부터 배수로와 관계수로 등이 설치되어 있고 논은 가로등으로부터 약 5∼10m 정도 떨어져 있음
- 날이 완전히 어두워진 21:00경에, 가로등 조명이 민원인 논에 가장 많이 영향을 줄 2곳과 가로등 밝기가 평균이 되는 지역 2곳의 조도를 측정함.
야간 조도측정 결과
- 벼 재배시작 지점(초록색 표시)
- - 도두리 57-1번지 : 가로등부터 약 13m 지점
- - 도두리 39-12번지 : 가로등부터 약 10m 지점
- - 도두리 39-18번지 : 가로등부터 약 12m 지점
- - 도두리 12-140번지 : 가로등부터 약 6m 지점
야간 조도측정 결과
거리(m) |
측정지역 조도값(lux) |
도두리57-1 |
도두리39-12 |
도두리39-18 |
도두리12-140 |
2 |
- |
23.2 |
69.6 |
- |
3 |
47.5 |
29.3 |
62.9 |
47.5 |
4 |
- |
27.0 |
54.1 |
49.5 |
5 |
35.3 |
25.1 |
44.5 |
41.4 |
6 |
30.8 |
24.1 |
40.0 |
35.3 |
7 |
23.2 |
20.0 |
32.0 |
26.6 |
8 |
16.3 |
15.3 |
24.5 |
22.0 |
9 |
- |
12.0 |
18.9 |
21.0 |
10 |
10.5 |
10.6 |
15.6 |
15.0 |
11 |
10.2 |
7.8 |
11.6 |
12.3 |
12 |
7.2 |
7.2 |
10.4 |
- |
13 |
6.6 |
5.9 |
9.5 |
- |
14 |
6.2 |
5.5 |
7.6 |
- |
15 |
5.0 |
4.8 |
7.4 |
- |
16 |
4.5 |
4.4 |
6.5 |
- |
17 |
4.5 |
3.2 |
6.8 |
- |
18 |
3.8 |
- |
5.8 |
- |
19 |
- |
- |
5.7 |
- |
20 |
- |
- |
4.6 |
- |
21 |
- |
- |
4.4 |
- |
22 |
- |
- |
3.2 |
- |
※ 거리는 미군부대 내 가로등 기준 임
종합 검토의견
- 민원인들의 논 일정 부분은 벼 생육에 피해를 주는 조도 5 Lux 이상 면적에 포함되어 있어 앞으로 벼 생육단계별로 피해가 우려됨
- 특히 벼는 이삭 패기 전 7∼40일경(6월 하순∼8월 중순)에 피해가 크므로 가로등 조명을 꺼거나 밝기를 낮추면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으며, 가로등의 불빛 방향을 작물(벼)의 반대 방향으로 조절하거나, 가로등의 각도조절 및 불빛 가림막(갓)을 설치하여 조명을 최소화 하는 것도 효과적임
기술지도방향 (농가실천사항)
- 중만생종 품종보다는 조생종의 벼 품종을 선택하거나, 가급적 빛에 둔감한 품종을 재배하여 피해를 최소화 하고
- 가로등 가까운 수로 주변의 밭작물은 가능하다면 고추, 토마토, 강낭콩, 잎들깨 등과 같이 피해가 적은 작물을 선택 재배토록 지도
참 고
야간조명에 따른 벼 생태형별 출수지연 일수
야간조명에 따른 벼 생태형별 출수지연 일수
생태형 |
품종명 |
야간조도별 출수지연 일수(일) |
5∼10룩스 |
10∼20룩스 |
20∼30룩스 |
30∼50룩스 |
50∼70룩스 |
조생종 |
오대벼 |
1 |
3 |
4 |
5 |
5 |
중생종 |
화성벼 |
2 |
6 |
10 |
16 |
22 |
광안벼 |
4 |
13 |
23 |
29 |
29 |
안산벼 |
2 |
3 |
5 |
8 |
8 |
중만생종 |
일품벼 |
6 |
11 |
15 |
19 |
32 |
대안벼 |
2 |
5 |
11 |
17 |
19 |
추청벼 |
0 |
4 |
9 |
16 |
21 |
주 1) 야간조도 2.0 룩스 이하 대비 임.
주 2) 조명기간 및 시간 : 이앙 후 부터 성숙기 까지, 일몰 후 부터 일출 전 까지 매일 조명
야간조명에 따른 벼 품종별 출수반응 정도
야간조명에 따른 벼 품종별 출수반응 정도
생태형 |
출 수 반 응 |
민감 |
중간 |
둔감 |
극조생종 |
- |
- |
오대벼, 소백벼, 흑진주벼 |
조생종 |
- |
그루벼, 진미벼 |
대진벼 |
중생종 |
화성벼, 광안벼 |
안산벼 |
- |
중만생종 |
일품벼, 대안벼, 추청벼 |
- |
- |
주 1) 야간조도 30~50 룩스 일 경우 2.0 룩스 이하 대비 10일 이상 지연은 민감, 6~9일 지연은 중간, 5일 이하 지연은 둔감으로 구분
주 2) 조명기간 및 시간 : 이앙 후 부터 성숙기 까지, 일몰 후 부터 일출 전 까지 매일 조명
야간조명에 따른 벼 품종별 수량
(단위 : kg/10a)
품 종 명 |
2.0 룩스 이하 |
2.1~4.0 |
4.1~6.0 |
6.1~10.0 |
10.1~20.0 |
흑진주벼 |
381(100) |
366(96) |
358(94) |
350(92) |
343(90) |
화 성 벼 |
526(100) |
504(96) |
483(92) |
455(87) |
433(82) |
일 품 벼 |
647(100) |
618(96) |
601(93) |
544(84) |
513(79) |
주 1) ( )는 백분율 임
주 2) 조명기간 및 시간 : 이앙 후 부터 성숙기 까지, 일몰 후 부터 일출 전 까지 매일 조명
관련 사진
 |
 |
피해지역 전경
|
피해지역 전경(야간)
|
 |
 |
조도 측정기
|
조도 측정 장면
|
 |
 |
조도 측정 지역 사전 답사
|
조사결과 설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