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전문가 칼럼

가공활용

간장과 신장을 좋게 하여 당뇨, 고혈압, 자양강장, 강정에 사용하는 구기자 곽준수

  • 작성일2018-10-29
  • 조회41,116

구기자는 전국의 울타리, 인가 근처 또는 밭둑에서 자라거나 재배 하는 낙엽활엽관목으로, 높이가 1〜2m이다.
줄기가 많이 갈라지고 비스듬하게 뻗어나가 다른 물체에 기대어 자라기도 하는데 3〜4m 이상 자라는 것도 있다.
줄기 끝이 밑으로 처지고 가시가 나 있다. 잎은 서로 어긋나거나 2〜4장이 짧은 가지에 모여 나며 넓은 달걀모양 또는 달걀모양 바소꼴에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잎자루 길이는 1cm 정도이다. 꽃은 보라색으로 6〜9월에 1〜4송이씩 단생 하거나 잎겨드랑이에서 피며 꽃부리는 자주색이다. 열매는 물렁열매로 달걀 모양이며 7〜10월에 선홍색으로 달린다.

대추나무

구기자 개요

  • 학 명 : Lycium chinense Mill. = Lycium rhombifolium (Moench) Dippel.
  • 과 명 : 가지과(Solanaceae)
  • 다른이름 : 감채자(甘菜子), 구기자(拘杞子), 구기근(枸杞根), 구기근피(枸杞根皮), 지선묘(地仙苗), 천정초(天庭草), 구기묘 (枸杞苗), 감채(甘菜)
  • 생 약 명 : 구기자(枸杞子), 지골피(地骨皮), 구기엽(枸杞葉)
  • 개 화기 : 6〜9월
  • 사용부위 : 열매, 뿌리껍질, 잎

채취 방법과 시기

열매는 가을에 열매가 익었을 때, 뿌리껍질은 늦가을부터 이른 봄, 잎은 봄·여름에 채취한다.

성분

  • 뿌리에는 비타민 B1의 합성을 억제하는 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 억제작용은 시스테인(cystein) 및 비타민 E에 의해서 해제된다.
  • 뿌리껍질에는 계피산 및 다량의 페놀류 물질, 베타인(betaine),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메리신산(melissic acid), 리놀레산(linoleic acid), 리놀렌산(linolen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 잎에는 베타인, 루틴(rutin), 비타민 E, 이노신(inosine), 히포크산틴 (hypoxanthine), 시티딜산(cytidylic acid), 유리딜산(uridylic acid), 다량의 글루타민산(glutamic acid),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프롤린(proline), 세린(serine), 티로신(tyrosine), 알기닌(arginine), 극히 소량의 숙신산(succinic acid), 피로글루타민산 (pyroglutamic acid), 수산(oxal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 열매에는 카로틴, 리놀레산, 비타민 B1, B2, 비타민 C, 베타-시토스테롤이 함유되어 있다.

구기자 각 부위별 모양

잎

꽃

덜익은 열매덜익은 열매

익은열매익은열매

열매(채취품)열매(채취품)

성질과 맛

열매는 성질이 평범하고 맛은 달며, 뿌리껍질은 성질이 차고 맛은 달다. 잎은 성질이 시원하고 맛은 쓰고 달다. 독성은 없다.

작용부위

간(肝), 신(腎, 콩팥), 비(脾, 췌장) 경락에 작용한다.

효능과 주치

  • 뿌리껍질은 생약명을 지골피(地骨皮)라 하여 식은땀과 골증조열(骨蒸潮熱:뼈속의 골수가 뜨겁게 끓는 것처럼 극심한 통증이 오락가락하는 증상)을 다스리고 열을 내리게 하며 신경통, 타박상, 소염, 해열, 자양강장, 고혈압, 당뇨병, 폐결핵 등을 치료한다.
  • 잎은 생약명을 구기엽(枸杞葉)이라 하여 보허, 익정(益精: 정수를 더함), 열내림, 소갈, 거풍, 명목(明目)의 효능이 있고 허로발열, 번갈(煩渴: 가슴이 답답하고 열이 나고 목이 마르는 증상), 충혈, 열독창종(熱毒瘡腫: 열에 의한 독성으로 인해 나타나는 부스럼과 종기) 등을 치료한다.
  • 열매는 생약명을 구기자(枸杞子)라 하여 간장, 신장을 보하고 정력을 돋워주는 효능이 있으며 간장, 신장을 보해줌으로써 허로(虛勞: 몸과 마음이 허약하고 피로함)를 치료한다. 허약해 어지럽고 정신이 없으며 눈이 침침할 때 눈을 밝게 하며 정력을 왕성하게 해준다. 그리고 음 위증과 유정(遺精), 관절통, 몸이 지끈지끈 아플 때, 신경쇠약, 당뇨병, 기침, 가래 등을 치료한다. 구기자 농축액은 피부미용,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증, 기억력 향상 등의 약효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구기자 열매 - 건재(구기자)구기자 열매 - 건재(구기자)

구기자나무뿌리 - 건재(지골피)구기자나무뿌리 - 건재(지골피)

약용법과 용량

  • 말린 뿌리껍질 20〜30g을 물 900㎖에 넣어 반이 될 때까지 달여 하루에 2〜3회 나눠 마신다. 외용할 경우에는 뿌리껍질을 가루로 만들어 참기름과 섞어 환부에 바른다.
  • 말린 잎 20〜30g을 물 900㎖에 넣어 반이 될 때까지 달여 하루에 2〜3회 나눠 마신다.
  • 말린 열매 20〜30g을 물 900㎖에 넣어 반이 될 때까지 달여 하루에 2〜3회 나눠 마신다.

사용상의 주의사항

배합금기 사항으로 버터와 치즈 등 우유로 만든 식품과는 같이 섭취하면 절대 안 된다.

구기자에 얽힌 이야기

  • 구기자는 예로부터 자양(滋養), 강정(强精), 강장(强壯)의 효과가 뛰어나 건강·장수 식품의 대명사로 알려져 있다. 인삼, 하수오와 함께 『3대 야생정력식물』로 불리기도 한다.
  • 의학서책이나 속담에 “여행을 떠날 때는 구기자를 함부로 먹지 말라”는 말이 있는데, 이것은 강장, 강정제인 구기자를 먹고 정기가 넘쳐 여행 중 자칫 실수를 할 것은 경계하는 속담으로 생각 할 수 있다.
  • 또한 비슷한 이유로 일본에서도 “독신자는 구기자를 함부로 먹지 마라”는 속담이 있는 것을 보면 구기자의 자양·강정 효과가 얼마나 큰지 알 수 있다.
  • 진시황이 서복(徐福)에게 찾아오라고 했던 불로초가 바로 구기자라는 설도 있다. 실제로 구기자가 유명한 중국의 영하(寧夏) 지방의 여인들은 피부가 아름답고 윤택한 피부미인들이 많은데, 그것은 예로부터 이 지방에 유명한 구기자나무의 열매, 잎, 뿌리, 줄기 등을 즐겨 먹었던 것이 원인이라고도 한다.

구기자를 이용한 다양한 가공

구기자 차(茶)

채취 방법 및 가공

  •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잘 익은 구기자나무 열매를 채취해 햇볕에 말린다. 구기자나무는 무한화서(無限花序: 아래에서부터 끊임없이 꽃이 피고 열매가 열리는 성질)이기 때문에 계속 해서 꽃이 피고 열매가 익는다. 따라서 열매가 익는 대로 채취해 이물질을 제거한 뒤 씻어서 말려 사용한다.
  • 색깔이 선명한 열매를 골라 꼭지를 떼고 깨끗이 씻은 다음 청주나 막걸리에 하룻밤 담근 뒤 사용하면 더욱 좋다. 프라이팬에 열매를 넣고 살짝 볶아 사용하면 구기자 고유의 매운맛을 제거하고 맛을 부드럽게 해준다.

차 만들기와 용법

구기자는 끓여서 차로 마시거나, 가루로 만들어 복용한다. 말린 구기자나무 열매 6〜12g 사용하며, 보통 프라이팬에 볶은 구기자 5〜10g을 물 2L에 부어 끓기 시작 하면 약한 불로 줄여 2시간 정도 끓여 차로 마시며 당귀, 국화, 두충 등을 섞어 차로 달여서 마시기도 한다.

응용

  • 국화, 숙지황, 산수유 등과 섞은 뒤 환(丸)으로 만들어 복용하기도 한다(구국지황환枸菊地黃丸).
  • 또한 산약, 지황, 황기 등과 배합하여 소갈(消渴: 당뇨)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도 한다.
  • 말린 구기자와 용안육 각각 5〜6g을 믹서에 넣고 잘게 갈아 찻잔에 넣은 뒤 뜨거운 물로 우려내는데 기호에 따라 꿀 또는 설탕을 가미해 마시면 피부 미용에 아주 좋으나 당뇨병이 있다면 감미는 고려하여 결정하는 게 좋다.

구기자 주(酒)

적용병증

  • 당뇨(糖尿) :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 부족해 나타나는 증상으로, 음나무 술과 함께 마시면 치료에 효과적이다. 30㎖를 1회분으로 1일 1〜2회씩, 30〜40일 동안 마
  • 보양(補陽) : 남성의 양기와 정신력, 원기를 돋우는 처방이다. 30㎖를 1회분으로 1일 1〜2회씩, 30〜40일 동안 마신 후 예후를 살펴가며 음용 기간을 결정한다.
  • 빈혈(貧血) : 혈액에 적혈구나 헤모글로빈이 부족해 어지럼증이 나타나는 증상이다. 30㎖를 1회분으로 1일 1〜2회씩, 15〜20일 동안 마신 후 예후를 살펴가며 음용 기간을 결정한다.
  • 기타 질환 : 고지혈증, 소염, 자양강장, 강정, 건위, 두통, 불면증, 신경쇠약, 요실금, 조갈 증, 건강증진, 기억력 저하, 치매 예방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약술 담그는 방법
  • 약효는 구기자 뿌리, 줄기, 열매에 있으므로 주로 뿌리, 줄기, 열매를 사용하며 뿌리는 껍질(지골피)을 사용한다.
  • 구기자 뿌리, 줄기, 열매를 깨끗이 씻어 사용하는데 뿌리와 줄기는 적당한 크기로 잘라 사용한다.
  • 구기자 뿌리, 줄기, 열매를 생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250〜300g, 말려서 사용할 경우에는 100〜150g과 소주 3.8〜4L를 용기에 넣어 밀봉하여 햇볕이 들지 않는 서늘하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 보관해 침출 숙성시킨다.
  • 3〜6개월 정도 침출한 다음 건더기를 걸러낸 후 바로 마시거나, 2〜3개월 더 숙성시켜 마시면 향과 맛이 더 부드러워 마시기 편하다. 기호에 따라 꿀 또는 설탕을 가미하여 마셔도 되지만 당뇨병이 있다면 고려하여 결정하는 게 좋다.
구입방법 및 주의사항
  • 약재상, 약령시장에서 오래 묵지 않고 잘 마른 약재를 구입 하거나 산지(産地)에서 채취한다.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하는 것이 좋으며, 많은 양을 오랜 기간 동안 마시는 것은 삼가 하는 것이 좋다.
  • 본 약술을 마시는 기간 동안 가려야 할 음식은 없다.
  • 다른 술과 혼합해 마시는 것은 피하는 게 좋다.
곽준수 곽준수
전문분야소개
  • (현)대한약선연구원장
  • (전)영산대학교 약선학과교수/학장/대학원장
  • (전)마산대학교 한약재개발학과 교수
주요활동, 특기사항
  • 귀농귀촌준비 교육강사(지역선택, 재배품목선택, 귀농준비 등)
  • 약용작물 생산(재배/가공/품질관리/이용 등) 교육강사
  • 약용식물 분류감별 및 가공법/약선교육/ 교육프로그램개발 및 교육컨설팅
  • 약초이용 건강요법 교육 및 교육프로그램개발
  • 저서 : "최신약초재배기술", "동의보감약초대백과" 외 50여권
약용작물 구기자 강정 고혈압 당뇨

본 게시글은 현장전문가가 작성한 원고로 농촌진흥청 공식의견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전체댓글21

  • 박경찬2018-11-08 06:46:11

    좋은정보 항상 감사합니다. 도움되는 유익한 정보입니다..

  • 곽준수2018-11-08 18:39:23

    반갑습니다. 감사합니다

  • 정성록2018-12-06 14:22:12

    심혈을 기울인 좋은자료 잘 읽었습니디 대전서열정도 감동적이구요

  • 배광수2018-11-08 07:39:42

    유익한 정보 감사 합니다

  • 곽준수2018-11-08 18:40:26

    반가워요. 건강하지요?

  • 모정연2018-11-08 08:20:19

    교수님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어릴적 울타리에서 많이 봐왔는데 중성지방 분해에도 도움 된다는데 쉽게 먹어지질 않습니다 농약 걱정에 식초물로 세척해서 쓰긴하는데 더열심히 복용해야 되겠네요 저는 참고로 작약 재배와 작약 모종파종에 관심이 많아 금년 작약씨가 가물어 부족한 관계로 구하는데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어렵게 파종은조금 했는데 내년2~3월 작황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교수님 강의를 서울에서 청강한 경험이 있어 늘 존경하고 감사한 마음을 갖고있습니다 지속적인 좋은 정보와 내용올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늘 가정의 평안과 건강을 기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곽준수2018-11-08 18:41:46

    반갑습니다. 계속해서 더 좋은 자료 올리겠습니다

  • 장진규2018-11-08 14:28:01

    유익한정보 감사합니다!! 생활 약선에 많은도움됩니다 앞으로 더많은정보부탁드립니다♡♡

  • 곽준수2018-11-24 22:21:13

    작은 정성이 도움이 되었다니 제가 오히려 감사합니다. 유익하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계속 더 좋은 정보를 제공하도록 노력하겠습ㄴ다.

  • 이석주2018-11-09 10:11:01

    교수님 구기자를 농사 아이템으로 할수있는 방법을 소개하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곽준수2018-11-24 22:19:56

    구기자는 꺾꽂이로 번식하기가 쉬운 작물입니다. 이른 봄에 묵은 가지를 정지하실때 잘라 낸 가지를 버리지 마시고, 삽수로 이용하시면 됩니다. 대략 10~15cm 길이로 잘라서 상토에 꽂아놓고 물관리를 잘 하시면 뿌리내림이 잘 됩니다.뿌리내림을 확인 하신 후 정식을 하시면 됩니다.

  • 오미경2018-11-13 16:01:54

    교수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곽준수2018-11-24 22:22:20

    감사합니다. 더욱 좋은 정보를 제공해 드리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송정숙2018-11-17 19:45:37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저에게 효험 이 있을 것 같습니다 챙겨 먹으야 될듯 합니다^^~~

  • 곽준수2018-11-24 22:17:21

    건강에 도움을 드릴수 있다면 오히려 제게 기쁨입니다. 건강하십시오.

  • 이현석2018-11-23 21:47:39

    교육받기 어려운 교통조건에 거처에서 단비가 됩니다 감사합니다 기쁜 마음으로 봅니다

  • 곽준수2018-11-24 22:16:11

    작은 정성으로 적은 글이 도움이 되었다니 오히려 감사합니다. 언제나 공부하는 마음으로 농부의 마음으로 열심히 노력하겠습니다. 거듭 감사합니다.

  • 조경미2018-12-29 17:40:09

    항상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약초에 대해 궁금한게 많은데 자세히 전문가께서 알기쉽게 설명해주시니 많은 도움이됩니다.

  • 윤소현2019-09-20 13:08:30

    너무 좋은 정보 감사드려요 ^^

  • Kyeongmin2024-12-03 12:34:48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정민철2025-03-08 21:37:44

    귀한 정보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