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농업자재
농업자재
영농기술
영농기술
농업경영
농업경영
연구정보
연구정보
생활농업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농사로소식
검색
화면크기
작게
보통
조금 크게
크게
가장 크게
초기화
전체메뉴
농사로
전체메뉴
농사로 활용가이드
전체메뉴 닫기
통합검색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통합검색
직원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검색 닫기
홈
영농기술
농업자재
영농기술
농업경영
연구정보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현장정보
농업환경
작목정보
현장정보
영농활용정보
축산정보
한국표준사료성분표
친환경농업
해외농업
수출농업
디지털농업
현장기술지원 사례
이달의 농업기술
SNS로 보는 농업 이모저모
현장 전문가 칼럼
현장기술지원 사례
현장기술 상담결과
농촌 소식/행사
농산물가격
관심작목설정
sns공유
열기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밴드
블로그
URL 복사
프린트
강원도 평창군
딸기
여름딸기의 신엽이 황화하고 고사해요
기술지원일
2017-04-24
작성자
이종남
조회수
2,126
현장기술지원 개요
일 시 : 2017. 4. 24.
장 소 : 강원 평창군 용평면
출 장 자 : 고객지원담당관실 이종남 연구사
영농현황
농 가 명 : 강원 평창군 용평면 일대 용평딸기영농조합법인 9농가
작 물 명 : 딸기(‘무하’)
재배면적 : 약 38,000㎡
재배방식 : 대형 연동하우스 고설식 수경재배
의뢰인 의견
신품종 여름딸기“무하”품종을 처음 정식하였는데 정식 30일 후 신엽이 타는 증상과 노란잎이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원인 규명을 원함
현장조사 결과
용평딸기영농조합법인은 9개 농가에서 ‘무하’품종과 그 외 외국종 2품종을 3월 말에 정식하여 고설식 수경재배로 관리하고 있음
현재 농가는 정식 후 지금까지 복합비료 또는 양액재배용 단용비료 등 2가지를 사용하여 관리하고 있음
양액재배용 단용비료 사용농가는 미래덴한, 전남농업기술원 등 3개 업체에서 양액처방을 받아 사용하고 있었음
농가마다 서로 다른 재배법으로 재배하고 있지만 동일하게 잎이 타는 증상이 있었는데 이는
하우스내 온도가 30℃이상으로 높을 때 봄철의 강한 자외선으로 잎에 피해를 준 것으로 보임
또한 잎이 노란현상은 육묘시기에 일시적인 저온으로 철이 흡수되지 못하여 나타난 현상임
종합 검토의견
1화방은 대부분 제거하여 영양생장을 좋게 하고 꽃대가 굵고(직경 2mm 이상) 튼튼한 것은 착과를 해도 됨
액아는 제거하지 말고 그러나 아주 미세한 액아는 제거하고, 하엽은 정식 30일 후 제거할 것
잎이 노란증상과 타는 증상은 일시적인 현상으로 앞으로 크게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보임
전반적으로 하우스내 온도가 높으므로 딸기가 좋아하는 광합성 온도범위인 주간 25℃ 이하, 야간 10℃ 이상을 맞추어 주어야 됨
현재 양액급액량은 배액율 50%를 유지해야 하며, 적정 급액 EC는 0.8 범위, 이후 과일이 착과 및 비대기에는 1.0정도가 되어야 됨
복합비료 사용농가는 정식 30일 후에는 급액처방(화란PBG액)에 의해 단용비료로 바꾸어 급액하기 바람
* ‘무하’품종은 화란PBG액으로 육성한 품종임
일부농가에서 시드는 포기가 있는데 진단결과 시들음병이므로 즉시 뽑아 제거하고 또한 주위 상토를 많이 파서 먼 곳에 버려야 됨
수입묘에서 세균성모무늬병으로 의심되는 개체를 일부 볼 수 있었는데 계속적인 관찰이 필요하고 철저한 방제를 요함
모주는 6월까지 런너를 받지 않아도 되므로 발생 런너는 제거하고 화방은 제거하지 말고 수확을 해도 됨
기술지도방향 (농가실천사항)
조기 대량증식을 위한 모주 관리방법(육묘기술)
첫 수확 후 영양 및 생식생장 관리방법(양액급액 방법)
장마기 또는 고온기의 병해충 관리방법(농약사용 방법)
수확기간(6-12월)의 수확 후 관리방법(예냉기술)
관련 사진
용평면딸기 작목반 생육 전경
양액비료 컨설팅
잎이 탄 증상
잎이 노란증상
저온재배로 짧은 화방
세균성 모무늬병 의심 증상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