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옥상 녹화지에 많이 이용된 식물
분류 | 식물종류 |
---|---|
초본 | 벌개미취, 범부채, 기린초, 두메부추, 매발톱꽃, 구절초, 패랭이, 붓꽃, 수호초, 원추리, 비비추, 상록패랭이, 부처꽃, 큰꿩의비름, 맥문동, 바위취, 백리향, 금낭화, 애기기린초, 무늬둥굴레, 세덤 등 |
목본 | 주목, 회양목, 사철나무, 소나무, 조팝나무, 왜철쭉, 왜진달래, 라일락, 배롱나무, 단풍나무, 화살나무, 꽃사과, 담쟁이, 산철쭉, 덩굴장미, 낙상홍, 앵도나무, 산수유, 줄사철, 갯버들, 등나무, 진달래, 작살나무, 모과나무, 뜰보리수나무, 산딸나무 등 |
허브 | 타임, 레몬밤, 백리향, 애플민트 등 |
습지식물 | 애기부들, 부처꽃, 꽃창포, 붓꽃, 갯버들, 노랑꽃창포, 질경이택사, 흰갈풀 등 |
채소 | 상추, 콩, 토마토, 고추, 딸기, 무, 배추, 호박 등 |
기존 옥상 녹화지에 쉽게 이입된 식물
분류 | 식물종류 |
---|---|
초본 | 쑥, 망초, 개망초, 괭이밥, 제비꽃, 달맞이꽃, 질경이,방동사니, 뽀리뱅이, 닭의장풀, 강아지풀, 바랭이, 씀바귀, 쥐깨풀, 바랭이, 방동사니, 기장대풀, 여뀌, 갈풀, 물옥잠, 비녀골풀, 고마리, 이삭사초, 자귀풀, 젓가락나물, 줄, 파대가리, 피, 하늘지기, 한련초, 황새냉이, 중대가리풀, 물억새, 물잔디, 자귀풀, 차풀, 댕댕이덩굴, 매듭풀, 새팥, 속속이풀, 냉이, 뚝새풀, 나도개피, 포아풀, 마디풀, 며느리밑씻개, 애기수영, 환삼덩굴, 명아주, 취명아주, 쇠비름, 미국자리공, 토끼풀, 깨풀, 박주가리, 실새삼, 미국가막사리, 질경이, 쥐꼬리망초, 털별꽃아재비, 서양민들레, 지칭게, 조뱅이, 사데풀, 개쑥갓 |
목본 | 은사시나무, 갯버들, 가중나무, 오동나무, 느티나무, 아까시나무, 댕댕이덩굴, 미류나무, 상수리나무, 싸리나무, 청가시나무, 플라타너스, 뽕나무, 산딸기 등 |
인공 습지 주요 식재 품목 (이입 식물 포함)
건물성격 | 품목수 | 종류 |
---|---|---|
공공기관 | 26 | 노루오줌, 바랭이, 방동사니, 부들, 부처꽃, 기장대풀, 꽃창포, 붓꽃, 애기부들, 여뀌, 할미꽃, 갯버들, 갈풀, 고마리, 노랑꽃창포, 물옥잠, 비녀골풀, 숫잔대, 이삭사초, 줄, 파대가리, 피, 하늘지기, 한련초, 황새냉이, 버드나무 |
일반회사 | 6 | 붓꽃, 노루오줌, 바랭이, 방동사니, 부처꽃, 갯버들 |
교육기관 | 36 | 부처꽃, 붓꽃, 노랑꽃창포, 할미꽃, 갯버들, 고마리, 노루오줌, 석창포, 수크령, 버드나무, 꽃창포, 노랑어리연꽃, 물옥잠, 미나리, 방동사니, 부들,부레옥잠, 애기부들, 애기수련, 여뀌, 줄, 창포, 흰갈풀, 기장대풀, 낚시사초, 동의나물, 물상추, 물억새, 물잔디, 바랭이, 비녀골풀, 속새, 수련, 자귀풀, 젓가락나물, 질경이택사 |
1.적절한 식재종의 선택과 식재방법 | |||
---|---|---|---|
현황 및 문제점 |
|
||
근경번식 왕성한 식물 | ![]() |
![]() |
![]() |
금불초 | 좀씀바귀 | 석잠풀 | |
겨울철 볼거리 없음 | ![]() |
![]() |
![]() |
허브 위주의 정원 (봄) | 허브 위주의 정원 (겨울) | 겨울철 상록수가 있는 정원 | |
덩굴성 식물의 활용 | ![]() |
![]() |
![]() |
덩굴성 식물의 화단 내부식재 | 덩굴성 식물의 적절한 활용 | 시설을 차폐할 식재종 요구 |
가을, 겨울철 볼거리가 있는 옥상 정원용 추천 식물
가을, 겨울철 볼거리가 있는 옥상정원용 목본식물 |
상록 | 잎 | 단풍 | 꽃 | 열매 | 수, 조형 가지, 수피, 모양 |
관상시기 | |
---|---|---|---|---|---|---|---|---|
1 | 가막살나무 | O | O | O | O | 1~12 | ||
2 | 가이즈까향나무 | O | O | 1-12 | ||||
3 | 감나무 | O | O | O | 9~11 | |||
4 | 공작단풍 | O | O | O | O | 1~12 | ||
5 | 까마귀밥여름나무 | O | O | 9~11 | ||||
6 | 꽃사과 | O | O | 4~11 | ||||
7 | 꽃사리 | O | 10~11 | |||||
8 | 낙상홍 | O | O | 1~12 | ||||
9 | 남천 | O(반) | O | O | O | 1~12 | ||
10 | 노랑말채나무 | O | O | O | O | 1~12 | ||
11 | 눈향나무 | O | O | 1-12 | ||||
12 | 능소화 | O | O | O | 7-11 | |||
13 | 단풍나무 | O | O | O | 1~12 | |||
14 | 대나무 | O | O | O | 1-12 | |||
15 | 대추나무 | O | 9-11 | |||||
16 | 마가목 | O | O | 6-11 | ||||
17 | 모과나무 | O | O | O | 1~12 | |||
18 | 반송 | O | O | 1-12 | ||||
19 | 배나무 | O | O | 5~11 | ||||
20 | 배롱나무 | O | O | O | 1~12 | |||
21 | 백리향 | O | O | O | O | 1~12 | ||
22 | 복자기 | O | 10-11 | |||||
23 | 사과나무 | O | 9-11 | |||||
24 | 사철나무 | O | O | O | 1~12 | |||
25 | 산딸나무 | O | O | 4~10 | ||||
26 | 산사나무 | O | O | 5~11 | ||||
27 | 산수유 | O | O | O | 3~11 | |||
28 | 산철쭉 | O | O | O | O | 5-11 | ||
29 | 소나무 | O | O | 1-12 | ||||
30 | 신나무 | O | O | 9~11 | ||||
31 | 실화백 | O | O | 1-12 | ||||
32 | 아로니아 | O | O | 10-11 | ||||
33 | 영산홍 | O | O | O | O | 5-11 | ||
34 | 영춘화 | O | O | 1~12 | ||||
35 | 오죽 | O | O | O | 1-12 | |||
36 | 옥매 | O | O | 1-12 | ||||
37 | 옥향나무 | O | O | 1-12 | ||||
38 | 이팝나무 | O | O | O | 5-11 | |||
39 | 자작나무 | O | 1-12 | |||||
40 | 작살나무 | O | O | 1~12 | ||||
41 | 주목 | O | O | O | 1~12 | |||
42 | 팥배나무 | O | O | 10-11 | ||||
43 | 편백 | O | O | 1-12 | ||||
44 | 화살나무 | O | O | O | 1~12 | |||
45 | 황금조팝나무 | O | O | O | 4~11 | |||
46 | 황금측백 | O | O | O | 1-12 | |||
47 | 희양목 | O | O | 1-12 | ||||
48 | 흰말채나무 | O | O | O | O | 1~12 |
가을, 겨울철 볼거리가 있는 옥상 정원용 추천 식물
가을, 겨울철 볼거리가 있는 옥상정원용 초본식물 |
상록 | 잎 | 단풍 | 꽃 | 열매 | 수, 조형 가지, 수피, 모양 |
관상시기 | |
---|---|---|---|---|---|---|---|---|
1 | 감국 | O | 9-11 | |||||
2 | 개맥문동 | O | O | O | 1~12 | |||
3 | 갯국 | O | O | 4~11 | ||||
4 | 구절초 | O | 9-11 | |||||
5 | 국화 | O | 9-11 | |||||
6 | 꽃무릇 | O | O | 9~5 | ||||
7 | 꽃잔디 | O | O | 1-12 | ||||
8 | 꽃향뮤 | O | 10-11 | |||||
9 | 노랑혹가지 | O | 7~11 | |||||
10 | 두메부추 | O | 9-10 | |||||
11 | 맥문동 | O | O | O | 1~12 | |||
12 | 맨드라미 | O | 7~10 | |||||
13 | 목화 | O | O | O | 7~10 | |||
14 | 바위솔 | O | O | O | 1~12 | |||
15 | 바위취 | O | O | 4~11 | ||||
16 | 블루훼스큐 | O | O | 1-12 | ||||
17 | 석창포 | O | 1-12 | |||||
18 | 수크령 | O | 9-11 | |||||
19 | 수호초 | O | O | 1~12 | ||||
20 | 아주가 | O | O | O | 1~12 | |||
21 | 왜란 | O | 1-12 | |||||
22 | 용담 | O | O | 9~11 | ||||
23 | 은쑥 | O | O | O | 1-12 | |||
24 | 털머위 | O | O | 1~12 | ||||
25 | 피마자 | O | O | 7~11 | ||||
26 | 해국 | O | O | 4~11 |
가을, 겨울철 볼거리가 있는 옥상정원용 습지식물 |
상록 | 잎 | 단풍 | 꽃 | 열매 | 수, 조형 가지, 수피, 모양 |
관상시기 | |
---|---|---|---|---|---|---|---|---|
1 습지 | 가래 | O | O | O | 4~11 | |||
2 | 개모밀 | O | O | O | 4~10 | |||
3 | 네가래 | O | O | 4~11 | ||||
4 | 물개구리밥 | O | O | 1~11 | ||||
5 | 석창포 | O | O | 1~12 | ||||
6 | 왕개구리밥 | O | O | 4~11 | ||||
7 | 조름나물 | O | O | 1~12 |
가을, 겨울철 볼거리가 있는 옥상정원용 덩굴성식물 |
상록 | 잎 | 단풍 | 꽃 | 열매 | 수, 조형 가지, 수피, 모양 |
관상시기 | |
---|---|---|---|---|---|---|---|---|
1덩굴성 | 다래나무 | O | O | O | 7~11 | |||
2 | 담쟁이덩굴 | O | O | O | O | 1-12 | ||
3 | 마삭줄 | O | O | 1~12 | ||||
4 | 머루 | O | O | O | 7~11 | |||
5 | 송악 | O | 1~12 | |||||
6 | 아이비 | O | 1~12 | |||||
7 | 줄사철나무 | O | O | 1~12 | ||||
8 | 찔레나무 | O | O | O | 1~12 |
관리하기 쉽고 관상가치가 있는 옥상정원용 목본식물
표. 관리하기 쉽고 관상가치가 있는 옥상정원용 목본식물 |
상록 | 잎 | 단풍 | 꽃 | 열매 | 수, 조형 가지, 수피, 모양 |
관상시기 | |
---|---|---|---|---|---|---|---|---|
1 | 낙상홍 | O | O | 1~12 | ||||
2 | 독일가문비 | O | O | 1~12 | ||||
3 | 라일락 | O | O | O | 5~11 | |||
4 | 메실나무 | O | O | 1~12 | ||||
5 | 박태기나무 | O | O | 5~10 | ||||
6 | 백리향 | O | O | O | O | 1~12 | ||
7 | 병꽃나무 | O | 5 | |||||
8 | 산수국 | O | O | 1~12 | ||||
9 | 산철쭉 | O | O | O | 1~12 | |||
10 | 실유카 | O | O | O | O | 1~12 | ||
11 | 애기말발도리 | O | O | O | 1~12 | |||
12 | 영산홍 | O | O | O | 1~12 | |||
13 | 작살나무 | O | O | O | 1~12 | |||
14 | 조팝나무류 | O | O | O | 1~12 | |||
15 | 주목 | O | O | O | 1~12 | |||
16 | 죽단화 | O | O | 1~12 | ||||
17 | 화살나무 | O | O | O | 1~12 | |||
18 | 황매화 | O | O | 1~12 |
관리하기 쉽고 관상가치가 있는 옥상정원용 초본식물 |
상록 | 잎 | 단풍 | 꽃 | 열매 | 수, 조형 가지, 수피, 모양 |
관상시기 | |
---|---|---|---|---|---|---|---|---|
1 | 개맥문동 | O | O | O | O | 1~12 | ||
2 | 관중 | O | 4~11 | |||||
3 | 구절초 | O | 9~11 | |||||
4 | 꼬리풀 | O | O | 8~10 | ||||
5 | 꽃잔디 | O | O | O | 1~12 | |||
6 | 돌단풍 | O | O | O | 4~11 | |||
7 | 두메부추 | O | O | 3~11 | ||||
8 | 맥문동 | O | O | O | O | 1~12 | ||
9 | 바위취 | O | O | 4~11 | ||||
10 | 뱀고사리 | O | 4-10 | |||||
11 | 블루훼스큐 | O | O | 1~12 | ||||
12 | 사초류 | O | O | O | 1~12 | |||
13 | 세라스티움 | O | O | 3~11 | ||||
14 | 아스틸베 | O | O | 7-11 | ||||
15 | 아주가 | O | O | O | 1~12 | |||
16 | 양지꽃 | O | O | O | 4~11 | |||
17 | 용머리 | O | O | 5~10 | ||||
18 | 은쑥 | O | O | 1~12 | ||||
19 | 족제비고사리 | O | O | 1-12 | ||||
20 | 청나래고사리 | O | 4-10 | |||||
21 | 초롱꽃 | O | O | 4~8 | ||||
22 | 호스타류 | O | O | 4~11 |
관리하기 쉽고 관상가치가 있는 옥상정원용 다육식물 |
상록 | 잎 | 단풍 | 꽃 | 열매 | 수, 조형 가지, 수피, 모양 |
관상시기 | |
---|---|---|---|---|---|---|---|---|
1 | 돌나물 | O | O | 4~11 | ||||
2 | 둥근잎꿩의비름 | O | O | 4~11 | ||||
3 | 땅채송화 | O | O | 4~11 | ||||
4 | 무늬돌나물 | O | O | O | 1~12 | |||
5 | 바위솔 | O | O | O | 1~12 | |||
6 | 바위채송화 | O | O | O | 1~12 | |||
7 | 섬기린초 | O | O | 4~11 | ||||
8 | 세덤류 | O | O | O | 1~12 | |||
9 | 셈퍼비붐 | O | O | O | 1~12 | |||
10 | 송엽국 | O | O | O | 1~12 | |||
11 | 애기기린초 | O | O | 4~11 | ||||
12 | 채송화 | O | O | 5~11 | ||||
13 | 큰꿩의비름 | O | O | 4~11 |
이입종 관리
현황 및 문제점 |
|
||
---|---|---|---|
현황사진 | ![]() |
![]() |
![]() |
현황사진 | ![]() |
![]() |
![]() |
현황사진 | ![]() |
![]() |
![]() |
보통 3년 정도가 지나면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처음 조성 했던 식재와는 전혀 다른 모습을 띰 | |||
조사된 잡초의 종류 |
초본 (64종) 쑥, 망초, 개망초, 괭이밥, 제비꽃, 달맞이꽃, 질경이, 방동사니, 뽀리뱅이, 닭의장풀, 강아지풀, 바랭이, 씀바귀, 쥐깨풀, 방동사니, 기장대풀, 여뀌, 갈풀, 물옥잠, 비녀골풀, 고마리, 이삭사초, 자귀풀, 젓가락나물, 줄, 파대가리, 피, 하늘지기, 한련초, 황새냉이, 중대가리풀, 물억새, 물잔디, 자귀풀, 차풀, 댕댕이덩굴, 매듭풀, 새팥, 속속이풀, 냉이, 뚝새풀, 나도개피, 포아풀, 마디풀, 며느리밑씻개, 애기수영, 환삼덩굴, 명아주, 취명아주, 쇠비름, 미국자리공, 토끼풀, 깨풀, 박주가리, 실새삼, 미국가막사리, 질경이, 쥐꼬리망초, 털별꽃아재비, 서양민들레, 지칭게, 조뱅이, 사데풀, 개쑥갓 목본 (14종) 은사시나무, 갯버들, 가중나무, 오동나무, 느티나무, 아까시나무, 댕댕이덩굴, 미류나무, 상수리나무, 싸리나무, 청가시나무, 플라타너스, 뽕나무, 산딸기 |
||
잡초 관리방법 및 대책 |
잡초의 구별 - 쉽게 유입되고 번식 정도가 빠른 대표적인 잡초에 관한 정보제공 - 정원에 식재된 식물에 대한 이름, 이미지, 특성에 관한 정보제공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 잡초정보 목록 http://ncpms.rda.go.kr/npms/WeedsInfoSearchR.np
|
관수관리
현황 및 문제점 |
|
||
---|---|---|---|
현황사진 | ![]() |
![]() |
![]() |
초본성 식물이 말라죽음 | 철쭉이 말라죽음 | ||
현황사진 | ![]() |
![]() |
![]() |
물 관리에 신경을 쓴 철쭉 | 옥상 관수시설 및 자재 | 옥상 관수시설 및 자재 | |
관수시 유의사항 |
|
||
관수시기 |
|
||
관수방법 |
|
||
효율적인 관수방법 제안 |
|
추천 관수 원예 자재 |
![]() |
![]() |
![]() |
![]() |
![]() |
---|---|---|---|---|---|
기다단계 살수노즐 | 압축분무기 | 자동급수타이머 | 자동스프링쿨러 |
멀칭 자재 | ![]() |
![]() |
![]() |
![]() |
![]() |
---|---|---|---|---|---|
하이드로톤 | 유공비닐 | 화산석 | 바크 | 우드칩 |
영양관리
현황 및 문제점 |
|
|
---|---|---|
현황사진 | ![]() |
![]() |
현황사진 | ![]() |
![]() |
시비시 유의사항 |
|
|
효율적인 시비방법 제안 |
|
추천 원예 자재 | ![]() |
![]() |
![]() |
![]() |
---|---|---|---|---|
조경용고형비료 | 고형복합비료 | 고형복합비료사용설명서 | 물에 타서 사용하는 비료 |
현황 및 문제점 |
|
||
---|---|---|---|
현황사진 | ![]() |
![]() |
![]() |
깍지벌레 | 깍지벌레2 | 진딧물 | |
현황사진 | ![]() |
![]() |
![]() |
응애 | 점무늬낙엽병 | 탄저병 | |
현황사진 | ![]() |
![]() |
![]() |
잎벌레 | 진달래방패벌레 | 미국흰불나방 | |
유의사항 |
|
||
방제시기 |
|
시기별 옥상정원 식물에 발생하는 주요 해충의 종류
해충명 | 월별 집중관리 대상 식물 | |||||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
잔딧물류 | 보리수나무, | 구상나무 | 원추리 | |||
조팝나무, | 작살나무 | |||||
기린초 | ||||||
방패벌레류 | 철쭐 | 철쭉 | ||||
깍지벌레류 | 반송, | 화살나무, | 배롱나무, | 화살나무 | ||
사철나무 | 작살나무 | 사철나무 | 사철나무, | |||
꽃사과나무 | ||||||
나방류 | 병꽃나무 | 회향목 | 회향목 | |||
산수유 | ||||||
입벌레류 | 철쭉 | |||||
응애류 | 주목, | 주목 | 주목 | 주목, | 매실나무 | |
굉이밥 | 괭이밥 | |||||
꽃사과나무 |
방제방법 |
|
|
---|---|---|
진딧물류 | 류강타자(진굴탄), 더스반(명사수), 데시스, 디디브이피, 뚝심, 만장일치, 모스피란, 바람탄, 세단(세빈), 세베로, 세시미, 아타라, 어드마이어, 오신, 적시타, 주렁(첨병), 케레스(피레탄), 코니도, 트레본, 포스팜, 한방 | |
방패벌레류 | 마스그린, 세베로, 세시미, 아타라, 어드마이어, 주렁(첨병), 트레본 | |
깍지벌레류 | 깍지탄(선발대), 노고단, 뚝심, 만장일치, 매머드, 모스피란, 바람탄, 선호탄, 세시미, 어드마이어, 오신, 코니도, 포스팜, 히어로 | |
나방류 | 강타자(진굴탄), 노몰트, 더스반(명사수), 데시스, 디디브이피, 디밀린, 세단(세빈), 적시타, 주렁(첨병), 카스케이드 | |
잎벌레류 | 데시스, 디밀린, 라이몬, 세단(세빈), 알시스틴, 에이팜, 주렁(첨병), 파마치온, 피레스, 한방 | |
응애류 | 가네마이트, 마이캇트(마이탁), 비상구, 살비왕, 섬광, 시나위, 지존, 퀵다운 | |
* 참고자료 : 농약사용지침서(2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