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농업자재
농업자재
영농기술
영농기술
농업경영
농업경영
연구정보
연구정보
생활농업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농사로소식
검색
화면크기
작게
보통
조금 크게
크게
가장 크게
초기화
전체메뉴
농사로
전체메뉴
농사로 활용가이드
전체메뉴 닫기
통합검색
농사로 농업기술포탈
통합검색
직원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검색 닫기
홈
영농기술
농업자재
영농기술
농업경영
연구정보
생활농업
농(農)영상
농사로소식
현장정보
농업환경
작목정보
현장정보
영농활용정보
축산정보
한국표준사료성분표
친환경농업
해외농업
수출농업
디지털농업
현장기술지원 사례
이달의 농업기술
SNS로 보는 농업 이모저모
현장 전문가 칼럼
현장기술지원 사례
현장기술 상담결과
농촌 소식/행사
농산물가격
관심작목설정
sns공유
열기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밴드
블로그
URL 복사
프린트
전라북도 무주군
딸기
시클라멘 먼지 응애에 의해 딸기의 생육이 불량해요
기술지원일
2017-05-02
작성자
이종남
조회수
2,467
현장기술지원 개요
일 시 : 2017. 5. 2.
장 소 : 전북 무주군 무풍면 일대
출 장 자 : 고객지원담당관실 이종남 연구사, 김쌍수 지도관
영농현황
농 가 명 : 전북 무주군 무풍면 일대 반딧불영농조합법인 10농가
작 물 명 : 딸기(‘장하’)
재배면적 : 약 40,000㎡(피해면적 1,500㎡)
재배방식 : 대형 연동하우스 고설식 수경재배
의뢰인 의견
강원도에서 여름딸기 “장하”품종을 구입하여 정식하였는데 정식 후 빨간 잎과 런너가 나오고 꽃대도 꾸부러지게 나오는 등 생육이상 증상이 있어 이에 대한 원인규명과 해결방법을 요청
현장조사 결과
무주반딧불딸기영농조합법인은 10개 농가에서‘고하’,‘열하’, ‘장하’품종을 3월 중순에 정식하여 고설식 수경재배로 관리하고 있음
민원인은 강원도에서 포기당 800원을 주고 ‘장하’ 품종을 구입하여 본인 하우스에 1,000㎡(약 5,000주)을 정식하였고, 남은 묘는 7개 농가에 분양하였음
강원도산 ‘장하’를 정식한 농가에서는 모두 생육이상 증상을 보임
현장지원 결과 모든 농가에서 같은 증상을 보였는데 응애종류인 ‘시클라멘 먼지 응애’로 판명되었고 강원도산 묘에서 문제가 있었음
종합 검토의견
‘시클라멘 먼지 응애’는 외국 수입묘(샤롯떼, 플라멩고)에서 들어온 해충으로 꽃대에 피해를 주어 생산량과 수익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므로 완전방제에 최선을 다해야 함
시클라멘 먼지 응애는 크라운속을 먹는 해충으로 방제방법은 뽑아서 없애거나 응애약을 3일 간격으로 성분이 다른 농약으로 3회 이상 크라운 속에 관주해야 방제가 가능함
전반적으로 하우스 내 온도가 높으므로 딸기가 좋아하는 광합성 온도범위인 주간 25℃ 이하, 야간 10℃ 이상을 맞추어 주어야 됨
일부농가에서 신엽이 타는 증상이 있었는데 강풍시 환기를 하지 못해 시들어서 칼슘결핍증상이 발생함(적정 온도관리 요구)
잎에 영양장해 결핍을 보이는 농가들은 완효성복비를 시용하고, 시용 후 에는 배액EC를 조사하여 배액EC가 0.9-1.0 범위가 되도록 급액EC를 조정해서 급액 하여야 함
일부농가에서 겨울철에 묘를 하우스에 저장 및 월동시켜 정식하였는데 휴면에 필요한 저온 요구 시간이 불충문하여 정식묘가 휴면타파 되지 않아 왜화현상을 보이고 있으므로, 급액EC농도를 낮추어 초세를 크게 하여 재배해야 함
금후 기술지도
시클라멘 먼지 응애 피해가 심해지면 수확이 불가능하므로 피해주는 런너와 꽃대를 제거하고 완전 방제에 힘쓸 것
시클라멘 먼지 응애의 완전방제와 국산 여름딸기 성공을 위해 주기적인 컨설팅이 필요함
일부 신규농가들은 고온기 안정 다수확을 위한 수경재배 기술이 미흡하므로 철저한 교육이 필요
관련 사진
민원인의 딸기 생육 전경
현장 컨설팅
시클라멘먼지응애 피해(잎 쭈글쭈글)
시클라멘먼지응애 피해(런너)
시클라멘먼지응애 피해(꽃대)
휴면타파 불균일(앞-왜화, 뒤-정상크기)
잎에 영양결핍
완효성복비 시용(잎 정상)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