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화면충좀벌 (Aphelinus varipes)

  • 이용작물

    고추 , 파프리카 모든 시설원예작물 및 노지작물

  • 국내분포

    전국

  • 국외분포

    미국, 러시아, 일본, 중국 등

  • 특징

    목화면충좀벌은 진디면충좀벌과 함께 농작물을 가해하는 진딧물의 천적인 포식기생자이다.
    몸 크기는 약 1.1mm로 암컷이 수컷보다 크다.
    발육기간은 20℃에서 18.3일, 25℃에서 14.7일, 30℃에서 10.4일, 35℃에서 9.3일이며 35℃에서 번데기 사망률이 10.4%로 낮아 고온 적응력이 뛰어나므로 여름철 진딧물 천적으로써 이용이 가능하다.
    포식기생률은 진딧물이 작은 1~3령까지 25℃의 경우 23~15%이며, 온도가 높을수록 암컷의 비율이 높아(30℃, 69%) 고온기에 이용 시 진딧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번데기사망률은 온도가 높을수록 높아져 35℃에서는 10.2% 이다.
    20℃~30℃까지의 번데기 사망률은 0~2.8%로 낮다.

  • 대상해충
  • 생태정보

    목화면충좀벌은 알 - 유충 - 번데기 - 성충의 과정을 거친다.
    복숭아혹진딧물, 목화진딧물, 들깨진딧물을 선호하며, 무테두리진딧물에는 낮은 기생률을 보인다.
    25℃에서 알에서 성충까지 출현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14.7일이며, 알에서 머미까지의 기간은 약 7일, 머미에서 성충까지의 기간은 약 8일이다.
    암컷성충은 일생동안 약 380~410개의 알을 진딧물의 몸체내에 산란하며 수명은 25℃에서 약 30일 이다.
    머미의 사망률은 35℃에서도 10.4%로 낮아 고온적응력이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 사진정보 목화면충좀벌 성충의 산란 목화면충좀벌 성충의 산란 목화면충좀벌 머미 목화면충좀벌 머미 목화면충좀벌 머미 콜로니 목화면충좀벌 머미 콜로니 목화면충좀벌 암컷 생식기 목화면충좀벌 암컷 생식기
  • 이용방법

    목화면충좀벌은 주로 복숭아혹진딧물, 목화진딧물, 들깨진딧물을 선호하며 고온에도 적응력이 뛰어나 시설하우스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특히 콜레마니진디벌과 동시 이용 시 진딧물 방제효과가 높다.
    진딧물 발생초기, 200평 기준으로 1,000마리를 방사하는 것이 적당하며 봄, 가을, 겨울의 경우 10일 간격으로 2~3회 방사하고, 여름의 경우 5일 간격으로 2~3회 방사한다.
    진딧물의 밀도가 높을 경우 진디혹파리를 1~2회 방사하고 목화면충좀벌을 동시에 방사한다면 속효적인 진딧물 방제효과를 볼 수 있다.
    목화면충좀벌은 보리두갈래진딧물과 기장테두리진딧물도 선호하여 진딧물이 발생하기 전 뱅커플랜트와 함께 사용도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