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용작물
고추
,
상추
등 모든 시설원예작물
-
국내분포
전국
-
국외분포
일본, 중국 등 아시아 지역
-
특징
성충의 몸길이는 약 3∼4㎜ 정도로 약간 갸름하며 몸색은 검정, 갈색계통이 많다.
날개의 시맥이 뚜렷하지 않으며 더듬이가 길고, 배 1절마디에 4개의 빗살주름이 있다.
성충을 제외한 모든 발육태는 진딧물의 몸속에서 보내는데, 1령은 몸마디가 뚜렷하며 주둥이 부분이 명확하지 않으나, 4령이 되면 완전히 갖추어진다.
4령 말기에는 진딧물의 몸 속 내용물은 다 없어지고 껍질만 남게 되는데 이것을 ‘머미’(mummy)라고 한다.
성충이 되면 진딧물의 표피를 둥글게 뚫고 밖으로 나오는데, 수컷이 먼저 나오고 암컷이 나오자마자 교미가 이루어진다.
교미한 암컷은 진딧물을 찾아다니며 산란을 하며, 배마디를 앞쪽으로 향하여 밑으로 구부려 진딧물 몸체에 산란관을 삽입한다.
산란시간은 보통 1초 내외로 극히 짧다.
싸리진디벌은 벌목 고치벌과에 속하는 매우 작은 기생성 벌의 일종으로 진딧물류에 기생해야만 종족번식이 이루어지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싸리진디벌은 국내에 토착하는 토착 기생성 천적이다.
싸리진디벌은 원예작물의 주요 진딧물류인 복숭아혹진딧물, 목화진딧물 등에 모두 기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기생율이 가장 높은 진딧물은 바로 복숭아혹진딧물이다.
알, 유충, 번데기, 성충의 생활사를 거치며 알에서 번데기 기간은 진딧물의 체내에서 자라 머미를 형성하게 되고 성충이 되면 머미를 뚫고 나와 다른 진딧물에 다시 기생하게 된다.
발육기간은 알에서 유충기간이 7.8일, 용기간이 10.2일로 1세대를 완성하는데 약 18일이 소요되며 산란수는 일반적으로 암컷 한 마리당 30∼50개 정도이다.
-
대상해충
-
생태정보
싸리진디벌은 알-유충(1∼4령)-번데기-성충의 과정을 거친다.
암컷은 진딧물의 성충과 약충에 알을 낳으며, 좀벌류와는 달리 진딧물을 흡즙하지 않는다.
진딧물 체내에 산란된 알은 부화하여 3령 유충까지는 진딧물 체내의 혈림프를 먹고 자라며 4령기에는 체내의 모든 조직을 먹음으로 진딧물은 껍데기만 남게 된다.
진디벌에 기생된 진딧물은 26℃에서 6.5일이면 잎에 고정되고 진딧물은 부풀어 올라 머미가 된다.
25℃에서 알부터 성충이 되기까지 11.9일, 성충 수명은 17.6일. 산란수는 531.5개이다.
싸리진디벌은 10, 15, 20, 25, 30, 35℃에서 각각 암컷이 2, 48, 48, 35, 35, 10마리 수컷이 18, 78, 78, 72, 18, 4마리로서 성비는 1:9, 1:6, 1:2, 1:2, 1:0.5, 1:0.4로서 수컷이 암컷에 비해 많았다.
암컷의 비율이 수컷과 유사한 시기는 20∼25℃였다.
이러한 암수비율은 콜레마니진디벌이 암컷이 60∼70%와는 차이가 있었지만, 기주의 크기, 식물, 개체군 밀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
진디벌은 기주식물의 색과 냄새를 감지하여 기주식물을 찾아가고 근처에서는 진딧물에서 발산하는 냄새를 감지하여 진딧물을 찾아낸다.
-
사진정보
싸리진디벌 성충
싸리진디벌 머미
-
이용방법
시설고추에서 천적을 이용한 복숭아혹진딧물의 방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천적의 선택, 방사시기, 방사수 및 작물에 미치는 영향이다.
복숭아혹진딧물과 같은 진딧물의 천적에는 진디벌, 진디혹파리, 진디좀벌, 무당벌레 및 풀잠자리 등이 있다.
진딧물은 거의 수컷이 없고, 교미 없이 새끼를 낳으며, 알도 낳지 않고 직접 새끼를 낳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어떤 해충보다 번식속도가 빨라 방제가 쉽지 않은 해충이다.
이러한 이유로 진딧물 방제 이용되는 천적 또한 여러 종류가 있다.
예방용으로 진디벌이 사용되고, 밀도가 높을 때는 무당벌레나 풀잠자리를 이용한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싸리진디벌은 복숭아혹진딧물에 기생력이 매우 높다.
고추에 진딧물이 발생되기 시작하면 싸리진디벌을 발생지점 위주로 소량씩 여러번 방사하는 것보다 다량의 천적을 적은 횟수로 방사하는 것이 효과가 높다.
진딧물은 처음부터 온실 전체에 골고루 발생되지 않고 일부지점에 발생되어 증식이 이루어진 후 포장 전체로 퍼지게 된다.
따라서 발견된 지점에 천적을 집중적으로 방사하여 초기에 진압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다.
-
사진정보
고추유묘 이용 싸리진디벌 증식
진디벌 증식 식물 내의 진딧물과 머미
-
시험결과
우리나라 토착 천적인 싸리진디벌을 이용하여 시설고추에서 복숭아혹진딧물 10마리에 대해 싸리진디벌 1마리 비율, 또는 ㎡당 약 1마리를 10일 간격으로 3회에서 5회 방사방사한 결과 80% 이상의 방제효과가 있었다.
반촉성재배 시설고추에서 진딧물의 발생은 대체로 봄(4~6월)에 발생하는 경우가 피해가 심하고, 여름에는 고온으로 인해 충의 크기도 작고 증식도 느리다.
가을이 되면 여름동안 번식이 어려웠던 진딧물들이 밀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지만, 고추나무의 키가 크고 잎이 무성하여 진딧물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지 않는 한 그 피해는 미미하기 때문에 천적을 투입하지 않아도 된다.
-
사진정보
그림1. 싸리진디벌 방사에 의한 진딧물 방제효과(국립원예특작과학원,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