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 - 오미자

생육과정(주요농작업)
생육과정(주요농작업)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줄기유인           익을 때 수확할 때              
퇴비주기 겨울 전지. 전정 토양 개량제 주기, 밭갈이 밑거름, 붕소92~3년 주기) 주기   과실송이 솎음 햇줄기 솎기 움튼 가지 제거                 볏짚깔기, 논갈이 유인틀 설치, 가을식재 묘목 관리
                            1차 웃거름                                      
      봄식재(흑색PE) 잡초방제(부지포 덮어주기 2차 웃거름                              
            줄기유인       개화기 서리 피해 대책수립   습해, 태풍, 돌림병 대책 수확물관리리                
기상재해 및 예상되는 문제점
생육과정(주요농작업)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낙과발생                      
                  가뭄       장마                              
                          병해충방제   *습해발생                      
                *파종, 정식지연 *생육부진 *생리적 장해발생 갈반병   흰가루병                                
병충해 방제
생육과정(주요농작업)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검은점애바구미, 깍지벌레, 갈색날개매미충 자벌레 유충 흰 가루병, 점무늬병, 탄저병, 푸른곰팡이병, 깍지벌레, 응애류                        

재배 적지

  • 표고 : 중북부 250, 남부 300m 이상
  • 기후 : 여름철 기온 서늘한 지역(백두대간 주변 지역)

자재 준비

자재 준비
구분 씨모 파이프 물주기 시설 유인줄
아치형 1,200주 ø25mm, 9m 스프링클러 2줄

심는 시기

심는 시기
구분 가을
시기 3월 상하순 10월 하순~12월 상순
거리 2줄재배 : 4.5m×40cm(공간초생재배)
3줄재배 : 2.3m×40cm(3년 후 가운데 제거)
비닐덮기
(멀칭)
0.02~0.03mm 흑색PE
(조기 수분유지 양호로 결주 방지 탁월)
  • 줄기유인 : 1주 1본 원칙, 30cm 이상부터 유인
  • 가물 때 물주기 : 스프링클러, 점적관수
  • 웃자라는 가지, 움튼 가지 : 수시 제거
  • 김매기 : 부직포, 4중직 빛가림막 덮기

비료 주기

  • 비료주는 양 (kg/10a)
비료주는 양
구분 요소 용성인비 염화칼리
1년생 9.4 11.0 4.6
2년생 14.0 16.0 6.9
3년 이상 23.7 27.0 11.6
  • 비료 나누어 주는 방법 (%)
비료주는 양
구분 요소 용성인비 염화칼리
1년생 50 100 70
2년생 25 - -
3년 이상 25 - 30

수확

  • 오미자 수확
    • 조중생종 : 개화 후 120일(9월 20일 한)
    • 중만생종 : 개화 후 125~140일(10월 20일 한)
  • 수확 후 처리
    • 생오미자 : 4℃, 9일 한
    • 건오미자 : 40℃(열풍건조), 3일

보관 방법

  • 즙액 : 오미자와 설탕 1 : 1, 100일 후 추출보관
  • 건오미자 : 플라스틱 용기 6개월 4℃ 저장고

시기별 관리

시기별 관리
구분 시기 주요내용
토양관리
  • 산성토양 개량 : pH 5.5~6.5
  • 미량요소 결핍 과다주의 : 마그네슘, 붕소
  • 토양 : 배수, 통풍 양호하고 부식질 많은 사질양토
줄기관리 연중
  • 울타리, 덕, 아치형 줄기 유인시설 후 유인
  • 땅에서 올라오는 새줄기 세력 강한 것 1~2개 유인
  • 2년 결실가지 굵고 강하게 키우기
  • 불필요하게 출아하는 움튼 가지 및 여름철 웃자란 가지 제거
병해충
관리
생육기
  • 검은점애바구미 : 노목 서식환경 깨끗하게 유지
  • 흰가루병 : 고온건조 주의, 배게심기, 질소과잉, 이병 잔재물 제거
  • 점무늬, 탄저병 : 전정을 통한 과번무 억제, 고온고습 주의
수확기
  • 초파리 : 수확 후 곧바로 저온저장고로 이동
생육기
  • 초기 가뭄 : 심은 후 볏짚이나 흑색 PE 바닥덮기(멀칭)로 수분증발 억제
  • 장마기 습해 : 배수구 정비로 습해 예방, 조기낙엽 방지

* 기타 수확 후 나무자람새(수세)회복을 위하여 약간의 질소 시용
낙엽기 과도한 착과지 수세 회복을 위한 수확 후 유기물 시용